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and Prediction of the Fiberboard Demand using VAR Model

VAR 모형에 의한 섬유판 수요 분석 및 예측

  • Received : 2009.03.10
  • Accepted : 2009.05.29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study estimated the fiberboard demand using VAR and econometric model, and compared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two models. And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d impulse response were analyzed using VAR model, and predicted the fiberboard demand. The VAR model was specified with lagged dependent variable, lagged own price, lagged construction product, dummy. The econometric model was specified with own price, substitute price, construction product, dummy. The dummy variable reflected the abrupt decrease in fiberboard demand in the late 1990'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berboard demand prediction can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by VAR model than by econometric model. In the VAR model of fiberboard demand, after twelve months, the construction product change accounts for about fifty percent of variation in the demand, and the own price change accounts for about thirty percent of variation in the demand. On the other hand, the impact of a shock to the construction product is significant for about twelve months on the demand of fiberboard, and the impact of a shock to the own price is significant for about six months on the demand of fiberboard.

이 논문은 VAR 모형과 계량경제모형으로 섬유판 수요를 추정하고 예측정확성을 비교하였으며, VAR 모형을 이용하여 섬유판 수요의 분산분해와 충격반응을 분석하고, 섬유판 수요를 예측하였다. VAR모형은 소비량, 자체가격, 건설업총생산의 시차변수와 더미변수로 구성되어 있고, 계량경제모형은 자체가격, 비목재가격, 건설업총생산, 더미변수로 구성되어 있다. 더미변수는 1990년대 말에 발생한 구제금융의 영향을 반영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섬유판 수요예측은 VAR모형이 계량경제모형보다 더 효율적이다. VAR모형을 이용하여 섬유판 수요의 분산을 분해한 결과에 의하면 섬유판 최종소비처의 산출수준을 나타내는 건설업총생산의 변화가 약 12개월 후에 섬유판 수요변화의 약 50%를 설명하고, 자체가격의 변화가 약 3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설업총생산이 자체가격보다 섬유판 수요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한편 건설업총생산의 충격에 대한 섬유판 수요의 반응은 12개월 동안 서서히 감소하는 반면에 자체가격의 충격에 대한 반응은 6개월이 지나면 거의 사라진다. 즉 건설업총생산이 자체가격보다 섬유판 수요에 더 오래 영향을 미친다. VAR모형을 이용하여 예측한 섬유판의 수요는 건설투자의 증가로 인하여 연평균 약 1.4%씩 증가하여 2010년에 약 220만$m^3$, 2015년에 약 240만$m^3$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현 등. 2006. 한국 건설업 미래시장. 한국건설산업 연구원
  2. 김동준. 2006. 제재목 수요예측 모형의 개발. 한국임학회지 95(5): 601-604
  3. 김동준. 2008. 합판 수요예측 모형의 개발. 한국임학회지 97(2): 140-143
  4. 남준우 등. 2005. 계량경제학. 홍문사
  5. 박용배 등. 2008. 국내 MDF 생산 장기전망과 국산 침엽수원목 공급방안. 한국임학회지 97(1): 45-52
  6. 주린원 등. 2007. 산림부문의 추세 및 장기 전망. 산림과학원 연구보고 07-19
  7. 산림청. 2009. 임업통계연보
  8. 산림청. 2009. 임산물통계연보
  9. 통계청. 2009. 국가통계포털
  10. Hall, R., Lilien, D., Sueyoshi, G., Engle, R., Johnston, J., and Ellsworth, S. 1999. EViews manual. Quantitative Micro Software Inc
  11. Theil, H. and A. Nagar. 1961. Testing the independence of regression disturbance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56: 793-806 https://doi.org/10.2307/228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