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urvey on the Treatments used in Oriental Obsterics & Gynecology

한방부인과질환에 사용되는 치료방법에 대한 조사연구

  • Lee, In-Seon (Department of OB & 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Bae, Kyung-Mi (Department of OB & 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이인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 배경미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Published : 2009.02.27

Abstract

Purpose: In order to know therapies used in the field of Obsterics & Gynecology of Oriental medicine. Methods: This survey investigated papers about clinical study, literature investigation for therapeutic methods and treatment reports published from 1999. 2${\sim}$2008. 11. Results: In the clinical studies, acupuncture is more frequently used than herbal medicine. But in the treatment reports, herbal medicine is most frequently used except some cases. Besides acupuncture and moxibustion was used frequently. In the treatment reports various acupuncture methods were used except vaginal bleeding or abdominal pain cases. Whole body acupuncture was used mainly. Pharmacopuncture, Sa-am Acupuncture, auricular acupuncture was also used frequently. And Dong's acupuncture, Hwa acupuncture was used sometimes. Moxibustion was tend to be used for 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 menopausal disorder, urinary incontinence, vaginal bleeding or abdominal pain during pregnancy period, hyperemesis, recurrent miscarriage, postpartum disease, lochiorrhea. Also other treatment methods was used such as external therapy, aromatherapy, herbal retention enema, fumigation, electric lipolysis acupuncture, Chuna manual medicine, obesity management, acupuncture at uterus cervix, magnetic innervation therapy, exercise, cupping and physical therap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s that acupuncture, moxibustion and herbal medicine are most frequent therapy in the field of Obsterics & Gynecology of Oriental medicine. And other therapy are used such as external therapy, aromatherapy, herbal retention enema, fumigation and so on.

