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elligence Robot Conten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유아교육 기관용 지능형 로봇의 '우리반' 콘텐츠 개발

  • Published : 2009.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ign and develop teacher assistant contents 'My Class' for an intelligent robot iRobiQ, us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 After observing daily activities and correspondence role of teachers in educational settings, we selected the robots' target contents as 6 main functions (Attendance, Activity, Gallery, Learning, Role Calling, and Timer). We designed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PLU (Player-Learner-User) model which suggests importance of entertainment, education, and enabling features to meet player, learner, and user requirements. We also considered 'emotional' features to satisfy 'companion' requirements. The developed contents in this study was deployed in kindergarten classrooms consisting of five-years-old for 4 weeks to see how they response and use the contents. We found that both teachers and children were likely to show positive responses to the contents. Especially, young children responded to the entertainment and emotional features more actively than to the other features. And they continually explored for something new inside the contents.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what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more useful teacher assistant contents for iRobiQ.

본 연구는 유아기관에서 상용화되어 있는 지능형 로봇 iRobiQ에 탑재할 교사보조 콘텐츠 '우리반'을 기획하고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유아교육기관의 하루일과 중 iRobiQ가 교사보조로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추출하여 6개의 기능(출석, 활동, 갤러리, 배움터, 호명, 타이머)을 개발하였다. 유아가 매체를 다룰 때 수행하게 되는 주요 역할인 놀이자, 학습자, 사용자에 따라서 각각 오락적, 학습적, 도구적 요소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PLU 모델에 따라서 역할 모델에 따른 요소들을 기능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특히, 로봇은 정서적인 관계를 수행할 수 있기에 유아는 로봇을 친구(Companion)로서 접근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또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정서적 요소들 또한 개발에 반영하였다. 유아기관에서 개발된 '우리반' 콘텐츠의 수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4주간에 걸친 관찰을 수행한 결과, 교사와 유아 모두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특히 유아의 경우에는 오락적, 정서적 요소에 더 많은 반응을 하였고, 로봇의 사용 방식이 점차 고정되는 교사와 달리 유아들은 끊임없이 새로운 요소를 탐색하였다. 개발 결과와 더불어서 향후 로봇 교사보조 콘텐츠를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논의한다.

Keywords

References

  1. J. Han, M. Jo, S. Park, and S. Kim, "The Educational Use of Home Robots for Children," Proceeding of 14th IEEE International Workshop on Robots and Human Interactive Communication, Vol.14, pp.378-383, 2005. https://doi.org/10.1109/ROMAN.2005.1513808
  2. 오상록, "네트워크 로봇과 로봇 콘텐츠", 로봇콘텐츠세미나 발표자료, 2008.
  3.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rnl?id=200905120175
  4. 한정혜, 김동호, "교사 보조 로봇의 교육적 활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pp.849-856, 2006.
  5. Z. You, C. Shen, C. Chang, B. Lium, and G. Chen, "A robot as a teaching assistant in an english class," Proceeding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Learning Technologies, Vol.6, pp.87-91, 2006.
  6. T. Kanda, T. Hirano, D. Eaton, and H. Ishiguro, "Interactive robots as social partners and peer tutors for children: a field trial," Human-Computer Interaction, Vol.19, No.1 pp.61-84, 2004. https://doi.org/10.1207/s15327051hci1901&2_4
  7. J. Read, "Designing multimedia applications for children," Comp@uclan 3, 2004.
  8. 현은자, 윤현민, 강정미, 손수련, "교육용 지능형 서비스 로봇에 대한 유아의 인식", 제4회 한국로봇공학회 하계종합 학술대회 논문집, 2009.
  9. 신나민, "교육 로봇과 교육의 관계 맺기", 로봇콘텐츠세미나 발표자료, 2008.
  10. http://www.edurobot.net
  11. D. Levy, Love+Sex with Robots: The Evolution of Human-Robot Relationships, Harper Perennial, 2008.
  12. 현은자, 윤현민, 장시경, 연혜민, 조경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사 보조 서비스 로봇의 콘텐츠 개발", 어린이미디어연구, 제8권, 제1호, pp.119-142, 2009.
  13. T. Fong, C. Thorpe, and C. Bauer, "Collaboration, Dialogue, and Human-Robot Interaction," Proceeding of 10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Robotics Research, Vol.10, 2001.
  14. 현은자, 박현경, 장시경, 연혜민, "유아교육용 로봇에 대한 교사의 사용성 사례 연구", 제4회 한국로봇공학회 하계종합 학술대회 논문집,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