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Project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Education of an Academic High School

일반계 고등학교 기술교과교육에서 프로젝트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이을구 (영성여자중학교) ;
  • 김기수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기술교육과) ;
  • 이창훈 (대전광역시의회 입법정책실)
  • Received : 2009.07.30
  • Accepted : 2009.09.25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Education between students with a lecture, those who perform a content-related project after a lecture, and those who carry out a content-related project without a le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aking advantage of both a lecture and project-based lesson led to better achievement than using only a project in Technology Education subject of an academic high school in academic achievement in 'knowledge' area. I infer that it is because they reviewed what they had learned in a lecture and the preparation and practice of the project caused them to memorize it. Second, there was not a meaningful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in 'understanding' area among the group with a lecture, the one with both a lecture and a project, and the one with only a project. However, considering the comparison of averages and the p-value of F-test, I can deduce that the test outcome influences students with a lecture and a project positively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re was not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adaptation' area among the group with a lecture, the one with a lecture and a project, and the one with a project. I can conclude that those results are because the difficulty level of evaluation was high and they produced a model just by copying textbook contents.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교 기술교육에서 강의식 수업만을 받은 학생과 강의식 수업을 받은 후 학습 내용과 관련 있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한 학생과, 그리고 강의식 수업을 받지 않고 프로젝트만을 수행하며 스스로 학습한 학생들 간의 학업성취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고등학교 1학년 3개 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원자력 발전'에 대한 내용으로 실험을 실시한 후, '지식, 이해, 적용' 영역에 대한 학업성취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후 검사 통제 집단 설계'를 통한 실험 연구를 수행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 고등학교 기술교과에서 강의식 수업만 실시한 집단, 강의식 수업과 프로젝트 수업을 모두 실시한 집단, 프로젝트만을 수행하는 집단과의 '지식' 영역의 학업성취도에는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평균값을 보면 강의식 수업과 프로젝트를 모두 수행한 학생들이 학업성취도에서 긍정적인 면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강의식 수업만 실시한 집단, 강의식 수업과 프로젝트 수업을 모두 실시한 집단, 프로젝트만을 수행하는 집단과의 '이해' 영역의 학업성취도에는 차이는 없었다. 셋째, 강의식 수업만 실시한 집단, 강의식 수업과 프로젝트 수업을 모두 실시한 집단, 프로젝트만을 수행하는 집단과의 '적용' 영역의 학업성취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1997).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제7차 교육과정 고시 제1997-15호). 교육부
  2. 김진수(2005). 공업교육연구법과 SPSS. 웅보 출판사
  3. 김진순(1988). 기술 교육의 성격과 개선 방향. 한국교육개발원 주최 고도산업사회에 대비한 실업․가정 교과 교육의 성격규명과 개선 방향 심포지엄 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4. 이무근(1984). 실기 교육 방법론. 상지사
  5. 이상봉(2006). 기술교육에서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의 함양을 위한 수업설계. 한국기술교육학회 2006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기술교육학회
  6. 이정훈(2008). 중등 기술교과교육에서 발명교육 내용의 구성 체계.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7. 이창훈(2007). 창의 공학 설계 교육 프로그램이 공학 입문자의 창의력과 공학 설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8. 이춘식(1988). 중학교 기술과 수업에서 프로젝트법이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9. 이춘식(1991). 기술교과 교육에서 프로젝트법의 적용 방안. 대한공업교육학회지, 16(1). 대한공업교육학회
  10. 이춘식(2005). 기술 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의 절차. 교육과학연구, 36(2)
  11. 정성봉(2004). 실과 교육원론. 교학사
  12. 정모근, 권애자(2003). 실과 생활 기술 영역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운영.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집
  13. 지홍기(1999). 공업고등학교 전자계산기 구조 학습에서 프로젝트교수법에 의한 학습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14. Lawshe, C. 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