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the Attributes of Korean Celebrity Advertising Models on Chinese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Fashion Brands

한국 연예인 광고모델 속성이 중국 소비자 한국 패션브랜드 구매도에 미치는 영향

  • Kwon, Yoo-Jin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ung-Ang University) ;
  • Hong, Byung-So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ung-Ang University) ;
  • Seo, Si-Won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ung-Ang University) ;
  • Cho, Mi-Ae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ung-Ang University)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As the Korean cultural contents, such as drama, films, music, gained popularity in China, Korean fashion brands used Korean celebrities as their models to as a sales promotion strategy for Chinese consumers. With the point of view that the advertising model as a human capital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attributes of Korean celebrity advertising model, and to analyze effects on fashion brand recognition, preference,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With convenience sampling, the research surveyed Shanghai consumers in their 20's to early 30's who had purchased Korean fashion items. The 291 response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rist, Korean celebrity advertising model attribute factors were divided into similarity, familiarity, popularity, attractiveness and trust. Second, the brand recognition was affected by similarity, familiarity and popularity factors, and the brand preference was affected by similarity, familiarity, popularity and attractiveness factors. Third, the trust of Korean fashion brands was affected by similarity, familiarity, attractiveness, trust, brand recognition and brand preference. Lastly, the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Fashion brand was affected by similarity, familiarity, attractiveness, brand recognition, brand preference and brand trust.

