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 Dynamics Interpretation on Bus Scheduling Model

시스템 다이나믹스 관점에서의 버스 운영계획모형 해석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is paper aims mainly to reinterpretate Optimal Bus Scheduling Model by applying System Dynamics Perspective. Traditionally, the study regarding Optimal Bus Scheduling Model stems on the linear relationshp. However, this paper attempted to convert linear relationship based Optimal Bus Scheduling Model to causal loop perspective based Model. In result, the paper present Casual Loop Diagram for Optimal Bus Scheduling Model. Furthermore, the paper also ran a simulation based on Stock & Flow Diagram for Optimal Bus Scheduling Model. The outcome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linear relationship based Model due to the similarity of the equation applied on two models.

본 연구는 기존의 버스 운영계획모형을 시스템 다이나믹스(System Dynamics : SD) 관점에서 검토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결정변수들 간의 선형적 관계에 기초한 교��비용모델에 SD관점을 적용하여 순환적 관계로의 재구성을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물로 최적배차간격모형의 인과지도(Causal Loop Diagram)을 제시하였다. 또한 계량적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저유량 인과지도(Stock & Flow Diagram)을 작성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의 의미를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에 적용한 수식이 기존의 교통비용모형에 토대를 두고 있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결과가 기존의 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J. O. Jansson, "A simple bus line model for of service frequency and bus size," J. Transport Economics and Policy, vol. 14, no 1, pp. 53-80, Jan. 1980.
  2. M. A. Fobes, "An exact algorithm for multiple depot bus scheduling," European J. Organizational Research, vol. 72, no. 1, pp. 115-124, Jan. 1991.
  3. 정영삼, "버스 운행시간 분석 및 최적 배차간격 모형 개발," 명지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공학 계열 제1집, pp. 509-516, 1998. 2.
  4. 배상훈, 김탁영, 류범용, "이용자 만족도를 반영한 최적 버스 배차 간격 설정 모형의 개발," 한국ITS학회논문지, 제6권, 제3호, pp. 12-23. 2007. 12.
  5. 고승영, 고종섭, "버스의 최적운행시격 및 보유 대수 모형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16권, 제2호, pp. 169-176, 1998. 6.
  6. 이호상, 박종현, 조성훈, 윤병조, "다중제약을 고려한 최적 버스운행계획 알고리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4권, 제7호, pp. 29-138, 2006. 12.
  7. R. I. Hall, P. W. Aitchison, W. L. Kocay, "Causal policy maps of managers: Formal methods for elicitation and analysis," System Dynamics Review, vol. 10, no. 4, pp. 337-360, 1994. https://doi.org/10.1002/sdr.426010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