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agement State of Career Education in the Model After-school Class of a Vocational High School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방과후학교 시범학교의 진로교육 운영실태

  • Received : 2009.07.30
  • Accepted : 2009.09.25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activating the career education. To realize the goal, the study has investigated and analyzed an actual condition of the career instruction, which was conducted by the after-school clas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Based on such a research, it has also diagnosed the problems and suggested the plans in order to improve the troubles and manage the career instruction effectively. There are some summarized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Students hope that as well. Students tend to prefer the career educational program for subject-related further study, career experience courses and getting certificates of qualification in order to choose their proper job. Second, the career instruction of after-school in the vocational school focuses on the entrance of universities and gaining certificates of qualification. Third, students have participated in the career educational program to enter the universities and get some certificates of qualification. Forth, teachers have considered the overwork of teachers attributed to the program and the lack of the cost as a major factor to interrupt the effective progress of the program. Finally, most teachers and students hope to have the program after school during weekday.Therefore, for more effective management of career education in the after-school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required, and it is necessary to have good qualified teachers and consistently keep investing the funds in improving the program.

이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 방과후학교에서 실시되는 진로교육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학교교육 현장에서 그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문제점 개선 및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선택을 위해 교과관련 심화교육과 직업체험학습, 자격증 취득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선호하였다. 둘째, 전문계 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진로교육은 대학진학과 자격증 취득에 집중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원하는 대학의 진학과 필요한 자격증 취득을 위해 방과후학교 진로교육에 참가하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은 담당교원의 업무과중과 예산부족을 방과후학교 진로교육의 효율적 진행을 방해하는 요소로 인식하였다. 다섯째, 교사와 학생 대부분은 주중 방과 후에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기를 원하였다. 따라서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방과후학교 진로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교원의 업무경감을 위한 행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우수한 강사 확보와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2007a). 2007학년도 방과후학교 운영계획
  2. 교육인적자원부(2007b). ’07년 상반기 방과후학교 현황 분석 및 방과후학교 추진 유의사항
  3. 교육인적자원부(2007c).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4. 교육인적자원부(2008). 2008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 지정 방과후학교 연구․시범학교 담당자 워크숍
  5. 나승일(2006).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직업교육의 비전과 전략. 교육마당21. 통권 288호pp.34-36 교육인적자원부
  6. 최동선․정철영․서우석․허종렬․윤형한(2005). 생애단계별 진로교육 지침 개발 및 관련법령 개정 방안 연구: 초․중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