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Metadata Elements for Digital Image Records Management

디지털이미지 기록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연구

  • Lee, Ji-Young (Dep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Yonsei University) ;
  • Kim, Hee-Jung (Library & Information Services, 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 이지영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 김희정 (국제백신연구소 정보자료실)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As the importance and proportion of electronic records increases in the public sector, the necessity for variable types of records management has strengthened. Elements of records management metadata standards, which were provided in 2007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focused mainly on text-centered records management standards. Therefore an extension of elements which can represent diverse types of electronic records is needed. In this study, metadata elements focusing on image records are suggested. For this, the characteristics of image records are investigated and the Australian government recordkeeping metadata standard and the PREMIS data dictionary, which have been recently modified, are analyzed. Through this, four elements, format, significant properties, environment, and coverage are suggested to fortify the current records management standard.

공공기관 내에서의 전자기록물의 중요성과 비중이 높아져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기록물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2007년 제안된 국가기록원의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안의 요소들은 주로 텍스트 형태의 기록물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다양한 유형의 전자기록물을 표현할 수 있는 요소의 확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기록물에 초점을 맞추어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미지 기록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최근에 그 개정판이 제공 된 호주 국가기록원의 Australian government recordkeeping metadata standard와 PREMIS 데이터사전과 요소들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포맷(format), 중요속성(significant properties), 환경(environment), 범위(coverage)등의 네 요소의 수정 및 추가를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기록원. 2007.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 - 현용.준현용 기록물용 -. [2009. 06.15]. .
  2. 국가기록원. 나라기록포털. [2009.06.15]. .
  3. 곽정. 2007. 현용.준현용 단계의 기록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기록학연구, 16호: 3-37.
  4. 김용, 김늘봄, 이태영. 2008. 이메일기록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요소 선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5(4): 87-112.
  5. 김효원, 윤용익. 2008. 이미지자료에 대한 디지털아카이브 워크플로우와 메타데이터에 대한연구. 한국정보과학회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35(2): 82-85.
  6. 김희정. 2003. 디지털 아카이빙 최근 연구동향 및 OAIS 참조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3(1): 23-42.
  7. 설문원. 2004. 행정기관의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요소 분석- ISO 15489를 기준으로-. 한국비블리아, 15(1): 217-241.
  8. 오삼균, 권기성. 2007. 전통예술자료 아카이빙을 위한 보존 메타데이터 설계에 관한 연 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387-412.
  9. 이정연. 2009. 구술사 기록물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모델링 및 표준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6(1): 163-184. https://doi.org/10.3743/KOSIM.2009.26.1.163
  10. 최상미, 리상용. 2007. 현용전자기록물의 메타데이터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1): 39-60.
  11. 홍재현. 2005. 디지털 정보자원을 위한 보존 메타데이터 요소 설정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3): 175-204.
  12. CURL Exemplars in Digital ARchiveS (CEDARS). [cited 2009.06.20]. .
  13. Data Capture Solutions Ltd. 2005. Whitepaper on ISO 15489 - Records Management. [cited 2009.06.20]. .
  14. InterPARES. [cited 2009.06.20]. .
  15.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2008. Australian Government Recordkeeping Metadata Standard Version 2.0. [cited 2009.06.30]. .
  16. Priscilla Caplan. 2009. Understanding PREMIS. [cited 2009.06.30]. .
  17. PREMIS Editorial Committee. 2008. PREMIS Data Dictionary for Preservation Metadata version 2.0. [cited 2009. 06.30]. .
  18. Reference Model for an Open Archival Information System(OAIS). [cited 2009.06.30]. .
  19. Tough, Alistair and Moss, Michael. 2006. Record Keeping in a Hybrid Environment. Oxford: Chandos,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