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Improvement of Gesture Function according to the Sleeve's Height and Existence of Elastic - Focused o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ummer Blouses -

소매산의 높이와 신축성 유무에 따른 동작기능성에 관한 연구 - 여고생 여름 교복 블라우스를 중심으로 -

  • Park, Kil-Soon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Ryu, Sin-A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study is to present a female high school summer blouse with high movement functionality and satisfying appearance. For the experimental research 6 subjects with closest average body shapes and their body surface was measured at beginning and after selecting a representative movement the tested uniform was worn and the appearance and movement functionality was evalua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In the research with the aims to improve the sleeve designed the height in 3 types as A.H/4+3, A.H/4+2, A.H/4+1 and their evaluation showed that in the order of best appearance was A.H/4+2, A.H/4+1, A.H/4+3. In the order of best comfort was A.H/4+2, A.H/4+3, A.H/4+1 and the best order for movement functionality was A.H/4+1, A.H/4+2, A.H/4+3. Additional height types designed produced from elastic materials were A.H/4+3, A.H/4+2, A.H/4+1 and the resulting order of appearance was A.H/4+3, A.H/4+2, A.H/4+1, order of comfort was A.H/4+3, A.H/4+2, A.H/4+1 and the order of movement functionality was A.H/4+1, A.H/4+2, A.H/4+3. Integrating these results shows that in using the same concurrent materials, the experiment pattern of setting the sleeve height as A.H/4+2 was the best while in using elastic materials, the experiment pattern of setting the sleeve height as A.H/4+3 was the best.

Keywords

References

  1. 강순희, 서미아 (2002). 의복의 입체구성. 서울: 교문사.
  2. 국제교육개발원 (1981). 패턴의 원리. 국제교육개발원.
  3. 김미정 (2005). “남성 캐주얼 재킷 원형 개발에 관한 연구: 25-34세 남성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선영 (2000). “스트레치 소재의 길과 바지원형 개발과 인체 측정복으로의 활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재숙, 이미숙 (2001). “TV 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권 5호.
  6. 김점혜, 이영주 (2004). “여고생 교복 재킷 착장감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신축성 재킷과 비신축성 재킷의 비교.” 생활과학학회지 13권 1호.
  7. 김애린 (2001). “스트레치 소재의 의류패턴 개발에 관한 연구 I : 20대 여성의 스트레치 소재 의류 실태 조사.” 생활과학학회지 14권 2호.
  8. 김혜경, 조정미, 서추연 (1999). “Moire Photography법에 의한 동작 시 체표면 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4권 4호.
  9. 도정옥 (2003). “소재의 신장률에 따른 소매 원형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민경혜 (2002). “신축성에 따른 여고생 교복의 착장감에 관한 연구: 역학적 특성과 보온성에 관하여.” 경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선경 (2004). “여성복의 기능성 향상을 위한 착의평가에 관한 연구: 소매산 높이 변화에 따른 기능성 측정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2권 2호.
  12. 윤현정 (2001). “여고생 교복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명옥 (2003). 브랜드 패턴과 스쿨룩. 서울: 교학연구사.
  14. 이정란 (1998). “소매 진동둘레선 설계를 위한 위팔 체표전개도 분석에 관한 연구.” 의류산업학회지 22권 7호.
  15. 이현지 (2006년 2월 1일). “우리 교복 특급 스타가 입어요-학생 코트 맞춘 고급 세련된 디자인 제안.” 한국섬유신문.
  16. 이혜주 (2006). “남자 중․고등학생의 교복 치수 맞음새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복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4권 1호.
  17. 최해주 (1995). “상지체표변화에 따른 인간공학적 소매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9권 6호.
  18. 최희진 (2006년 5월 18일). “트랜드/동네마다 유행 따라 다른 교복스타일.” 경향신문.
  19. 허미옥 (2000). “진동깊이와 다트 사용에 따른 길 원형의 동작적합성 및 심미성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황진숙, 안명화, 용유진, 유승연 (2002). “남녀 고등학생의 교복이미지 선호와 교복 변형행동의 비교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권 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