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arth Science Teachers' Conceptual Types about Image Formation through a Telescope

망원경의 상 형성에 대한 지구과학교사들의 개념 유형

  • Lee, Seok-Woo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im, In-Sung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
  • Choe, Sung-Ur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eachers understand the principle of image formation of stars through a telescop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explanatory paper questionnaires given to 101 earth science teachers in the areas of Gyunggi province and Seoul. The questionnaires were cross-analyzed by three experts in earth science education. Result indicated that most of the participating teachers did not have systematic concepts about the process of making an image formed by a convex lens. Particulary, they did not sufficiently understand the concepts of an image and the functions of a screen. Furthermore, only 3% of the participants possessed the scientific concepts about the image formation principle of a star through the telescope. Most of the teachers seem to have non-scientific or alternative concepts about the image formation, which was only understanded with the fragmented characteristics about light and convex lens.

본 연구의 목적은 망원경에서 별빛이 결상되는 원리를 교사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경기도와 서울지역의 지구과학 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설명식 지필문항 검사를 수행하고, 지구과학교육 전공자 3명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교사들이 볼록렌즈에서 상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지 않았고, 특히 상의 개념과 스크린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많이 부족하였다. 또한 망원경에서 별빛이 결상되는 원리에 대한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는 교사는 참여교사의 3%로 극히 낮았으며 거의 대부분의 교사들이 볼록렌즈나 빛의 단편적인 성질을 이용하여 별빛의 결상을 이해를 시도하는 비과학적 혹은 대체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1995,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 서울
  2.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서울, 102 p
  3. 국동식, 2004, 대기와 해양의 몇 개념들에 대한 중·고등학교 과학교사의 개념. 한국지구과학회지, 25, 402-408
  4. 김수미·정영란, 1997, 항상성, 동식물 분류, 식물의 양분생산에 대한 학생의 개념 조사와 오개념 형성 원인으로써 교사 요인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 261-271
  5. 박현덕, 2002, 볼록렌즈와 편광을 통한 대학생의 광학 개념 고찰.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9 p
  6. 이은영, 2006, 렌즈에 의한 상형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문제 해결 과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1 p
  7. 정경수, 성민웅, 1999, 물관과 체관 개념 정의에서 생기는 교과서 및 중등 생물 교사들의 오개념 조사 연구. 27, 한국생물교육학회지, 185-193
  8. 정완호, 차희영, 강석본, 1993a, 고등학교 학생들의 생리학적 오개념.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1, 35-53
  9. Gilbert, J.H., Osborne, R.J., and Fensham, P.J., 1982, Children's science and it's consequences for teaching. Science Education, 66, 623-633 https://doi.org/10.1002/sce.3730660412
  10. Ginns, I.S. and Watters, J.J., 1995, An analysis of scientific understanding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 205-222 https://doi.org/10.1002/tea.3660320209
  11. Helm, H., 1980, Misconceptions in physics amongst South Africa students. Physics Education, 15, 92-105 https://doi.org/10.1088/0031-9120/15/2/308
  12. Ivowi, U.M.O. and Oiudotom, J.S.O., 1987, An investigation of source of misconceptions in physics. In Novak, J.D. (eds), Proc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seminar; Misconceptions and educational strategi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Vol III. Cornell University, Itaca, N.Y., 252-257
  13. Jenkins and White, 1965, Fundamental of Optics Forth edition, McGRAW-HILL BOOK COMPANY, 746 p
  14. Westbrook, S.L. and Marek, E.A., 1991, Across-age study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diffus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 649-660 https://doi.org/10.1002/tea.366028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