Keywords

References

  1. 강태중. (2001). 브랜드 개성 형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유명인 광고모델의 속성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곽동성, 김성기. (2004). 유명인 광고모델의 속성이 광고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62(봄), 7−28
  3. 구효영. (2005). 자아일치성, 효용적 일치성, 소비자 만족 그리고 브랜드 신뢰의 관계에 대한 연구: 실용적 제품과쾌락적 제품 비교를 중심으로. 연세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기범, 차영란, 허성호. (2006). 브랜드 신뢰 경험의 구성요 소와 브랜드 신뢰, 브랜드 태도의 관계분석. 광고학연구,17(3), 107−124
  5. 김성기. (2002). 유명인 광고모델 속성이 아동들의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김종희. (2006). Produce Placement(PPL)가 브랜드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춘곤. (2008). 연예인 광고모델 속성이 외식브랜드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남인용. (1998). 유명옹호인(celebrity endorsers)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VisCAP 모형의 검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류강석, 박종철. (2004). 광고모델의 인종구성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제품 유형과 제품 원산지의 역할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5(4), 277−296
  10. 문영숙. (1990). 상품관여도와 celebrity endorsers의 광고효과 연구. 광고연구, 8(12), 253-281
  11. 박은아. (2007). 온라인 사용후기가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효과: 후기방향성, 브랜드 인지도, 제품 유형에 따른 차이. 광고학연구, 18(5), 7−22
  12. 신원혜. (2005). 패션브랜드 유형과 상품속성, 브랜드 인지 및 브랜드 태도와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3. 안광호, 황선진, 정찬진. (2005). 패션마케팅 (개정판). 서울:수학사
  14. 양윤, 채영지. (2004). 상표 성격과 광고모델 이미지의 일치성이 광고 및 상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15(1), 65−82
  15. 이두희. (2002). 광고론. 서울: 박영사
  16. 이상혁. (2006). 유명인 광고모델의 비교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신제품 관여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7. 이승희. (2005). 브랜드 이미지와 광고모델 이미지의 일치성이 패션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패션비즈니스, 9(4), 161−169
  18. 이종은. (1998). 광고기획론. 서울: 신성
  19. 임미연. (2006). 모발화장품의 브랜드 이미지와 광고모델 속성이 소비자의 행동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메이크업디자인학회, 2(2), 135−148
  20. 장형유. (2006). B2C쇼핑 사이트 내에서 고객신뢰 선행요인과 구매/재구매 의도 형성과정에 통합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1. 정두영. (2005). 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 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여성 의류브랜드 유형과 소비자 특성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조전근. (2008). 광고보증인의 유형과 성이 태도변용에 미치는 효과: 정보원의 공신력 및 제품 관여도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10(1), 165−194
  23. 최은주. (2008). 유명인 모델의 속성을 이용한 광고가 항공사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공경영학회지, 6(1), 185−198
  24. 한국패션센터. (2008). 중국 시장에 진출한 한국 브랜드 현황. 대구: 한국패션센터
  25. 한경희, 조재립. (2003). 브랜드 인지도와 관여도가 제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523−528
  26. 한상린, 성형석. (2006). 산업재 시장에서 브랜드 가치와 거래 성과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21(4), 135−164
  27. 한은경, 유재하. (2005). 한류의 인적 브랜드 자산 측정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방송광고공사
  28. 홍병숙. (1999). 의류광고 관여와 소구유형에 따른 광고효과-20~30대 직장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3(7), 1040−1051
  29. 홍병숙. (2007). 패션상품과 소비자행동 (개정판). 서울: 수학사
  30. 홍혜은, 나수임. (1999). 청소년의 TV미디어 스타에 대한 의복 동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서울 시내 여자 중,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7(6), 28−40
  31. 중국 시장 진출 한국 의류브랜드. (2007, 11. 30). 中國服裝网. 자료검색일 2008, 1. 25, 자료출처 http://www.efu.com.cn
  32. Aaker, D. A. (1991).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New York: Simon & Schuster
  33. Aaker, D. A. (1997).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4(Aug). 347−356 https://doi.org/10.2307/3151897
  34. Aaker, D. A. & Joachimsthaler, E. (2000). Brand leadership: Building assets in the information society. New York: The Free Press
  35. Agrawal, J. & Kamakura, W. A. (1995). The economy worth of celebrity endorses: an event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59. 59−62
  36. Dholakia, R. & Sternthal, B. (1977). Highly credibly sources: Persuasive facilitators or persuasive liabiliti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4), 223−232 https://doi.org/10.1086/208671
  37.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 (1995). Consumer behavior (8th ed.). New York: The Dryden Press
  38.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 1−22 https://doi.org/10.2307/1252054
  39. Keller, K. L. (1998).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New Jersey: Prentice- Hall
  40. Kotler, P. (2000). Marketing management: Analysis, planning and control.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41. Kumar, N. (1996). The power of trust in manufacturing retailer relationship. Harvard Business Review, Nov-Dec, 92−106
  42. Moorman, C., Zaltman, G., & Deshpande, R. (1992). Relationships between providers and users of marketing research: The dynamics of trust within and between organiz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9(3), 314−329 https://doi.org/10.2307/3172742
  43. Ohanian, R. (1991). The impact of celebrity spokesperson's perceived image on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1(1), 46−54
  44. Rossiter, J. R. & Percy, L. (1987). Advertising and promotion management. New York: McGraw-Hill, Inc
  45. Yoo, B. H., Donthu, N., & Lee, S. H. (2000). An examination of selected marketing mix element and brand equity. Journal of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8(2), 195−211 https://doi.org/10.1177/0092070300282002

Cited by

  1. The Impact of Korean Country Image on Brand Identity,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 Case for Chinese Consumers- vol.38, pp.2, 2014, https://doi.org/10.5850/JKSCT.2014.38.2.251
  2. The Effect of Korean Celebrity Advertising Models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for Chinese Apparel and Electronic Products vol.38, pp.3, 2014, https://doi.org/10.5850/JKSCT.2014.38.3.386
  3. Clothing behavior and attitudes of Indonesian consumers in their 20s~30s toward Korean fashion brands vol.24, pp.1, 2016, https://doi.org/10.7741/rjcc.2016.24.1.067
  4. The Relationships among Suitability of the Entertainer Advertising Model, Relationship Quality and Brand Loyalty in Coffee Shop vol.43, pp.3, 2015, https://doi.org/10.7469/JKSQM.2015.43.3.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