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on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자기효능감 증진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 Kim, Bong-Mi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Jung, Hye-S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Park, Hyun-Ju (Won-Mook Middle School)
  • 김봉미 (가톨릭대학교 보건대학원) ;
  • 정혜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박현주 (원묵중학교)
  • Published : 2009.06.01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on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 Forty five obese children from a elementary school were select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53 obese children from another elementary school were chosen for the control group. Both schools located in Kimpo area. Obesity was defined as children whose age-specific BMI was 85th percentile or higher. Pre and post 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Chi-square test, t-test, paired t-test were used for analyses. SPSS 10.0 was used. Results : The decrease of BMI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Students' knowledge about obes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lf-efficacy sco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addition, self-care behavior sco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for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knowledge,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s ma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management of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us, the results strengthen further research to develop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s focusing on self-efficacy for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교육청 (2002). 학생신체검사결과
  2. 길미경 (1999). 비만관련 습관 및 비만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3. 김민회 (2000). 비만 아동들의 자기 건강증진행위와 자기 효능과의 관계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4. 김선희 (1991). 비만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평가에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5. 김선희 (1998). 일개초등학교 비만아동을 위한 비만관리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6. 김애리 (1999). 비만학생과 정상 체중 학생의 건강 통제위 성격과 우울에 대한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7. 김영희 (2003). 일 소도시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비만도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광주
  8. 김윤둘 (1999). 비만 여고생의 자기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청원
  9. 김현아 (1994). 강릉지역 학동기 아동의 비만실태 및 그 자료를 위한 연구. 강릉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강릉
  10. 김현아, 김은경 (1996). 학령기 비만아동을 위한 체중조절 프로그램의 실시 및 효과 평가. 한국영양학회지, 29(3), 307-320
  11. 박재희 (2002). 초등학교 아동의 비만 실태 및 인식도 분석.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진주
  12. 이애랑, 문현경, 김은경 (2000). 서울시 일부 비만아동의 영양교육 후 영양지식 변화에 따른 식 습관, 식행동 및 체형인식도 차이에 관한 연구. 대한영양사회학술지, 6(2), 171-178
  13. 이윤나 (1995). 영양교육이 비만여중생의 체지방,혈청지질 및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4. 이정임 (2001). 비만아동의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경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대구
  15. 전미숙 (2003).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위한 비만관리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주
  16. 정승교 (1998). 행동수정 프로그램에 의한 과체중 여자중학생의 비만관리효과.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7. 정혜선, 윤순녕, 전경자 (2002). 소규모 사업장의 고혈압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산업간호학회지, 11(2), 158-163
  18. 주현옥 (1998). 아동의 비만관리를 위한 체중조절 프로그램 개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부산
  19. 최주연 (2000). 행동수정 프로그램이 비만아동의 체중감소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 Bandura, 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 Psychol, 37, 122-147 https://doi.org/10.1037/0003-066X.37.2.122
  21. Bernier, M., & Avard, J. (1989). Self-efficacy, outcome, and attrition in a weight-reduction program. Cognit Ther Res, 10(3), 319-338 https://doi.org/10.1007/BF01173469
  22. Dietz, W. H. (1986). Prevention of childhood obesity. Pediatric Clinical North Am, 33, 823-833 https://doi.org/10.1016/S0031-3955(16)36075-8
  23. Edell, B. H., Edington, S., Herd, B., O'Brien, R. M., & Witkin, G. (1987). Self-efficacy and self-motivation as predictors of weight loss. Addict Behav, 12(1), 63-66 https://doi.org/10.1016/0306-4603(87)90009-8
  24. Frenn, M., Malin, S., & Bansal, N. K. (2003). Stage-based interventions for low-fat diet with middle school students. J Pediatr Nurs,18(1), 36-45 https://doi.org/10.1053/jpdn.2003.6
  25. Harrell, J. S., McMurray, R. G., Bangdiwala, S. I., Frauman, A. C., Gansky, S. A., & Bradley, C. B. (1996). Effects of a school-based intervention to reduc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elementary-school children: the Cardiovascular Health in Children (CHIC) study. J Pediatr, 128(6), 797-805 https://doi.org/10.1016/S0022-3476(96)70332-3
  26. Sahota, P., Rudolf, M. C., Dixey, R., Hill, A. J., Barth, J. H., & Cade, J. (2001). Evaluation of implementation and effect of primary school based intervention to reduce risk factors for obesity. BMJ, 323(7320),1027-1029 https://doi.org/10.1136/bmj.323.7320.1027
  27. Sherer, M., & Maddux, J. E.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28. Trost, S. G., Kerr, L. M., Ward, D. S., & Pate, R. R. (2001). Physical activity and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in obese and non-obese childre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5(6), 822-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