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f Play and Leisure Activity Preference on Children and Youths

아동 및 청소년의 활동 선호도 연구

  • Chang, Ki-Ye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Woosong University) ;
  • Ryu, An-Na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Woosong University)
  • 장기연 (우송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류안나 (우송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09.11.24
  • Accepted : 2009.12.18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hildren' preference in play and leisure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age, gender, demographic, school interest and scholastic performance. Method : A total of 204 children and youths aged in 8-17 years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 were recruited. The preference of activities was asked by using the questionnaire and the PAC Korean version. Results : There are differences in activity preferences according to age, gender, school interest. Girls showed higher preference in most PAC scales except for physical activities than boys. As the younger children are, the greater preference in recreation activities is show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activity preference in demographic variable and scholar performance. The higher interest of school the children had, the greater preference in formal and social activities was shown. Conclusions :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is play and leisure activity preference in children and youths according to age, gender, and school interest.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with school-aged children and youths.

목적: 본 연구는 아동과 청소년의 놀이 및 여가 활동(이하 활동) 선호를, 파악, 하고, 성별 연령 지역 학교생활의 흥미 및 학업 성취도 따른 활동 선호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광역시 및 군 지역에 거주하는 8~17세 아동과 청소년 204명이며, 일반적인 정보, 학교생활의 흥미 및 학업성취도를 포함한 질문지와 한국판 PAC를 이용하여 활동의 선호를 알아보았다. 결과: 성별에 따른 활동 선호 점수는 신체적 활동에서 남학생의 선호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 그 외 모든 항목에서 여학생의 선호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연령에 따른 활동 선호에서 레크리에이션 활동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선호점수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PAC 총점은 초등학생, 고등학생, 중학생 순으로, 형식적 활동과 기술기반 활동은 고등학생, 초등학생, 중학생 순으로 유의하게 선호점수가 높았다. 거주 지역에 따른 활동 선호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교생활의 흥미에 따른 활동 선호는 형식적 활동과 사회적 활동에서 학교생활의 흥미가 높을수록 활동 선호도 점수가 유의미 하게 높았다. 학업성취도에 따른 활동 선호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아동 및 청소년의 활동 선호도는 연령별, 성별, 학교생활에 흥미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아동과 청소년 작업에 개입하여 치료하는 작업치료사에게 중요한 기초 정보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