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Benefit Using Replacement Cost Approach

대체비용법을 이용한 하천 수질개선편익 산정

  • 여규동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 이충성 (인하대학교 수자원시스템연구소) ;
  • 김길호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 심명필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water discharge through dams and to provide a benefit estimation methodology, taking domestic situation into consideration, by the replacement cost approach analyzed with a sewage treatment plant instead of an alternative dam. To this end, facility that alternates a dam must have same functions of the discharged water from the dam and the two facilities must be able to be compared objectively. To estimate the benefit, estimation methodology of alternative facility's cost is established and criteria of cost.benefit analysis that are duration period and ratio of large scale repairing expense was presented. As a case study,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benefit of Song-Li-Won dam was evaluated, which is planned to be built on Nae-Sung stream in Nak-Dong River system. The results of applying this methodology to Song-Li-Won dam are 644,006 million won of the annual average discharge and 1,351,526 million won of maximum discharge. The usage of the framework in this study is expected for estimation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benefit in case water quality improvement project is performed.

본 연구의 목적은 댐방류에 의한 하류하천의 수질개선효과를 대체댐이 아닌 하수처리시설을 대체시설의 비용으로 적용하여 국내 실정에 맞게 편익으로 산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댐을 대체하는 시설은 댐의 방류수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해야 하고, 두 시설간의 비용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대체비용법을 이용하여 수질개선편익을 산정하기 위해 대체시설(하수처리장)의 비용 산정방법, 비용 편익분석 관련 기준인 내용연수와 대수선비율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사례연구로서, 낙동강수계의 내성천에 계획한 송리원댐의 수질개선편익을 산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연평균 방류시 644,006 백만원, 수질악화기의 최대방류시 1,351,526 백만원으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방법은 환경개선용수 공급사업시 실무에서 활용 가능한 수질개선 편익산정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도 (2004). 강원도 낙동강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2.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 (2004). 송리원다목적댐 건설사업 타당성조사 보고서
  3. 건설교통부 (2005). 댐설계기준
  4. 경상남도 (2004). 경상남도 낙동강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5. 경상북도 (2004). 경상북도 낙동강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6. 국토해양부 (2008). 수자원사업의 타당성분석 개선방안 연구
  7. 대구광역시 (2003). 대구광역시 낙동강 오염총량관리기본계획
  8. 부산광역시 (2003). 부산광역시 낙동강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9. 이충성, 여규동, 김길호, 심명필 (2008). '수자원사업 타당성평가를 위한 편익산정 개선방안: 생.공용수 및 환경개선용수를 중심으로' 2008년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전문학회세션, 대한토목학회
  10. 박두호.권오상.민동기.허은녕 (2007). 수자원 및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구축, 21세기 프론티어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단
  11. 한국개발연구원 (2007). 환경분야 민간투자사업 적격성조사 지침연구
  12. 한국개발연구원 (2008). 수자원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표준지침 연구(제4판)
  13. 한국수자원공사 (2003). 댐의 편익산정 개선방안 수립
  14. 환경관리공단 (1996). 공공하수처리시설전문관리방안연구
  15. 환경부 (2005). 하수도통계
  16. 환경부 (2005). 2004년 하수종말처리시설운영관리실태분석
  17. 환경부 (2007). 국가하수도종합계획('07-'15)
  18. Dehnhardt, A. (2002). 'The replacement value of flood plains as nutrient sinks: a case study of the river Elbe.' 2002 World Congress of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sts
  19. Folke, C. (1990). Evaluation of Ecosystem Life-Support in Relation to Salmon and Wetland Exploitation. Ph.D. dissertation, Stockholms University
  20. Gibbons, D. (1986). The economic value of water. Resources for the future
  21. Gosselink, J.G., Odum, E.P. and Pope, R.M. (1974) The value of the tidal marsh. Center for Wetland Resources, Louisiana State University
  22. Gray, S.L. and Young, R.A. (1984). 'The Economic Value of Water for Waste Dilution: Forecasts to 1980.' Journal of the Water Pollution Control Federation, Vol. 46, No. 7, pp. 1653-1663
  23. Merritt, L.B. and Mar, B.W. (1969). 'Marginal Values of Dilution Water.'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5, No. 6, pp. 1186-1195 https://doi.org/10.1029/WR005i006p01186
  24. Pearce, D. and Moran, D. (1994). The Economic Value of Biodiversity. Earthscan

Cited by

  1. Benefit analysis model of the national map revision program using replacement cost method vol.31, pp.1, 2013, https://doi.org/10.7848/ksgpc.2013.31.1.79
  2. Economic Analysis of Wastewater Reuse Systems for Agricultural Irrigation using a System Dynamics Approach vol.55, pp.2, 2013, https://doi.org/10.5389/KSAE.2013.55.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