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motion Strategies for Regional Industries in Relation to a New Innovation City in Korea : A Case Study on the Gyeongbuk Innovation City

혁신도시와 연계한 지역산업 육성전략 : 경북 혁신도시를 사례로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sent promotion strategies for regional industries by exploring the ways to build industrial cluster focusing on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of Gyeongsanbuk-do(province) which are related to innovation city, by taking Gyeongbuk innovation city as an example. This study presented the methods for linking with innovation cities that focus on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along with the analysis on the linkage between regional industries and public organizations relocated to local regions. As to the methods for the linkage, methods to build cluster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ustry, such as electronic information device, new material parts, biological oriental medicine, cultural tourism, eco-friendly energy, etc, which are strategic and leading industries of Gyeongsanbuk-do(province), were presented. It was inferred that the industries which have achieved fast growth such as IT and BT industries, required mutually interconnected collaboration through geographical proximity among related subjects, while sectors with mature technologies, such as automative parts, machinery, steel industries, etc, were found to require more extensive infrastructures like the support of transportation and distribution for promoting current clusters.

혁신도시 건설이 자립형 지방화를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라는 방향성에서 지역전략산업 중심의 연계방안 마련이 핵심적 과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경북 혁신도시를 사례로 혁신도시와 연계한 경북의 지역전략산업 중심의 산학연계 구축방안 모색을 통하여 지역산업 육성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전공공기관과 지역산업간 연계분석과 지역전략산업 중심의 혁신도시 연계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계방안에서는 경북의 전략 및 선도산업인 전자정보기기, 신소재부품, 생물한방 문화관광, 친환경에너지 등의 산업별 특성에 기반한 클러스터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IT BT산업과 같이 기술발전 속도가 빠른 산업분야의 경우 구미 혁신클러스터 추진단 및 경북지역 주요 혁신지원기관과 연계한 관련 주체간 지리적 인접을 통한 상호 연계협력이 필요하며, 자동차부품 기계 철강산업과 같은 성숙 기술분야는 기존 클러스터의 육성을 위한 교통 물류지원 등 인프라 강화가 핵심과제이다. 경제권의 광역화와 광역클러스터화에 따른 광역경제권 단위의 산업클러스터 육성도 새로운 과제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