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ion Technique of Cutting Area Used by GPS Augmentation System

GPS보정항법 시스템을 활용한 절개지 위치조사 기법

  • 강호윤 (도립거창대학 토목과) ;
  • 강인준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송석진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Collapses of cutting area have frequently occurred due to heavy rainfall caused by the recent unusual weather patterns. Collapses of cutting area have the most crucial influence on the damaged property and casualties. Therefore, formulating and preparing an effective measures and control system is urgent. For this reason, in this study, we researched formation investigation method of location-based cutting area for an efficient management of cutting area. We conducted comparative and analytic research on the hand GPS method and DGPS method which is GPS augmentation system, using SBAS signal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there was difficult in discerning the accurate shape of cutting area when the existing method was used; however, the detecting the shape of four sides and accurate location was possible when DGPS was used. Consequently,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preventive measures for cutting area, which considers the condi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cutting area because the polygon based management of incision cliff is attainable, apart from the existing control point based approach.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집중호우의 증가로 절개지 붕괴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절개지 붕괴사고는 재산 및 인명피해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고 있어 적극적인 대책마련과 관리체계가 시급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절개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절개지 위치기반의 형상조사기법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기존의 핸드 GPS방법과 GPS보정항법시스템 인 SBAS신호를 활용한 DGPS방법의 비교분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의 방법의 경우 절개지의 정착한 형상파악에는 어려움이 있었으나 DGPS를 활용할 경우 사면의 형상파악 및 정확한 위치파악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기존에 포인트 위주의 사면관리에서 폴리곤기반의 절개지 관리가 가능하여 절개지 주변의 지형적인 여건을 고려한 절개지 방지대책 수립이 가능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준, 강호윤 (2009), 모바일 환경의 경사지 공간정보 획득 프로그램 구축,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7권, 제 3호, pp. 367-374
  2. 강호윤 (2009), 절개지 붕괴위험관리 웹GIS시스템 구축,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3. 강호윤, 홍순헌, 강인준 (2007), Web-GIS기반의 도로 사면재해위험정보시스템 구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 27권, 제 2D호, pp. 241-248
  4. 구호본, 이종현, 김승현, 임광수, 임채희 (2007), Mobile PC를 이용한 절토사면 현황조사 기법 개발, 한국방재학회지, 한국방재학회, 제 7권, 제 4호, pp. 128-136
  5. 김혜인, 손은성, 이호석 (2008), SBAS 이동측위 정확도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6권, 제 5호, pp. 493-504
  6. 무라이슈운지 (2002), 공간정보학, 대한측량협회, pp. 138-139
  7. CGSIC (1996), Summary record of the 24th meeting of the Civil GPS Service Interface Committee, CGSIC, Falls Church, Virginia, March, pp. 19-21
  8. Hofmann-Wellenhof.B., H.Lichtenegger, J. Collins (2009), GPS Theory and Practice, Sigma Press, pp. 414-415
  9. Lestarquit, L., Issler, J.-L., Nouvel, O (2009), SBAS INterface: Worst-Case Scenario, GPS World, Vol. 20, No. 4, pp. 37-42
  10. Loh R, Wullschleger B, Elrod B, Lage M, Haas F (1995) The U.S. Wide-Area Augmentation System (WAAS), Navigation, Vol. 32, No. 3, pp. 435-465
  11. Satio, S., Fujii, N., Suzuki, K (2008), Solutions to Issues of GBAS using SBAS Ranging Source Signals, Institute of Navigation ION GNSS 2008, ION GNSS, Savannah, pp. 2135-2141
  12. Yun, H., Kim, D., Jeon, S (2008), Enhanced SBAS Integration Method Using Combination of Multiple SBAS Corrections, Institute of Navigation ION GNSS 2008, ION GNSS, Savannah, pp. 2052-2058
  13. Wanninger, L(2008), The Future is Now : GPS+GLONASS+SBAS=GNSS, GPS world, Vol. 19, No. 7, pp. 4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