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기업의 BSC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남부발전(주)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Implementing BSC in the Public Enterprises : The Case of Korea Southern Power

  • 서우종 (인하대학교 경영학부) ;
  • 박진배 (한국나부발전(주) 대외지원훈련팀) ;
  • 홍진원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발행 : 2009.12.30

초록

전략적 성과관리체계인 BSC(Balanced Scorecard)는 조직 성과향상을 위한 혁신적 도구로서 주목받아 오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정부는 BSC의 장점을 인식하고 공기업들이 BSC를 구축하여 조직을 혁신하고 성과를 극대화하도록 유도해왔다. 그러나 많은 공기업들의 경우 BSC 고유의 특성과 장점에 대한 충분한 공감대를 확보하지 못하고 기존의 평가 제도나 조직 문화의 특성으로 인해, 효과적인 BSC 구축 및 BSC 성과의 극대화에 어려움을 겪어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업 중 성공적으로 BSC를 도입한 것으로 평가를 받고 있는 한국남부발전(주)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공기업이 BSC를 구축할 때 수행해야 하는 활동 및 절차, 필요 자원(인력, 시간), 주요 의사결정 이슈 등을 실제 산출물과 함께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프로젝트 세부 사항들은 공공기관 또는 비영리 기관들이 BSC를 구축하는 데 유용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사례 기업이 BSC 구축과정에서 겪은 문제점에 대한 극복 노력과 이를 기반으로 도출한 시사점들은 BSC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다른 조직들에게 유용한 경험 지식과 통찰력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BSC(Balanced Scorecard), a strategic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has drawn attention as an innovative tool for improving an organization's performance.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ognized the advantages of the BSC and encouraged public enterprises to implement the BSC. Howeve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many public enterprises have faced difficulties in constructing and operating the BSC due to lack of clear understanding, a complex environ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inherent features of organizational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a project case of a public enterprise, Korea Southern Power (KSP), which has ever been assessed as an excellent organization in implementing BSC and managing performance. This paper provides procedures, activities, resources (manpower and time), and decision-making issues and criteria required for implementing BSC, along with real project outcomes of the company. Such project details are expected to be used as helpful guidelines for public or non-profit organizations's BSC implementation. Furthermore, the KSP's efforts to cope with its problems and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efforts are also expected to help other organizations construct and operate the BSC effec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R. S. Kaplan and D. P. Norton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as a strategic management system," Harvard Business Review, vol. 74, no. 1, pp.75-85, 1996.
  2. R. S. Kaplan and D. P. Norton, "Having trouble with your strategy? Then map It," Harvard Business Review, vol. 78, no. 5, pp.167-176, 2000.
  3. R. S. Kaplan and D. P. Norton, Strategy Maps: Converting Intangible Assets into Tangible Outcomes,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4.
  4. R. S. Kaplan and D. P. Norton, "The balanced scorecard: 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vol. 70, no. 1, pp.71-79, 1992.
  5. P. R. Niven, Balanced Scorecard Step-by-Step: Maximizing Performance and Maintaining Results,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2002.
  6. 기획예산처, "2004년도 공기업 산하기관 경영혁신 추진지침," 2004.
  7. 디지털타임즈, “공공부문 BSC 시장 활짝 핀다," 2005.3.31.
  8. 디지털타임즈, “공공 BSC 프로젝트 확산급 물살," 2006.2.8.
  9. 김선명, “공공기관 평가에서 균형성과표(BSC)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 12권, 제2호, pp.291-319, 2006.
  10. 디지털타임즈, "공공 BSC 프로젝트 부실 막아야," 2006.4.26.
