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어메니티 자원분포와 유형별 자원의 특성 분석 - 전북 순창군을 대상으로-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stribution and Classification of Rural Amenity Resources - Centered on of Sunchang County in Jeonbuk Province -

  • 박재철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Park, Jae-Chu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발행 : 2009.10.31

초록

본 연구는 2005년부터 농촌진흥청에서 전국적인 농촌어메니티 자원 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데이터 베이스화 하고 있는 바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전수조사가 이루어진 순창군을 대상으로 읍 면별 어메니티 자원 특성이 나타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분류하여 지역 어메니티 자원 특성을 반영한 지역 활성화 방안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 데이터 마련을 위하여 현지조사와 면접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인터넷 자료를 취합하였다. 읍 면별 어메니티 자원 특성 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 회귀분석, 상관분석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광역인 전라북도, 전국 및 진안군과의 어메니티 자원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순창군 어메니티 자원과의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더 나아가 읍 면지역의 유형을 구분하기 위하여 순위 분석 방법이 수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어메니티 자원 유형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menities available in Sunchang-gun, Jeonbuk province in Korea through ananalysis of survey data of rural amenity resources. This survey was performed over 4 years(from 2005 to 2008). The data were collected by field survey, interview, and Internet search. Descriptive statistics,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up-Myun in Sunchang County. A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compare provincial, national and other county data. Furthermore, a rank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ssify the type of each region. Through this, the type of rural amenity resources was identified.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용대, 홍종숙(2003) 농촌어메니티자원을 활용한 그린투어리즘의 경제성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지 9(3): 17-24
  2. 김근종(2005) 농촌어메니티 민박에 대한 문헌연구. 한국문화관광학회지 7(2): 45-56
  3. 김대식, 최현성(2007) 어메니티자원과 인적자원을 고려한 농촌마을의 관광잠재력 평가 기법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2): 7-16
  4. 김상범, 이상영, 정남수, 이지민, 조순재, 이정재(2004) 자료정규화를 통한 농촌어메니티자원 조사표의 표준화.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0(4): 1-7
  5. 박미정, 정남수, 장민원, 이전재(2008) 자연 어메니티가 인구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4(4): 1-9
  6. 박창석, 전영옥, 조영국(2002)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자원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관계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7(6): 21-35
  7. 반영운, 백종인(2006) 생태마을 조성을 통한 농촌어메니티 향상 방안.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 1179
  8. 배승종(2008) 농촌어메니티 및 도시수요를 고려한 그린투어리즘 잠재력 평가기법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4(4): 109-119
  9. 서보환, 정남수, 김종옥(2006) 농촌어메니티 자원도 정보전략계획 수립을 위한 목표설정.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2): 11-16
  10. 안명준, 배정한, 주신하, 신지훈, 이동근(2008) 농촌어메니티 경관의 평가 체계 개발과적용: 2007농촌어메니티 100선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4(2): 77-84
  11. 양용석(2006) 농촌어메니티 시설 정비사업에 있어서 주민참여에 관한 연구 - 일본 시가현(滋賀縣) 코우라쵸(甲良町)를 사례로. 한국농촌사회학회지 16(1): 269-300
  12. 오민재(2007) 농촌어메니티와 체험활동이 농촌관광 참여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지 21(3): 213-226
  13. 오윤경, 조순재, 최진용, 임승빈, 안동만, 이정재, 이동근(2007) 농촌어메니티 자원조사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1): 1-9
  14. 오윤경, 최진용, 배승종, 이지민, 김태곤, 이상현, 박미정(2008) 농촌어메니티 자원도 구축 및 활용방안 모색을 위한 수요조사. 한국농촌계획학회 추계학술발표자료집. pp. 73-80
  15. 오윤경, 최진용, 배승종(2008) 생활 및 관광자원으로서의 특성을 고려한 농촌어메니티의 지역별 수준평가.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4(4): 21-32
  16. 윤성수, 김지현, 리신호, 서교, 김한중(2006) 어메니티를 기반으로 한노산하석권역 농촌마을 개발계획.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4): 43-51
  17. 윤희정(2008) 도시민의 농촌어메니티자원 체험욕구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6(1): 28-37
  18. 이도원, 박은진, 김은숙, 장현정 역(2001) 생태학. 서울: 사이언스북스
  19. 이정원, 정윤희, 임승빈(2006) 농촌어메니티자원의 농촌다움 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2): 1-9
  20. 이지민, 이정재(2006) 농촌어메니티자원 정보서비스를 위한 Ontology 를 활용한 외부 정보 통합방안.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4): 53-61
  21. 이동근, 윤은주, 김은영, 조순재(2007) 농촌어메니티 자원에 기초한 농촌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2): 11-17
  22. 이상현, 최진용, 배승종, 오윤경, 정회훈, 정남수(2009) 어메니티자원을 고려한 농촌마을 관광중심성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5(1): 47-59
  23. 이형진, 이지민, 박미정, 김한중, 이정재(2006) Ontology와 Web-GIS를 이용한 농촌어메니티 자원정보 시스템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4):13-22
  24. 임상봉(2003) 어메니티 증진과 정서함양을 위한 화훼작물 재배의 확산 방안. 한국농촌지도학회지 10(2): 251-266
  25. 임창수, 최수명, 김영주(2006) 농촌마을 수준에서의 어메니티 강화 및 저해요소 항목 체계 구축.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4): 89-97
  26. 임창수, 최수명, 김영주, 조영재(2007) 농촌마을 수준에서의 어메니티 강화 및 저해요소 평가등급체계 구축.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2): 27-38
  27. 임형백(2001) 어메니티의 개념, 기원과 역사,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지 8(2): 191-199
  28. 임형백(2002) 어메니티를 이용한 농촌활성화 방향. 한국농촌지도학회지 9(2): 233-245
  29. 조영국, 박창석, 전영옥(2002) 농촌어메니티 인식의 구조와 의미. 한국경제지리학회지 5(2): 157-174
  30. 장은숙, 전영미, 박윤호(2002) 농촌마을 정비 특성별 어메니티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0(3): 35-45
  31. 조순재, 윤희정, 김혜민(2004) CVM을 이용한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보전가치평가: 물, 공기, 동식물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9(6):189-19
  32. 허준(2007) 농촌어메니티자원 발굴 및 조사기법 특성 분석: 서천군을 사례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2): 75-84
  33. Johansson, Per-Olov(1994) Characteristics and Valuation of Rural Amenities in the Contribution of Amenities to Rural Development. Paris: OECD
  34. OECD(1994) The Contribution of Amenities to Rural Development. Paris: OECD
  35. OECD(1999) Cultivating Rural Amenities: An Economic Development Perspective. Paris: OECD
  36. OECD(2000) Valuing Rural Amenities. Paris: OECD
  37. Tamura Go, Urade Toshikazu(2002) Rural amenity: Constituents and their interrelations. Scientific report of the Graduate School of Agriculture and Biological Sciences Osaka Prefecture University 54: 7-14
  38. http://www.terms.naver.com
  39. http://www.sunchan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