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for Traditional Housing in Modernization Process in Korea and China

한.중 근대화 과정에서의 전통주택 공간 특성 비교 분석연구

  • 양비 (건국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박현수 (건국대학교 건축학부) ;
  • 윤혜경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 Published : 2009.10.25

Abstract

Housing is a cultural tool which enables one to see through a certain generation, and the types of housing in a specific cultural area are both physical and spiritual results formed by life activities. Therefore, housing, the center area for the human life, is a bowl, putting various meanings of life into the complicated environment. Its formal and spacial variety is a result of interaction in human life. This study analyzes fundamental problems and characteristics of asian traditional housing by comparing those in city of Seoul and Shang-hai.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many differences have been found in traditional housing in Seoul and Shanghai despite of high similarity m culture and ideology. This results from a same Confucian culture that accepts the feng shui theory which has evolved through different environme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using cultures in two cities by analysing the attributes of housing data from selected traditional housing types in Seoul and Shanghai. Also, issues of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cit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are studied to provide important data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housing environment of both cities.

Keywords

References

  1. 강인호, 한필원 (2000), 주거의 문화적 의미, 세진사
  2. 손세관(2002), 넓게 본 중국주택, 열화당
  3. 조전환(2008), 한옥, 전통에서 현대로, 주택문화사
  4. 진욱성(2008), 중국문화, 중국의 어제와 오늘, 세종출판사
  5. 주남철 (1983), 창덕궁 금원 연경당(1)/우리의 전통건축, 월간 건축문화, 25
  6. 김민규(2005), 한. 중 집합주거의 공간구성에 관한 비교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경환(2007), 한. 중. 일 전통도시주거의 외부공간에 관한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철진(2002), 1930년대 경성부 도시형한옥의 상품적 성격,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배용성 (2005), 한, 중, 일 '$\square$자형 전통주택'에 나타난 실내공간의 동질적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신경화(2003),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 주택작품에 나타난 전통성의 현대적 구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3(1), 239-242
  11. 이원교(1993), 전통건축의 배치에 관한 지리 체계적해석 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2. 임창복, 김경환, 기성광(2006), 한. 중. 일 전통도시주거의 외부공간에 관한 비교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2), 59-66
  13. 한필원 (1997), 중국 북경 사합원의 공간구성 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3(11), 193-203
  14. 吳煥加(2003), 中國建筑 . 傳統与新統, 東南大學出版社
  15. 沈福煦 外(2003), 建筑藝術風格靈賞-上海近代建掃橋橫, 同濟大學出版社
  16. 毛佳樣(2005), 上海傳統民居, 上海A民美術出版社
  17. 曹伟(2004), 開埠后的上海住宅, 中國建箕工業出版社
  18. 婁承浩, 薛順生(2003), 老上海經典建筑-上海老建筑8書, 同濟大學出版社
  19. 丁俊淸(2008), 江南民居, 上海交通大學出版社
  20. 중국포탈사이트: http://www.baidu.com
  21. 위키백과사전: http://ko.wikipedi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