  11. 장지인, 지성권, 송신근, 신성욱, 오상회, “정부기관 성과관리시스템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관리회계연구, 제7권, 제3호, pp.61-105, 2008.
  12. 김희경, 성은숙, BSC 실천 매뉴얼, 서울: (주)시그마인사이트컴, 2001.
  13. 정명환, 육근효, 주태순, 전민식, “정부부문의 BSC 도입 및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관세청의 사례,” 관리회계연구, 제7권, 제3호, pp.107-150, 2008.
  14. 신홍철, “대한민국 정부의 성과관리 과제와 개선방안,” 관리회계연구, 제7권, 제3호, pp.19-59, 2008.
  15. 이정훈, 임종호, "정보통신부 BPM 기반의 전략적 성과관리 설계 및 적용사례분석,”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9권, 제 1호, pp.215-231, 2007.
  16. H. G. Rainey, R. W. Backoff, and C. H. Levine, "Comparing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36, no. 2, pp.233-244, 1976. https://doi.org/10.2307/975145
  17. 정광호, 김태일, "공공부문 조직과 민간기업 조직의 직무만족도 비교분석: 한국노동 패널연구 (KLIPS)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 정책학회보, 제12권, 제3호, pp.1-29, 2003.
  18. J. M. Shafritz, E. W. Russell, and C. P. Borick, Introducing Public Administration, 5th ed., Pearson Education, Inc., 2007.
  19. K. J. Euske, "Public, private, not-for-profit: Everybody is unique?," Measuring Business Excellence, vol. 7, no. 4, pp.5-11, 2003. https://doi.org/10.1108/13683040310509250
  20. 류영달, "우리나라 공공기관 지식관리시스템 구축의 현황과 개선방안: 정책적 입장에서의 방향제시를 위하여," 지식연구, 제1권, pp.75-103, 2003.
  21. G. A. Boyne, "Public and private management: Whats the differenc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vol. 39, no. 1, pp.97-122, 2002. https://doi.org/10.1111/1467-6486.00284
  22. S. Borins, "Encouraging innovation in the public sector," Journal of Intellectual Capital, vol. 2, no. 3, pp.310-319, 2001. https://doi.org/10.1108/14691930110400128
  23. A. Harenstam, E. Bejerot, O. Leijon, P. Scheele, K. Waldenstrom, and The MOA Research Group, "Multilevel analyses of organizational change and working conditions in public and private Sector,"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13, no. 3, pp.305-343, 2004. https://doi.org/10.1080/13594320444000119
  24. N. G. Olve, J. Roy, and M. Wetter, Performance Drivers: A Practical Guide to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New York: Wiley & Sons, Inc., 1999.
  25. R. Greatbanks and D. Tapp, "The impact of balanced scorecards in a public sector environment: Empirical evidence from Dunedin City Council, New Zea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s & Production Management, vol. 27, no. 8, pp. 846-873, 2007. https://doi.org/10.1108/01443570710763804
  26. F. Fameti, "Balanced scorecard implementation in an Italian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Public Money & Management, vol. 29, no. 5, pp.313-320, 2009. https://doi.org/10.1080/09540960903205964
  27. N. S. Eickelmann, "A comparative analysis of BSC as applied in government and industry organizations," In W. Van Grembergen(Ed.), Information Technology Evaluation Methods & Management, Hershey, PA: Idea Group, pp. 253-268, 2001.
  28. P. R. Niven, Balanced Scorecard Step-by-Step for Government and Not-for-Profit Agencies,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2003.
  29. R. K Yin,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Sage Publications Inc., 2003.
  30. 이형우, 임동환, “BSC의 관점에서 공기업의 성과평가 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부동 한학보, 제25권, pp.219-236, 2005.
  31. 제갈돈, 송건섭, “지방공기업 경영혁신을 위한 통합성과평가모형 구축방안" 정책분석 평가학회보, 제19권, 제2호, pp.87-115, 2009.
  32. 한국남부발전(주) , “중기업무계획," 2007.
  33. 한국남부발전(주), “경영전략시스템," 2008.
  34. 한국남부발전(주), “경영전략시스템 및 내부평가 개선관련 설문결과", 2007.
  35. C. Umashev and R. Willett, "Challenges to implementing strategic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in multi-objective organizations: The case of a large local government authority," Abacus, vol. 44, no. 4, pp.377-398, 2008. https://doi.org/10.1111/j.1467-6281.2008.0026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