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Effect of Learning Orientation of the Employees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on Job Satisfaction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학습지향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employees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have an importance of learning due to jop specialty more than any one else. That is because there are a variety of increasing needs in social welfare services and customer-oriented welfare services. On the basis of that, this study shows how learning orientation theories as a new organization management strategy affects the employees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t shows cause and effect relation by establishing hypothesis model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es. It performed empirical analysis on the employees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G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the hypothesis was tested that learning flow, vision sharing, opennes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member's jop satisfaction. It implies that job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if the level of learning flow, vision sharing, openness of the employees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re promoted.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은 업무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그 어느 조직보다도 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조직이다. 이는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욕구 다양화 및 수요자중심의 복지 서비스 증진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이 연구는 새로운 조직 관리 전략의 하나로써 거론되고 있는 학습지향성 이론들이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해 보려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고 이들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광역시 소재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기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지향성 요인인 학습몰입, 비전 공유, 개방성은 구성원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검증되었다. 이는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에 대한 학습몰입의 수준, 비전공유의 수준, 개방성의 수준을 높여준다면 직무만족을 제고시켜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배종태. "개발도상국의 기술내재화 과정: 기술선택요인 및 학습성과분석," 한국과학기술원 박사학위논문, 24쪽, 1987년.
  2. 박광량. "조직학습, 학습조직, 그리고 학습인," 학습조직의 이론과 실제, 삼성경제연구소, 77쪽, 1996년.
  3. 배용태. "조직학습이 조직변화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방행정기관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쪽. 2002년,
  4. J. M. Sinkula, W. Baker & T. G .Noordewier, Sinkula, B, & Noordewier., "A Framework for Market-Based Organizational Learning: Linking Values, Knowledge and Behavior,"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5, pp.305-318. 1997. https://doi.org/10.1177/0092070397254003
  5. 이관표. "호텔기업의 경형형태와 환경불확실성에 따른 학습지향성 및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38쪽. 2004년.
  6. 전용득. "공공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쪽. 1998년.
  7. 이동수.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공정성 인식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친 영향," 2008 한국정부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190쪽, 2008년.
  8. 신유근. "조직행위론," 다산출판사, .371-372쪽. 1991년.
  9. 오정숙. "한국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쪽. 2001년.
  10. H. C. Smith, "Psychology of Industrial Behavior," N. Y.: McGraw-Hill, pp. 114-115. 1955.
  11. B. H. Gilmer, "Industrial Psychology, Tokyo:," McGraw-Hill Kogqkusha, pp. 225, 1969.
  12.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ed. In Dunnette,"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pp. 130. 1976.
  13. 신유근,"조직행위론," 다산출판사, 1994년.
  14. 이종범,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쪽. 1995년,
  15. 박기관, "자치단체장의 리더십과 공무원의 직무만족 및 행정성과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쪽, 1999년,
  16. 이수도. "조직문화가 조직학습 유형에 미치는 영향" , 경영교육논총, 제29집. 5-6쪽. 2003년,
  17. J. M. Sinkula, W. Baker & T. G. Noordewier, "A Framework for Market-Based Organizational Learning: Linking Values, Knowledge and Behavior,"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 25, pp. 305-318. 1997. https://doi.org/10.1177/0092070397254003
  18. J. C Nunnaly & I. H. Bernstein,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McGraw-Hill, pp. 251-255.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