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n do science lessons appeal to students? - Secondary school students' views on the value of school science and the appealing aspects of science lessons to students -

학생들은 어떤 과학수업에 호응하는가?: 학교 과학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가치 인식과 호응 양상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views on the value of school science lessons and the aspects of science lessons that appeal to students. For the investigation,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16 secondary school studen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about half of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science lessons are important, but not all students have to learn science. And they considered only intrinsic interest and career hopes as critical elements in judging the necessity of science education for all. To appeal to students: first, science lessons should have relevance to students' career hopes, interest, curiosity, abilities, real life, experiences, and test scores. Second, they should acquire students' understanding. Third, they should include more experiments. Finally, they should be related to real life, reflect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s, and link new things with what students already know in terms of contexts and contents. Students thought that science lessons are not suitable for students who don't desire to pursue a science-related career. This suggests that present science curriculum perceived by students doesn't match well with the idea of science education for all. To overcome this problem, students need to be included in the debate about the relevance of science curriculum.

학교 과학교육에 대해 학생들이 어떤 인식을 지니고 있는가를 밝히는 것은 과학교육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학교 과학수업에 대해 어떤 가치를 인식하고 있는지, 학생들은 과학수업의 어떤 양상에 호응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 고등학생으로 구성된 16명의 학생과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절반 정도의 학생 참여자들은 모든 학생이 과학을 배울 필요는 없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학생들은 '모든 이를 위한 과학교육'의 필요성을 판단하는데 과학에 대한 내재적 흥미와 과학 분야 진로 희망을 결정 요인으로 고려하였다. 이는 흥미와 진로 희망 외에 과학을 배워야 하는 다른 이유나 가치가 크게 호응받지 못함을 보여주었다. 과학수업에 호응하기 위해서 과학수업은 학습자와의 관련성 면에서 학생들의 진로, 흥미, 호기심, 능력, 실생활, 경험, 점수와 관련되어야 한다. 또 과목의 특성상 학생들은 이해를 달성해야 하고, 활동 면에서 실험 활동이 증대될 필요가 있다. 과학 수업은 내용과 맥락 면에서 실생활과 관련되고,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이 반영되며, 새로 배우는 것은 이미 알고 있는 것과 적절히 연결되는 맥락에서 제시될 필요가 있다. 학생 참여자들은 과학 분야로 진출하지 않을 학생들에게는 과학수업의 적합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여 현재의 과학교육과정이 '모든 이를 위한 과학교육' 이라는 이상과 잘 맞는지 검토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교육과정의 적합성 논의 과정에 참가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2006). 초${\cdot}\alpha$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27(3), 260-268
  2. 노태희, 최용남(1996).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수업환경 인식 및 태도와의 관계성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2), 217-225
  3. 박승재, 김희백, 박종윤, 유준희, 윤진, 임성민, 전우수(2002). 초중등학생의 과학선호도 증진 정책 연구. 대통령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용역연구보고서, 대통령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4. 송진웅(1999). 과학교육의 기본 이념으로서의 과학적 소양. 기초과학연구, 15(3), 73-84
  5. 송진웅, 박승재, 장경애(1992). 초중고 남녀 학생의 과학수업과 과학자에 대한 태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3), 109-117
  6. 윤진, 박승재, 명전옥(2006). 과학 진로와 관련된 초중등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675-690
  7. 윤진, 전우수(2003). 초중학생의 과학선호도 실태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22(1), 65-80
  8. 이미경, 손원숙, 노언경(2007). PISA 2006 결과분석 연구-과학적 소양, 읽기 소양, 수학적 소양 수준및 배경 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7-1
  9. 장소영, 노석구(2005). 초등학생의 과학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 24(4), 435-442
  10. 전우수, 임성민, 윤진(2003). 초등학생의 과학선호도. 초등과학교육, 22(1), 81-96
  11. 전화영, 이진명, 홍훈기(2008). 과학기술자와의 인터뷰가 과학 진로 지향 및 과학자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350-358
  12. 정용재, 송진웅(2002). 계통도 분석법을 통한 초등학생과 초등교사의 '과학 학습의 필요성' 에 대한 관점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06-819
  13. 켈러, 송상호(1999). 매력적인 수업 설계. 서울:교육과학사
  14. 한국과학문화재단(2003). 이공계 진로지도를 위한 학생 인지도 조사
  15. DeBoer, G. E.(1991). A history of ideas in science education: implications for practice. NY: Teachers College Press
  16. Gardner, M. K. & Sternberg, R. J.(1994). Novelty and intelligence. In Sternberg, R. J. & Wagner, R. K. (Eds.), Mind in context, (pp. 38-73). New York: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Geiwitz, J. P.(1966). Structure of boredo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5), 592-600 https://doi.org/10.1037/h0023202
  18. Guba, E. G.(1981). Criteria for assessing the truthworthiness of naturalistic inquiries,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21(1), 75-91
  19. Hodson, D. & Reid, D. J.(1988). Science for all-Motives, meanings and implications. School Science Review, 69(249). 653-661
  20. Jenkins, E. W.(1993). Scientific literacy and school science education. In E. Whitelegg. J. Thomas and S. Tresman(ed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Science Education. London: Open University Press
  21. Jenkins, E. W.(2006). The student voice and school science educat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2, 49-88 https://doi.org/10.1080/03057260608560220
  22. NFER/DfES.(2004). Where England stands in the Trends in the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TIMSS), National Report for England, Slough/London, National Foundation for Educational Research/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23. Murray, I. & Reiss, M.(2005). The student review of the science curriculum, School Science Review, 87(318), 83-93
  24. Osborne, J. & Collins, S.(2001). Pupils' views of the role and value of the science curriculu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 441-467 https://doi.org/10.1080/09500690010006518
  25. Raaheim, K.(1974). Problem solving and intelligence. Oslo: Universitetsforlaget
  26. Rennie, L. J., Goodrum, D. and Hackling, M.(2001).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in Australian schools: Results of a national study,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4), 455-498 https://doi.org/10.1023/A:1013171905815
  27. Sjoberg, S. & Schreiner, C.(2005). Young people and science: attitudes, values and priorities: evidence from the ROSE project. Keynote presentation at the European Union Science and Society Forum, Brussels
  28. Sjoberg, S. & Schreiner, C.(2006). How do learners in different cultures relate to science and technology? Results and perspectives from the ROSE. Asia-Pacific Forum on Science Learning and Teaching, 7(1)
  29. Strauss, A. & Corbin, J.(1994). Grounded theory methodology:an overview. In N.K. Denzin & Y.S.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London: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