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 하류의 하상변동 특성 분석 및 예측

The Prediction and Analysis of Bed Changes Characteristics in the Seomjin River Downstream

  • 전일권 (전남도립대학 토목환경과) ;
  • 김민환 (호남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발행 : 2009.02.28

초록

섬진강 하류의 하상변동 특성 분석 및 하상변동을 예측함으로서, 하도 및 유역관리에 효과적으로 이용하도록 하였다. 하상변동 특성 분석에 필요한 자료(단면, 하상구성물질, 기점수위, 조도계수 등)는 섬진강하천정비기본계획에서 실측 및 분석한 것을 활용하였다. 또한 하상변동 예측은 HEC-6 모형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섬진강 하류 하상변동의 주요인은 수문인자의 변화에 따른 것이라기보다는 과도한 하상골재 채취 때문으로 판단된다. 마찰속도와 대표 입경의 관계와 무차원소류력과 대표입경의 관계를 토대로 하도안정성을 정성적으로 분석한 결과 섬진강 하류 하상은 대부분의 구간에서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섬진강 하도의 대부분의 지점에서 2003년의 하상구성물질은 1989년에 비해 자갈의 구성비가 높아지고 모래의 구성비가 작아졌다. 하상변동을 예측한 결과 섬진강 하류의 하상은 하구에서 약 9 km 지점까지 1.5 m 내외로 상승하고, $9{\sim}21\;km$ 구간은 1 m 내외로 상승과 저하가 반복되며, $22{\sim}25\;km$ 구간은 0.5 m 내외로 하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섬진강 하류 구간의 하상은 대체로 점점 상승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본 연구의 하상변동 예측은 인위적인 골재채취가 없다는 가정 하에 수행된 것이므로, 과거와 같이 하상에서 대규모 골재채취가 진행되면 본 연구의 예측 결과와는 상이하게 하상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It is to use effectively for stream channel and watershed management as the prediction and the analysis of bed changes characteristics in the Seomjin river downstream. The necessary data (section, bed composition material, pivot point water elevation, coefficient of roughness) with regard to analysis of the bed changes characteristics were based upon the survey data and analysis results in the Seomjin river maintenance basic plan. The prediction of bed changes was also completed with HEC-6 model. The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in factor of bed changes in the Seomjin river downstream can be decided by extreme extraction of bed aggregate rather than the change of hydrological data.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bed stability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friction velocity and representative grain size, and the relation between dimensionless tractive force and representative grain size, the Seomjin river downstream appears to be increased overall. The bed composition material in the stream channel of the Seomjin river of 2003 year shows higher composition rate of gravel and lower composition rate of sand as compared to those of 1989 year. According to result that the prediction of bed changes, it is estimated that the bed will be risen approximately 1.5 m to the place up to 9 km from the estuary, have been repetitively risen and fallen up to 1 m to the place between $9{\sim}21\;km$ section, and fallen about 0.5m to the place between $22{\sim}25\;km$ section. As a result, the bed of the Seomjin river downstream can be decided to be risen gradually. However, since the prediction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will be no forced aggregate picking, the bed changes can be much greater than expected when there is a massive aggregate picking as it had happened before.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6) 섬진강${\cdot}$영산강유역조사
  2. 건설교통부(1978) 섬진강하천정비기본계획
  3. 건설교통부(1989) 섬진강하천정비기본계획
  4. 건설교통부(2003) 섬진강수계하천정비기본계획(보완)
  5. 건설교통부(2001) 자연 친화적 하천정비기법 개발 보고서
  6. 건설교통부(2002) 하도정비지침 : 안정하상설계
  7. 강경석, 박문현, 김서영, 김국일, 박봉진(2006) 문산천의 장단기 하상변동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535-1540
  8. 권기영, 윤기영, 이평강, 박철, 문창호, 박미옥(2001)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경사에 따른 동${\cdot}$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및 종조성. 한국해양학회, 제6권, 제2호, pp. 93-102
  9. 고수현, 송인렬, 심창석(2004) 유사량 산정공식에 따른 유사 및 하상변동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3권, 제3호, pp. 263-277 https://doi.org/10.5322/JES.2004.13.3.263
  10. 김민철(2003) QUAL2E 모델을 이용한 섬진강 하류의 해수 유.출입에 따른 수질예측. 전남대학교 환경공학과 석사학위논문
  11. 남선우(1978) 하천의 유사량과 하상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수문학회논문집, 제11권, 제1호, pp. 47-58
  12. 박정응(1984) 홍수시 하상변동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학박사 학위논문
  13. 섬진강환경정책협의회(1999) 섬진강의 환경. 섬진강환경정책협의회
  14. 안상진, 윤석환, 백남대(2002) 수치모형을 이용한 하상변동 예측,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5권, 제6권, pp. 693-701 https://doi.org/10.3741/JKWRA.2002.35.6.693
  15. 우효섭, 유권규(1991) 하상변동 예측모형의 비교분석. 연구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6. 이남주, 황승용, 이삼희(2007) HEC-6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하회지구 하상변동 예측에 관한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665-1669
  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5) 하천과 저수-지의 세굴과 퇴적. 사용자 안내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8. 한국수자원공사(1997) 취수구 유사유입 저감기법 개발연구(2차년도). 연구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19. Holly, F. M. Jr. and Karim, M. F.(1983) Computer Simulation Prognosis of the Degradation of the Missouri River between Gavins Point Dam and Iowa's Southern Border, Iowa Institute of Hydraulic Research, Report No. 276
  20. Holly, F.M. Jr. and Yang, J.C., Schwarz, P., Schaefer, J., Hsu, S.H., and Einhelling, R. (1990) CHRIMA, Numerical Simulation of Unsteady Water and Sediment Movement In Multiply Connected Networks of Mobile-Bel Channels, IIHR Report No. 343, Iowa Institute of Hydraulic Research, Univ. of Iowa
  21. Thomas, W.A. and Prasuhn, A.L. (1977) Mathematical Modeling of Scour and Deposition, J. of Hyd. Eng., ASCE, Vol. 103, HY8. Aug.
  22. HEC (1993) HEC-6 Scour and Deposition in River and Reservoirs and Reservoirs User's Manual, U.S. Army Corps of Engineers,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