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Integrated Monitoring of Water Quantity and Quality Data

수량 및 수질관측 통합연계 운영 연구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Integrated information to water quantity and quality is essential for planning water resources management as well as operating water-related infrastructures. Because data collection process including monitoring and maintenance is separated in different governmental agencies in Korea, integrating quantity and quality may provide effective and better management implementation. In this study, a number of suggestions regarding integration of water monitoring were concluded in terms of technological, legal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discuss national water monitoring plan, national water information management plan, agreement of standard terms of monitoring between ministries, and to revise the law(river law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law). Present stations for water monitoring should be used for both of quantity and quality monitoring. If station is newly installed or relocated, it is better that one single agency maintain monitoring frequency and data management as well. In addition, a monitoring protocol need to be agreed by each of parties. In order to develop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quality assurance of the collected data should be properly maintained. Since many purposes haven been concerned using of data analysis and assessment so far, it may not be easy to integrate water quantity and quality monitoring in a short period. However, the alternatives including enhancing institutional regulations and programs, advanced technology may promote an efficient integrated water monitoring.

수량과 수질에 관한 정보는 수자원 관리뿐만 아니라 수공구조물의 계획, 설계 및 운영에 필수적인 자료로 활용된다. 우리나라에서 수량과 수질에 대한 정보는 목적에 따라 여러 기관에 의해 관측되고 있어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측면과 법, 제도 측면에서 수량과 수질 연계방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국가수문관측계획 및 국가물정보관리계획, 부처간 관측 표준과 정보인증 과정에 대한 협의, 관련 법령(하천법과 수질관련법)의 개정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설치되어 있는 수량 수질관측소를 유지하고 신규관측소나 교체해야 할 관측소에 대해서는 통합관측을 수행하며, 자료의 관리 및 유통에 대한 단일 기구를 설립해야 한다. 그리고 관측기준을 명확히 확립해야 하며, 통합관리안을 만족시키기 위해 각 부처별로 산재된 정보를 중앙집중식으로 자료 관리를 수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각 부처별 자료의 신뢰도 및 자료품질에 대한 검증이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다양한 이해관계 때문에 단기간 내에 수량과 수질 연계관측에 관한 문제들을 해결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본 연구에서 도출된 법, 제도, 기술적 제안사항들은 중, 장기적으로 수량과 수질 관측의 효율적인 연계방안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09) 수문조사 방법 및 기준 표준화 연구 보고서
  2. 건설교통부 (2001) 수문관측효율성 제고방안 연구 보고서
  3. 건설교통부 (2002) 수문관측효율성 제고방안 연구용약(2단계) 보고서
  4. 건설교통부 (2004) 수문관측매뉴얼
  5. 건설교통부 (2005) 수문조사 선진화 5개년 계획
  6. 건설교통부 (2006) 실시간 물관리시스템 구축 연구(1차) 보고서
  7. 과학기술부 (2004) 지표수 조사기술 개발
  8. 국토해양부 (2006) 국가유량측정망구축보고서
  9. 김원 (2002) 수문관측 관련 국제 기준의 소개, 건설기술정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224호
  10. 여운광 (2005) 국내 수문조사의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수자원학회 지, 한국수자원학회, Vol. 38, No. 5, pp. 44-48
  11. 한국수자원학회 (2005) 한국수자원학회 (2005) 하천설계기준.해설
  12. 환경부 (2004) 수질측정망 확충계획 및 운영관리 개선방안 연구
  13. 환경부 (2008) 수질측정망 운영계획
  14. EPA (2003) Elements of a State Water Monitoring and Assessment Program
  15. Lo, S.L., Kuo, J.T., and Wang, S.M. (1996)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Design of Keelung River, North Taiwan.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34, No.12, pp. 49-57 https://doi.org/10.1016/S0273-1223(96)00853-0
  16. Ning, S.K., Chang, N.-B., Yang, L., Chen, H.W., and Hsu, H.Y. (2001) Assessing Pollution prevention Program by QUAL2E Simulation Analysis for the Kao-Ping River Basin, Taiwan.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61, No.1, pp. 61-76 https://doi.org/10.1006/jema.2000.0397
  17. USGS (2007) Facing tomorrow's challenges-U.S. Geological Survey science in the decade 2007–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