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주차장 리모델링 공사시 주동진입방법 선정 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Selecting Method of Entry for Apartment in Remodeling an Underground Parking Lot

  • 발행 : 2009.03.31

초록

20년 이상 경과된 노후 공동주택의 세대수는 향후 10년 이내에 350만 세대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될 전망이고 이에 대한 대책으로 리모델링이 활성화되고 있다. 주차장확대는 리모델링에 대한 요구사항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주차장확대 중 지하주차장에서 공동주택의 주동으로 진입하는 방법(이하 '주동진입방법'이라고 함)은 기존 엘리베이터의 수직 확장, 주차공간의 대소, 공사기간과 공사비 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확대 시 단지특성, 주동과 주차장의 연계성, 주민의 요구 등에 대한 정확한 평가 없이 경험적인 방법으로 주동진입방법이 결정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법과 절차에 따라 주동진입방법을 선정하여 지하주차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지하주차장 리모델링 공사시 주동진입방법 선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주차장확대 방식과 주동진입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전문가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주동진입방법별 특징을 분석하였고 주동진입방법 선정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영향요인은 시공성, 편의성, 경제성이 도출되었다. 그 후 AHP기법을 적용하여 선정된 영향요인에 대한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가중치 산정 결과 편의성이 가장 높은 값을 받아 주동 진입방법 선정에 제일 중요한 고려사항임을 밝혔다. 또 리모델링이 가능한 단지를 선정하여 주동진입방법별 현장적용성을 평가한 후 단지에 가장 적합한 주동진입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노후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리모델링 공사시 주동진입방법 선택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apartment complexes in Korea that are over 20 years old will rapidly increase to more than 3,500,000. Consequently, the remodeling of these buildings is being revitalized throughout the country. Among the requirements for such remodeling, the expansion of parking lots has considerable weight. When enlarging a parking lot, the access route from an underground floor to the main building (i.e., the means of entry into the main building) determines the possibility of vertical enlargement for elevators, the size of the parking lot,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expenses, etc. When enlarging an underground parking lot of an apartment complex, the access between the main building and the parking lot, as well as the inhabitants' requirements for entering the main building, are generally determined based on the designer's experience, rather than on the exact estimation of the peculiarity of the complex. In order to resolve such a problem, when enlarging an underground parking lot, a systematic and rational method is needed for selecting the means of entry into the main building. In this study, a selection model is derived for the method of selecting an access route into the main building when constructing an underground parking lot, in order to provide a reasonable decision-making process. A research method was investigated for determining the access route into the main building when enlarging a parking lot. On the basis of research carried ou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the characteristics for each means of entry into the main building were analyz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ection of the access route were deduced. The affecting factors selected were construction efficiency, convenience efficiency and economic efficiency. Weight values were then estimated for the selected affecting factors by applying the AHP method. Results showed that convenience efficiency, which gained the highest valu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electing the means of entry into the main building. The most suitable means of entry into the main building was also suggested after estimating the applicability of the site by selecting complexes with remodeling possibility. This study will be applied as a reference for selecting the means of entry into the main building when constructing an underground parking lot particularly for older apartment complex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정(2007), '지하구조물의 공법선정을 위한 요인분석', 한국건축시공학회, 제7권 제1호, pp. 37-40
  2. 박우열(2006), '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한 흙막이공법 선정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제7권 제2호, pp. 118-126
  3. 류한국(2006), '건설사별 공기비교를 통한 공기경쟁력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제7권 제1호, pp. 138-147
  4. 김선엽(2004), '국내 건설 업체 공기산정 기준 및 영향요인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제5회, pp.447-480
  5. 류한국(2005), '공동주택 프로젝트의 건설사별 공기경쟁력 비교분석', 대한건축학회, 제21권 제7호, pp. 131-138
  6. 김인기(2007),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주차장 확대유형과 적용에 관한 연구', 제23권 제6호, pp. 71-78
  7. 윤용진(2007), '방배동 궁전아파트 리모델링 공사', 건설기술/쌍용, 제42권, pp. 50-55
  8. 황경진(2007), '공동주택의 주차장 확대방식 선정 절차모델 개발', 대한건축학회, 제23권 제2호, pp. 151-160
  9. 노영창(2008), '거주중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확대를 위한 흙막이공법 선정', 한국건설관리학회, 제9권 제2호, pp.99-107
  10. 노후 공동주택의 구조 및 설비성능개선 기술개발 1차년도 연차실적보고서, 2006, pp 20-22, 76-78
  11. 노후 공동주택의 구조 및 설비성능개선 기술개발 3차년도 연구개발계획서, 2007, pp 1-5
  12. 노후 공동주택의 구조 및 설비성능개선 기술개발 3차년도 연차실적보고서, 2008, p.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