Keywords

References

  1. 김동환 등. 동씨침법을 이용한 부인과 질환의 치료 3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3):217-223.
  2. 한의부인과학교재편찬위원회. 한의부인과학(상). 서울: 정담. 2001;92-101.
  3. 나원개. 실용중의부과학. 상해: 상해 과학기술출판사. 1986;37-54.
  4. 송병기. 한방부인과학. 서울: 행림. 1980;19.
  5. 안점우, 김정연, 김동일. 향기요법의 임상응용과 한의학적 접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0;13(1):556-579.
  6. 최윤희 등. 부인과 영역에서 응용 가능한 향기요법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3):174-184.
  7. 이보라 등. 전신적 문제로 갱년기 장애가 악화된 증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4):196-207.
  8. 조성희, 진천식. 만성골반염을 한방치료한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3):181-189.
  9. 반혜란, 이진아, 조성희. 만성골반염에 대한 임상 1례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1):253-261.
  10. 이연주 등. 난소낭종제거수술 후 내 원한 만성골반통 환자 1례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 19(4):287-297.
  11. 반혜란 등. 자궁내막 용종을 동반한 붕루환자 1례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3):250-257.
  12. 양승정 등. 산후요통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3):191-198.
  13. 윤소영, 강명자. 다낭성 난소증후군 환자의 한방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0;13(2) :437-451.
  14. 김경숙, 강명자. 습관성유산의 한방 치료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0;13(2):452-467.
  15. 서지영, 김윤상, 임은미. 만성골반염 환자에 대한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4):218-227.
  16. 김동일, 이동규, 이태균. 자궁내막증의 한의학 치료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2):126-143.
  17. 엄은기, 임은미. 난소낭종을 한약내복 및 약물보류관장법으로 치료한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0; 13(1):589-596.
  18. 조정훈. 원발성 생리통에 대한 계지복령환 단독치료와 침치료 병행 차이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 20(1):161-168.
  19. 조현정 등. 자궁내막증 환자의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4) :202-209.
  20. 정학수 등. 청소년기 월경통 환자에 대한 이침치료의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4):183-192.
  21. 임정한 등. 현부이경탕가감의 기체혈어형 월경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4):228-237.
  22. 주병주 등. 체침치료가 청소년기 원발성 월경통 환자의 즉각적인 진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2):232-241.
  23. 김봄님 등. 월경통에 대한 전침의 임상효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 17(2):138-146.
  24. 육상숙, 임은미. 침-한약의 교차치료가 원발성 월경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 18(4):144-152.
  25. 김동일. 한의학관련 학회지의 월경통 관련 논문에 대한 종설.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1):134-149.
  26. 신정미 등. 월경통에 대한 비약물요법관련 논문에 관한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2):203-213.
  27. 고유미, 장경호, 김상우. 조기난소기능부전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4):193-201.
  28. 김승현 등. 갱년기증후군을 나타낸 조기폐경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3):194-199.
  29. 주병주 등. 5개월간 지속된 하혈을 주증으로 입원한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2):170-177.
  30. 김경식 등. 崩症양상의 기능성 자궁 출혈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3):200-207.
  31. 박창건, 김윤근, 백승희. 경행구토 환자 치험 1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3):200-208.
  32. 조혜숙, 배경미, 이인선. 사상체질치료를 겸한 희발월경 환자 1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4):163-173.
  33. 김윤상, 문영춘, 임은미. 신경인성 식용부진으로 인한 희발월경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 15(1):118-127.
  34. 손영주. 자궁내막증식증에 대한 붕루 환자 1례의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3):250-260.
  35. 최창민 등. 월경선기 2례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 16(4):205-211.
  36. 성준호 등. 월경기 편두통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 (1):219-230.
  37. 조현주, 최은미, 강명자. 임신 및 출산에 성공한 조기난소부전증 환자 치험 2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 17(2):200-208.
  38. 조현주 등. 조기난소부전증 환자 28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4):149-157.
  39. 강용구, 김송백, 조한백. 기능성 자궁 출혈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2):195-202.
  40. 임성민 등. 희발월경에서 무월경으로 진행된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2):222-228.
  41. 박영선, 김동철, 백승희. 자궁내막증식증에 의한 붕루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3):215-224.
  42. 배상진 등. 복통을 동반한 붕루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 18(4):242-252.
  43. 육상숙, 임은미. 붕루환자 1례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 19(4):245-255.
  44. 김주영 등. 월경과다와 관련된 뇌경색 재발환자의 임상보고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1):257-266.
  45. 김현진, 정아롱, 정은아. 비만을 동반한 희발월경 환자 치험 3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4):247-257.
  46. 노진주, 김동일. 갱년기 안면홍조에 대한 침 임상시험 방법론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4):193-206.
  47. 정민영, 손영주. Kupperman's index 로 평가된 급성갱년기 장애 치험 1 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2) :191-199.
  48. 김철수 등. 갱년기증후군을 나타낸 공황장애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3):190-198.
  49. 이정은 등. 갱년기여성의 질 건조증과 성만족도에 미치는 대조환의 임상효과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3):203-214.
  50. 정선형 등. 갱년기장애의 심한 근골격계 통증을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연관지어 고찰한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2):252-262.
  51. 구희준 등. Kupperman's index로 평가된 갱년기증후군 치험 2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3):257-268.
  52. 이연경 등. 골반결핵과 단측 난소절제의 병력이 있는 환자의 조기폐경 후 갱년기증상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3):269-278.
  53. 권수경 등. 남성불임 환자의 한방치료 후 정자상태 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 18(3):184-191.
  54. 윤정선, 조명래, 진천식. 여성불임의 침치료와 구치료에 대한 문헌적 비교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0; 13(1):531-555.
  55. 김동일, 이태균. 기질적 요인을 동반한 불임증 환자의 임상에 관한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1):196-208.
