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jang's Role and Stress as an Emergency Manager

재난관리자로서 이장의 역할과 스트레스에 관한 분석

  • 김만재 (강릉원주대학교 지역개발학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evolving role of ijang(village representative) and his job stress during Pyeongchang floods in 2006. Results based on telephone survey and interviews reveal that ijang played a crucial role in evacuating residents, allocating resources and commanding the recovery, although official job description considered him as only a mediator between local officers and villagers. Moreover, unexpected enormous burden created severe job stress to many ijangs; while 60 percent felt like quitting the job, about three fourth felt fretful whenever the telephone rang and lost some weights. Chi-square analysis also indicated that previous job training, villagers' abuse, and disaster damag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job str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mergent human resources model rather than the command and control model can be an effective approach for a disaster management plan in rural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2006년 평창 수해를 겪으면서 마을 대표인 이장이 수행한 역할과 업무 스트레스를 조사하는데 있다. 전화 설문과 인터뷰에 기반한 연구 결과를 보면, 공식적으로 이장의 역할은 행정기관과 마을 주민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한되어 있으나, 실제 재난 과정에서 이장은 주민들을 대피시키고, 자원을 배분하고, 복구를 지휘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예기치 않은 과도한 부담으로 인하여 상당수의 이장들은 심각한 업무 스트레스를 겪은 것으로 밝혀졌다; 60 퍼센트의 이장들은 이장 업무를 그만두고 싶었고, 약 4분의 3에 해당하는 이장들은 전화 벨이 울릴 때마다 놀랐거나, 몸무게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카이 제곱 검정 결과에 의하면, 사전 교육, 마을 주민들로부터 욕을 들었는가의 여부, 재난 피해는 업무 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 지역의 재난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명령 통제 모델보다는 발현적 인적 자원 모델이 더 효과적인 접근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도 (2006) 2006년도 안전관리계획. 강원도
  2. 권순찬, 송재철, 이수진, 김인아, 고재우, 류현철, 김석현, 김대호, 정승아 (2008) 일개 소방서 소방관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및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193-204
  3. 김승태, 김병로, 홍경수, 정유숙, 유범희, 김도관 (1997) 삼풍사고 생존자들에서의 급성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발생빈도, 예측인자, 증상 변화에 대한 예비적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6권, 제3호, pp. 475-487
  4. 김영운 (2005) 통.리장 제도에 관한 연구: 사천시 통.리장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5. 박지영 (2004) 119 구조대원 및 그 가족의 정서적 반응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서비스와 산업복지의 접목을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17권. pp. 158-191
  6. 이은정, 임경희, 김정범, 류설영 (2007) 대구 지하철 화재 사고 부상자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신경정신의학 제46권, 제1호, pp. 79-86
  7. 전병호 (2005) 이장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울진군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영남대학교
  8. 조석주, 박기관 (2004) 이장제도 운영의 실태 분석 및 발전방안: 지방공무원의 의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6권, 제1호, pp. 73-92
  9. 조한종 (2006) 수해 평창 이장 수난시대 서울신문 8월 3일
  10. 정조인 (2003) 통.이장 인기 하늘을 찌른다 http://www.ohmynews.com
  11. 평창군 (2006) 2006년도 자연재난유형별표준행동 매뉴얼. 평창군
  12. 평창군 (2007a) 2007년도 통계연보. 평창군
  13. 평창군 (2007b) 2007년도 안전관리계획. 평창군
  14. 평창군 (2008) 2006평창군수해백서. 평창군
  15. Drabek, T.E. (1996) The Social Dimensions of Disaster. FEMA Emergency Management Institute, Emmitsburg, Maryland
  16. Dynes, R.R. (1983) Problems in Emergency Planning. Energy, Vol. 8, No. 8-9, pp. 653-660 https://doi.org/10.1016/0360-5442(83)90035-X
  17. Dynes, R.R. (1994) Community Emergency Planing: False Assumptions and Inappropriate Analo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Mass Emergencies and Disasters, Vol. 12, No. 2, pp. 141-158
  18. Green, B.L. (1985) Overview and Research Recommendations. Role Stressors and Supports for Emergency Workers. Center for Mental Health Studies of Emergencies.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Rockville, Maryland. pp. 1-20
  19. Hartsough, D.M. (1985) Emergency Organization Role. Role Stressors and Supports for Emergency Workers. Center for Mental Health Studies of Emergencies.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Rockville, Maryland. pp.48-58
  20. Neal, D.M., and Phillips, B.D. (1995) Effective Emergency Management: Reconsidering the Bureaucratic Approach. Disasters, Vol. 19, No. 4, pp. 327-337 https://doi.org/10.1111/j.1467-7717.1995.tb00353.x
  21. Quarantelli, E.L. (1982) Ten Research Derived Principles of Disaster Planning. Disaster Management, Vol. 2, pp. 23-25
  22. Quarantelli, E.L. (1988) Disaster Crisis Management: A Summary of Research Findings.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Vol. 25, No. 4, pp. 373-385 https://doi.org/10.1111/j.1467-6486.1988.tb00043.x
  23. Simpson, D.M. and Howard, G.A. (2001) Issues in the Profession: The Evolving Role of the Emergency Manager. Th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Professional Emergency Planners, Vol. 8, pp. 6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