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urface Energy Change of TAC Film Treated by an Atmospheric Pressure Plasma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TAC 필름의 표면에너지 변화

  • 이창호 (영남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
  • 정도영 (강원대 방재전문대학원) ;
  • 박영직 ((주)서광전기컨설팅) ;
  • 송현직 (영남이공대학 전기자동화과) ;
  • 이광식 (영남대학교 전기공학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ri-acetyl-cellulose(TAC) film surface was modified by atmospheric-pressure plasma technique to obtain the hydrophilic functional groups and improve the contact angle. TAC film was modified with N2 plasma ionized i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DBD) reactor under atmospheric pressure. We measured the change of the contact angle and the surface energy with respect to the plasma treatment conditions such as plasma treatment power, discharge gap and N2 gas flow rate. As the plasma treatment speed of 100[mm/sec], the plasma treatment power of 1.5[kW], discharge gap 2[mm] and the $N_2$ gas flow rate 140[LPM], the best contact angle and the highest surface energy were obtained. The degree of hydrophilization depended strongly on the plasma-treating time and discharge power.

표면의 친수성 작용기 형성과 접촉각 향상을 위하여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Tri-acetyl-cellulose(TAC) 필름에 대한 표면개질을 연구하였다. TAC 필름의 표면개질 목적으로 대기압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한 Dielectric barrier discharge(DBD) 구조의 플라즈마 반응기 내에서 이온화된 질소 플라즈마를 사용하였다. 플라즈마 처리 공정변수인 처리속도, 방전전력, 방전 갭 및 질소 가스 유속을 변화시켜가며 접촉각을 측정하여 접촉각과 표면에너지 변화를 검토하였다.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속도 100[mm/sec], 방전 전력 1.5[kW], 방전 갭 2[mm] 및 $N_2$ 가스유량 140[LPM] 에서 가장 높은 접촉각과 표면에너지 값을 보였다. 표면친수화의 정도는 플라즈마 방전 전력과 처리 시간에 의존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C. Liu, N. M. D. Brown, and B. J. Meenan, Surf. Sci., 575,273(2005) https://doi.org/10.1016/j.susc.2004.11.026
  2. H. S. Joo, D. H. Lim, Y. J. Park, and H. J. Kim, J. Adh. Inter.,6, 19 (2005)
  3. M. Noeske, j. dEGENHARDT, S. Strudthoff, and U. Lommntzsch, Int. J. Adhes., 24, 171 (2004) https://doi.org/10.1016/j.ijadhadh.2003.09.006
  4. Y. M. Chung, M. J. Jung, J. G. Han, M. W. Lee, and Y. M. Kim, Thin Solid Films, 447-448, 354 (2004) https://doi.org/10.1016/S0040-6090(03)01080-0
  5. 양인여, 명성운, 최호석, 김인호, '대기압 플라스마에 의한 폴리우레탄 필릉의 표면 개질', polymer(korea), Vol.29, No.6, pp581-587,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