  56. 송영림, 이태균. 비만한 여성불임 환자 5례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3):162-171.
  57. 김동철, 박소월, 백승희. 온포종옥탕을 투여한 신허형 불임환자 21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3):208-216.
  58. 황태원 등. 배란장애로 인한 속발성 불임환자 1례의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3):209-216.
  59. 조진형 등. 단각자궁으로 인한 원발성 불임환자 1례의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3):242-249.
  60. 정아롱 등. 원인불명으로 진단받은 속발성 불임환자 1례의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4): 234-243.
  61. 박준식, 이보라, 임은미. 자궁근종 6례에 대한 임상경과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4):230-241.
  62. 위효선 등. 자궁근종 환자 41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1):272-285.
  63. 정민영, 손영주. 자궁근종에 의한 전자궁적출술 적응증 환자의 보존적 한방치료 증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4):256-268.
  64. 이보라 등. 자궁근종 1례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 17(1):231-238.
  65. 박영선, 김동철, 백승희. 자궁근종 2례 임상경과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3):199-208.
  66. 김동일, 이태균. 호르몬대체요법 중 증대된 자궁근종 환자 1례의 임상에 관한 연구. 대한방부인과학회지. 2002; 15(4):238-246.
  67. 이연경 등. 만성골반염에 대한 치험 1례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 20(2):205-213.
  68. 최민선 등. 내과질환으로 오진된 난관농종 환자 1례를 중심으로 살펴본 골반염의 조기 진단의 요점과 한양방 치료지침에 대한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3):217-226.
  69. 이영석 등. 난소낭종을 활혈화어지제로 치료한 증례 3례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3):218-227.
  70. 김동일 등. 한방치료로 호전된 후 다시 증대된 장액성 낭선종으로 추정 되는 난소낭종을 치료한 임상증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2): 215-224.
  71. 박영애 등. 가미십전탕과 침구치료로 호전된 자궁내막종 2례 임상경과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2) :273-283.
  72. 김동일, 이동규, 이태균. 만성골반통을 유발하는 골반울혈증후군의 임상에 관한 연구. 대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2):114-125.
  73. 성준호 등. 만성 바르톨린선 낭종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1):219-230.
  74. 조석기 등. 재발된 바르톨린선 낭종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1):224-230.
  75. 김상우 등. 봉약침을 이용한 ASCUS 치험 2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 ;18(2):169-175.
  76. 박찬수, 정혁상, 손영주. 자궁경부이형성증 진단을 받은 환자 3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4):237-246.
  77. 곽금화, 김동일, 이태균. 자궁경부 침술 및 고백반 도포로 치료한 자궁경부 미란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1):186-194.
  78. 박준식 등. 자궁선근증 환자 1례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1):194-201.
  79. 정은아 등. 약침이 폐경기 이후 요실금 환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1):231-239.
  80. 임성민, 김형준. 폐경기 이후 긴장성 요실금에 대한 구법의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4): 170-179.
  81. 김동일. 긴장성 요실금의 진단과 치료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9;12(2):349-373.
  82. 정선형. 요실금치료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0; 13(2):502-511.
  83. 김석중, 박영선, 김동철. 침구치료 및 체외자기장신경치료의 병행을 통한 여성 요실금 환자 치료에 관한 증례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 19(2):261-270.
  84. 정소영, 김동일. 침구치료 및 체질처방으로 호전된 복압성 요실금 환자의 증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4) :210-216
  85. 김수민, 유동렬. 팔정산가미로 호전된 여성요도증후군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4): 225-233.
  86. 이승아 등. 택차보중익기탕가미방으로 호전된 여성 만성 재발성 방광염 환자 치험 3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3):279-288.
  87. 장성환, 김윤상, 임은미. 유선염의 한방 외치법에 대한 문헌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3):107-122.
  88. 최창민, 이종덕, 유성원. 비수유기 유선 염 및 유방농양 환자 증례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2):295-304.
  89. 장경호 등. 임신오저에 대한 이침요법의 효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 16(1):195-204.
  90. 최민선, 김동일. 임신 중 치료목적으로 한약을 복용한 환자에 대한 실태 분석 및 치료에 대한 만족도 조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3): 127-138.
  91. 조현정 등. 임신 중 치료목적으로 한약을 복용한 환자의 실태조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4):150-158.
  92. 김태희 등. 비위허약형의 임신오저 환자에게 가감보생탕을 투여한 치험 20례의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1):128-138.
  93. 양승정, 조성희, 진천식. 임신오저 환자 8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3):190-199.
  94. 허지원 등. 임신오저 환자 치험 3례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 17(3):171-178.
  95. 박준식, 임은미. 임신오조 1례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 18(1):234-241.
  96. 유영기 등. 요로감염을 동반한 임신오저 환자의 치험 1례에 대한 임상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 21(1):276-286.
  97. 김석중, 김동철, 백승희. 체외수정 (IVF) 후 태기불안을 동반한 임신오조 환자 2례 임상경과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2):176-185.
  98. 유영기 등. 간기능장애를 동반한 임신오조 환자의 치험 1례에 대한 임상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 19(4):279-286.
  99. 최순 등. 임신 중 구안와사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3):227-234.
  100. 이진아, 반혜란, 조성희. 임신 중 구안와사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2):186-194.
  101. 김경직 등. 허증으로 변증된 임신중 3차신경통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3):234-241.
  102. 신선미 등. 임신 중 발생한 구안와사 환자 2례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4):258-268.
  103. 최재호 등. 임신 중 구안와사 환자 3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3):245-256.
  104. 박영은 등. 임신중 요각통 환자에 대한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3):235-242.
  105. 나효석 등. 오행화침법을 이용한 임신 중 중둔근 약화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4) :211-218.
  106. 박경미, 정진홍, 유동렬. 오저를 동반 한 임신요통 환자 1례에 관한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3) :199-208.
  107. 백승훈, 정은아, 배일명. 임신 중 수신증(Hydronephrosis)으로 인한 양협통, 요통 호소 환자 1례 증례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1): 239-249.
