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ting Development Priorities of Undeveloped Neighborhood Parks in the Downtown of Cheongju City using a Park Development Pressure Index

공원조성 압력지수를 이용한 공원개발 우선순위 선정 - 청주시 도심 미개발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 Ban, Yong-Un (Dept. of Urban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Tae-Ho (Dept. of Environmental and Urba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반영운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 이태호 (충북대학교 대학원 환경.도시공학과)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set development priorities for five undeveloped neighborhood parks scattered throughout the downtown area of Cheongju City using a PDPI(Park Development Pressure Index). In order to calculate the PDPI, this study employed an additive integration method. The PDPI was graded from 1 to 5, based on the evaluation scores in accordance with nine indicators se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interviews with public officials. The indicators have been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physical environment, utilization possibility, and facility distribution. The indicators are as follows: 1) 'altitude and inclination' and 'NDVI' as physical environment indicators; 2) 'ratio of residential area', 'forecasted utility population', 'undeveloped period', 'redevelopment near parks', 'ratio of area divided by main streets', reflecting utilization possibility; and 3) 'Distance between Neighborhood Parks'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ve facilities' as facility distribu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1) three neighborhood parks including 'Sagic 2', 'Sachen', and 'Dangsan' were ranked in the first grade of PDPI; and, 2) one neighborhood park 'Samsungdang' was ranked in the fifth grade of PDPI. The above results mean that among undeveloped neighborhood parks, three have been exposed to extremely strong park development pressure, and that while two neighborhood parks have had strong exposure to park development pressure due to potential users according to their close location to Sagic Ro, an east-west main axis of Cheongju City, one neighborhood park has had weak exposure to development pressure because of the close location to 'Chuungbuk National University' and a lack of residential areas, showing a low possibility for development.

본 연구는 공원조성압력지수를 이용하여 청주시에 분포되어 있는 도심 미개발공원의 개발우선순위를 선정하는데 있다. 공원조성압력지수를 산정하기 위해 가법형 모델을 이용하였다. 지수는 총 5개의 등급으로 나누어졌으며, 각 등급화는 9개 항목 평가지표를 통해 이루어졌다. 9개의 평가지표에서는 다시 공원의 물리적 환경특성, 이용가능성, 공간배치특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평가지표는 기존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표와 관련공무원의 인터뷰를 통해 선정하였다. 물리적 환경평가지표로는 고도 경사, 정규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가 있으며, 이용가능성 평가지표로는 주거지면적비율, 이용가능예측인구, 미조성경과년수, 단절구역면적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공원배치특성의 경우에는 공원간의 거리와 대체시설의 분포특성이 있다. 연구 결과, 사천, 사직2, 당산근린공원이 1등급을 받았으며, 삼선당공원이 5등급을 받았다. 1등급 공원의 경우, 두 개의 공원이 청주시의 동서축인 사직로와 인접해 있었으며, 가장 높은 개발압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당공원의 경우, 가장 낮은 개발압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공원의 경우, 지역 대학교와 밀접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주변지역에 주거용지비율이 작고 이용잠재인구 또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귀곤, 양병이, 임승빈, 박종화, 오휘영, 김남춘, 성현찬, 김명수, 한태환, 박선주(1993) 공원.녹지계획지표 연구. 한국토지개발공사 보고서
  2. 김윤종, 이인성, 이석민(1998) GIS를 이용한 미시설공원의 개발 우선순위 설정 연구. 한국GIS학회지 6(1): 35-45
  3. 류연수, 나정화(2005) 도시녹지계획 목표 설정 및 타당성 검토. 국토계획 40(3): 123-139
  4. 박승범(1991) 도시공원 이용만족도에 기초한 도시공원의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9(3): 87-97
  5. 박승영(1999) 부산시 도시공원의 입지평가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성현찬, 신지영(2005) 도시공원의 접근성 향상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3(2):83-91
  7. 안상욱(1999) 부산시 도심내 평지공원의 입지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안수영(1997)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근린공원 입지선정 모형.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기철, 김경완(2001) 미개발 근린공원의 개발 우선순위 결정. 한국조경학회지 29(1): 80-91
  10. 청주시(2007) 청주시 통계연보
  11. 허미선, 진양교(1996) GIS를 활용한 서울시 도시근린공원의 접근성 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3): 4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