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2008년도 사일리지 품질경연대회에 출품한 청보리의 품질 평가

Evaluation of Whole Crop Barley for Silage Quality Contest in 2008

  • 이종경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김종덕 (천안연암대학 산학협력단) ;
  • 이현진 (천안연암대학 산학협력단) ;
  • 전경협 (천안연암대학 산학협력단) ;
  • 김종근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서성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정민웅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최진혁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조남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박형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김원호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임영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발행 : 2009.12.31

초록

최근에 청보리 사일리지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조사료이지만 농가에서 제조한 사일리지의 품질에 관한 분석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8년 사일리지 품질경연대회에 출품한 농가의 청보리 사일리지 33점의 품질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품질평가는 생산지역, 생산량, 첨가제 사용유무, 파종시기 및 수확시기에 따라 비교하였다. 청보리 사일리지 생산지역별 품질의 비교에서는 젖산 함량은 생산지역, 건물수량, 첨가제사용유무, 수확시기에서 처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나, 다른 성분은 부분적으로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즉, 수분 함량은 농가의 건물수량에서, pH는 첨가제 사용유무에서, 조회분 함량은 첨가제와 파종시기에서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또한 조단백질은 생산지역, 조지방은 생산지역, 건물수량 및 수확시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나, 비섬유 성탄수화물은 파종시기에서 처리간에 차이가 있었다. 한편 조사료 평가의 중요한 요인인 NDF, ADF 및 RFV는 청보리 생산지역에서만 처리간에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청보리 사일지리의 품질에서는 수분과 pH 뿐만아니라 화학성분과 유기산 평가도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 되었다. 특히 유기산 중에서 젖산 함량은 청보리 사일리지의 품질 평가에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었다.

The barley (Hordeum vulgare L.) is now widely grown as a whole crop silage in Korea, but the quality of that silage does not examined from farms.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orage quality of whole crop barley that was participated in Silage Quality Contest in 2008. These data were classified by region, dry matter (DM) yield, with or not additive, planting and harvest date. Difference on the lactic acid content of barley silage was detected in the region, DM yield, additive and harvest date (p<0.05), however,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emical compos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moisture content in DM yield, pH in additive, and crude ash content in additive and planting date of barley silage. Crude protein content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gion, and ether extract content was in region, DM yield and harvest date, however, non-fiber carbohydrat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nting date of barley silage. Neutral detergent fiber, acid detergent fiber and relative feed valu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cultivation region of whole crop barley. According to this experiment, differences in the silage quality were observed among whole crop barley silages. Therefore, nutritive value as well as moisture and pH are important in silage quality evaluation of whole crop barley. Especially, lactic acid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evaluation of whole crop barley silage.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찬호, 우병준. 2006. 조사료의 수급현황과 과제. In 농업전망 200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pp. 551-575
  2. 김문철, 조무환, 송상택, 박형수. 2007. 조사료 이용학. 제주문화
  3. 김종근, 함준상, 정의수, 박형수, 이종경, 정민웅, 최기춘, 조남철, 서 성. 2009a. 보리 사일리지용 미생물의 발효능력 평가. 초지조사료지 29(3): 235-244 https://doi.org/10.5333/KGFS.2009.29.3.235
  4. 김종덕, 권찬호, 김종근, 김창현, 노환국, 윤영만, 이종경. 2009b. 조사료 생산 및 이용. 신광종합출판
  5. 김원호, 서 성. 2006. 총체보리를 중심으로 한 동계 사료작물의 재배 및 이용기술. 한국초지학회 2006년도 학술심포지엄. pp. 37-57
  6. 농촌진흥청. 2007. 고품질 조사료 자급을 위한 청보리 품종개발 및 생산과 이용. 삼미기획
  7. 농촌진흥청. 2008a. 사료비 절감을 위한 조사료 생산 이용. 삼미기획
  8. 농촌진흥청. 2008b. 사료비 절감을 위한 조사료 연중 생산체계 확립 토론회.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9. 서 성. 2008. 국내 조사료자원의 개발과 이용. 동물자원과학회 학술발표회 Proceeding (Vol.I )
  10. 송태화, 한옥규, 윤성근, 박태일, 서재환, 김경훈, 박기훈. 2009. 사료맥류의 생육단계별 수량 및 품질 변화. 초지조사료지. 29(2):129-136 https://doi.org/10.5333/KGFS.2009.29.2.129
  11. 윤성근, 박태일, 서재환, 김경훈, 송태화, 박기훈, 한옥규. 2009. 청보리 품종의 적정 수확시기 및 사료가치 평가. 초지조사료지. 29(2):121-128 https://doi.org/10.5333/KGFS.2009.29.2.121
  12. 이준우, 성경일, 김곤식, 이준섭. 2005a. 제1회 자급조사료 품질경연대회. 생볏짚 원형 곤포 사일리지의 도별 품질분석 결과. 2005년도 한국초지학회 제43회 학술발표회 Proceeding pp. 184-185
  13. 이준우, 성경일, 김곤식, 장희영. 2005b. 제1회 자급조사료 품질경연대회. 옥수수 사일리지의 도별 품질분석 결과. 2005년도 한국초지학회 제43회학술발표회 Proceeding pp. 182-183
  14. 이준우, 성경일, 김곤식, 이혜성. 2005c. 제2회 자급조사료 품질경연대회. 옥수수 사일리지 도별 품질분석 결과. 2005년도 한국초지학회 제43회 학술발표회 Proceeding pp. 196-197
  1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농업전망 2009 (I,II). 경희정보인쇄
  16.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Washington, DC
  17.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ic. Handbook 379, U. 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18. Holland, C., W. Kezar, W.P. Kautz, E.J. Lazowski, W.C. Mahanna and R. Reinhart. 1990.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Des moines, IA
  19. McCullough, M.E. and K.K. Bolsen. 1984. Silage management. Nat. Feed Ingred. Assoc., West Des Moines, Iowa
  20. SAS. 2000. 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 8.01. SAS Institute Inc., Cary, NC.
  21. Seo, S. 2009. Development of new varieties and production of forages in Korea. J. of Kor, Grassl Forage Sci. 29 (Suppl.):1-10 https://doi.org/10.5333/KGFS.2009.29.1.001
  22. Seo, S. W.H. Kim and J.G. Kim. 2006.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whole crop barley and whole crop rice in Korea. Chinese J. of Grassl. Sci. 16 (Suppl.):274-279
  23. Weinberg, A.G. and R.E. Muck. 1996. New trends and opportunities in the development and use of inoculants for silage. FEMS Microbiol. Rev. 19:53-68 https://doi.org/10.1111/j.1574-6976.1996.tb00253.x
  24. Zahiroddini, H., J Baah and T.A. McAllister. 2006. Effects of microbial inoculants on the fermntation, nutrient retention, and aerobic stability of barley silage. Asian-Aust. J. Anim. Sci. 19(10): 1429-1436 https://doi.org/10.5713/ajas.2006.1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