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m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White Stones Excavated from Archaeological Sites

유적지 출토 백색 암석의 광물화학적 특성

  • Han, Min-Su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Cho, Nam-Chul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iu National University) ;
  • Kim, Woo-Hyun (Jungang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Choi, Kyung-Yong (Jungang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한민수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조남철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김우현 (중앙문화재연구원) ;
  • 최경용 (중앙문화재연구원)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each white stone and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hemical and mineralogical analysis of them excavated from around some kilns in archaeological sites. Moreover it was intended to infer the function of kilns. Nine white stones were chosen from three different archaeological sites, the each name of which is Sanyang-ri, Youngdu-ri and Gwangdae-ri in Chungcheongnam-do. In the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thin section, eight stones containing calcite are altered and recrystallized by metasomatism and hydrothermal process, and Calcites, major component minerals of limestone, were identified by the analysis of XRD. On the basis of this result, we can infer the stones to be classified into limestone groups. One the other hand, research revealed that one of the white stones was a white pelitic stone composed of quartz, microcline and muscovite. In the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except for the white pelitic stone eight stones are mainly composed of CaO which is major component of Calcite. Besides, as a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y using a chemical compositions of major and minor elements in white stones, little did each archaeological site have the relativity. In conclusion, each archaeological site was estimated that they would use a limestone ores extracted from different deposits,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function of these kilns is to produce quicklime.

유적지의 소성유구와 도기가마 주변에서 출토된 백색암석을 광물화학적으로 분석하여 이들 암석의 특성과 상호관계를 밝히고, 나아가 소성유구의 용도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시료는 백색 암석이 출토된 3곳의 유적지(충남 아산시 산양리와 용두리, 청양군 광대리)에서 총 9점을 대상으로 하였다. 박편 분석결과, 8개의 암석은 교대 및 열수작용 등을 받아 광물상이 변질되거나 재결정화 된 석회암이었고, 결정구조 분석에서도 석회석의 주요구성 광물인 방해석이 동정되었다. 반면, 나머지 1개의 암석은 석영과 미사장석, 백운모 등으로 구성된 백색 이질암이었다. 성분분석 결과에서는 백색 이질암을 제외하고 는 나머지 암석들의 주성분이 CaO였다. 또한 주성분과 미량원소 함량을 서로 비교한 결과 유적지들간에 상관성이 적었다. 결론적으로 유적지별로 서로 다른 석회석 광산에서 원석을 채취하여 사용한 것으로 판단되며, 세 가마의 용도는 석회석을 가열하여 생석회를 만들어내는 가마였을 가능성이 높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인 (1997) 전남지방의 고대 토기 및 도자기에 관한 자연과학적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0-58p
  2. 서수연 (2001) 전남 화순군에 분포하는 중생대 최적암류에 관한 연구 -길성리 지역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7p
  3. 송종택 (2009) 조선시대의 석회 사용. 세라미스트, 12, 114-115
  4. 중앙문화재연구원 (2007) 아산 굿모닝힐 골프장 조성공사 부지내 유적 발굴(시굴)조사 약보고서, 1-19p
  5. 이종근 (1990) 무기재료원료공학. 반도출판사, 119-125p
  6. 이창진, 이문원, 박수인, 김정률 (2000) 편광현미경으로 본암석의 세계. 교육과학사, 11-37p
  7. 원종관, 이하영, 지정만, 박용안, 김정환, 김형식 (1995) 지질학원론. 시성문화사, 262p
  8. 윤경환 (2007) 하부고생대 대기층의 퇴적 및 속성작용과 대기층 내 산출되는 결정질 석회암(고품위 석회석)의 조직 및 지화학적 특정. 강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1-113p
  9. Krauskopf, K.B. (1982) Introduction to geochemistry. McGrau-Hill Co., 617p
  10. LcLennan, S.M. (1989) Rare earth elements in sedimentary rocks in influence of provenance and sedimentary process. In Geochemistry and Mineralogy of rare earth elements, 169-181 p
  11. Mason, B. and Moore, C. B. (1982) Principles of geochemistry. John Wiley and Sons Inc., 104-216p
  12. Martin, J.M. and Meybeck, M. (1979) Elemental mass balance of material carried by major world river. Marine Chemistry, 7, 173-206p https://doi.org/10.1016/0304-4203(79)90039-2
  13. Rollinson, H.R. (1993) Using geochemical date. Long-man scientific technical, 102-150p
  14. Winter, J. (1989) 한국 고대 안료의 성분 분석. 미술자료, 43, 1-36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