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수학과 학생평가 실태 분석

A Study on the Student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발행 : 2009.02.28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s and the problems of student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For that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had the individual interviews. The surrey items consisted of the six main parts: qu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the method to assess, the grading,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s, the opening of learning effect, and the follow-up guida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 First, elementary teachers depended heavily on internet sites for developing assessment problems. Second, elementary teachers made use of a performance assessment, a unit assessment, and a term examination at ordinary times. Third, unit assessment was largely referred for grading by elementary teachers. Fourth, in selecting the students for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s, both 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 and norm-referenced assessment were considered. After finishing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s, additional tests were usually taken. Fifth, elementary teachers took a negative attitude in opening of learning effect. specialty opening of test paper to parents of students was done under 30%. Sixth, fellow-up guidances were the most through the classroom guidances. but consulting with parents of students was not frequently conducted by teach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상숙.이강섭.김인수.신인선.신현용.이병수.이중권.최영기.한인기 (2005). 수학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범주 및 기준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2), pp.281-295.
  2. 고형준.원승준 (2006). 수학교과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유평가 결과보고 방안 논의,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5(2), pp.205-215.
  3. 교육부 (1997).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 서울: 교육부.
  4. 교육부 (1999).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I). 서울: 교육부.
  5. 교육인적자원부 (2001).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자료(II).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실제,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6. 김선희 (2006). 학생평가 전문성을 갖춘 수학교사 양성을 위한 수학학습평가 강좌의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제안, 학교수학 8(3), pp.301-326.
  7. 김수동.김경희.이의갑.김선희.박은아.신명선.서수현.박가나 (2005).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 연구(I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5-3.
  8. 김영기.양승욱 (2000).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중학교 수학교사들의 인식 및 실시 현황, 학교수학 2(2), pp.509-543.
  9. 박배훈.이대현 (1999). 창의력 신장을 위한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청람수학교육 8, pp.45-126,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연구소.
  10. 박종서.박해순 (2000).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초등수학교육>, 4(2), pp.151-163.
  11. 박종선 (1999). 개별학습을 위한 웹 기반의 적응적 코스웨어의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4), pp.11-117.
  12. 조영미 (2006). 수학과 교육과정의 질 관리 측면에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내실화 방안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16(3), pp.199-220.
  13. 최승현.이대현 (2005).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3), pp.325-336.
  14. 최승현.황혜정 (2004).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실태 분석 연구, 학교수학 6(2), pp.213-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