  108. 정선형 등. 임신성 유천포창양상의 임신피풍증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3):172-180.
  109. 김은숙 등. 임신중 급성기 피부염 환자 1례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4):195-202.
  110. 김경혜 등. 임신 중 피부질환에 대한 치험 2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1):258-267.
  111. 이수정 등. 혈허풍열형으로 변증된 임신신양환자의 소풍산가미 치험 4 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3) :229-237.
  112. 조현주, 임은미. 습관성유산 치료 14례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2):159-168.
  113. 정민영, 손영주. 임신과 출산에 성공한 습관성유산 1례의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2):203-212.
  114. 이진아 등. 태동불안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3): 243-249.
  115. 서지영, 김윤상, 임은미. 임신초기 자궁출혈 환자에 대한 임상보고 2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4) :212-219.
  116. 김태희 등. 궁소산가미방을 투여한 임신상한 환자 18례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4): 202-207.
  117. 백승훈 등. 임신 중 교통사고로 인한 경추염좌 환자 1례 증례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1):207-217.
  118. 신선미 등. 자궁경관무력증 환자 1례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2):196-204.
  119. 김상우 등. 매침요법이 분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2):225-231.
  120. 김상우 등. 貼帶요법이 분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2):123-129.
  121. 박영은 등. 둔위 환자에 대한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 17(4):158-165.
  122. 김성준 등. 여신단 첩부가 만출력 이상에 의한 난산을 해소한 임상증례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 18(4):219-229.
  123. 최은수, 이인선. 산후풍의 원인과 치료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9;12(1):253-278.
  124. 이윤재 등. 국내외의 모유수유 관련 보완대체의학 연구동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3):167-178.
  125. 김주연, 백승희. 유산후 유발된 산후풍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3):182-190.
  126. 임성민 등. 인공유산 후 유발된 산후풍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2):184-190.
  127. 강복환 등. 단순 세균성 늑막염으로 진단받은 산후협통 환자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3):217-222.
  128. 박경희 등. 여성의 소복통에 동씨침법을 이용한 증례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1):214-223.
  129. 김은숙 등. 잘못된 산후관리로 인한 산후질환 1례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3):238-245.
  130. 박영애, 박영선, 김동철. 산후 역절풍 1례 임상경과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3):246-258.
  131. 이동녕 등. 산후미골통을 주증으로 입원한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1):231-239.
  132. 조현정 등. 분만 후 치골결합분리 환자 1례의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2):263-272.
  133. 김동일. 혈성오로의 지속을 탈화전가미방으로 치료한 증례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9;12(1):323-330.
  134. 안수정 등. 유산후 오로부지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3):223-232.
  135. 조형래. 산욕기 과보온으로 야기된 산욕기 발한 과다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4): 203-210.
  136. 이연주, 박현재. 기허로 변증된 고령 산모의 유산 후 유발된 질환 1례에 대한 임상증례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4):217-224.
  137. 박창건, 김동철, 백승희. 산후에 발생한 열입혈실증 1례에 대한 증례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 16(4):199-204.
  138. 이순이 등. 산후 우울증을 자하거 약침을 활용하여 치료한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2):282-294.
  139. 윤영진 등. 파킨슨 증후군으로 내원한 산후풍치 환자 1례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1):267-275.
  140. 이순이 등. 계류유산 후 발생한 뇌졸중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2):213-221.
  141. 송화숙 등. 전신성 홍반성 낭창으로 진단된 산욕기 환자 치료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1):202-210.
  142. 양정민 등. 임신과 출산으로 증대된 치핵을 치료한 임상증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4):220-226. 1
  143. 박영애, 박영선, 김동철. 산후 하지무력 환자 1례 임상경과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4):269-278.
  144. 문영춘 등. 임신으로 유발된 황갈반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4):208-217.
  145. 김동일, 곽금화, 이태균. 애엽분말환을 이용한 질강내 훈증 훈연 및 온열치료기(허브컴)의 한방부인과 임상응용에 관한 연구 1.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1):77-88.
  146. 고유미 등. 부인과영역에서 응용될 수 있는 약침요법에 대한 한방 연구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 17(2):64-77.
  147. 정재철, 김동일. Pubmed 검색을 통한 부인과 관련 침 임상시험 현황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3):200-217.
  148. 최민선, 김동일. 부인과 질환에 대한 한방건강보험 적용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조사연구 2.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1):150-167.
  149. 김동일, 이태균. 여성 여드름환자에 대한 부인과 외래진료에 관하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3):80-100.
  150. 김동일 등. 부인과 외래 진료를 통한 여성비만의 임상적 접근방법과 전망.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 14(1):172-195.
  151. 강솔 등. 자궁경부암 근치술 후 방광 기능장애가 발생한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3): 228-234.
  152. 양승정 등. 방사선요법으로 치료한 자궁경부암 환자의 후유증상에 대한 한방 임상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3):208-216.
  153. 고유미, 김상우.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항암 방사선 병행치료 후 발생한 설사, 원인불명열 치험 2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1):99-108.
  154. 김석중, 김동철, 백승희. 자궁경부암의 방사선 치료 후유증으로 인한 혈변의 임상경과 보고 2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3):179-189.
  155. 서윤정 등. 자궁적출술 후 증후군 환자 1례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3):225-233.
  156. 박찬수, 정민영, 손영주. 자궁적출술 후에 갱년기 증후군으로 이행된 환자의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3):267-276.
  157. 정재철, 최민선, 김동일. 부인과 복강경 수술 후 한의진료 방향에 대한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 21(4):218-227.
  158. 김동환, 이경섭. 비만관리센터의 치료 성과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1):319-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