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왕산 국립공원의 지형경관과 지질학적 지배 요인: 용결상과 주상절리

Topographical Landscapes and their Controlling Geological Factors in the Juwangsan National Park: Welding Facies and Columnar Joints

  • 황상구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김재호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Hwang, Sang-Koo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Jae-Ho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9.09.30

초록

주왕산 지역은 산세가 웅장하고 4계절의 경관이 아름다워 1976년에 12번째 국립공원($107.4km^2$)으로 지정되었으며, 특히 주왕 계곡은 암돔, 단애, 동굴, 폭포와 폭호 등에 의해 지형경관이 수려하여 2003년 명승 11호($9,177.5m^2$)로 지정되었다. 주왕산응회암의 두꺼운 치밀용결대가 지형적 경관면에서 가장 멋진 절경을 드러내며 주왕산 국립공원으로 지정하게 만든 주체이다. 이 치밀용결대에는 급수대, 학소대, 신선대, 망월대, 기암과 병풍바위 등의 많은 암석단애들을 가지고 그 단애에 주왕굴, 무장굴, 연화굴 등의 동굴들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능선에 여러 암돔을 이루고 그 계곡에 여러 폭포와 폭호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암석단애들은 치밀용결대가 수직절리에 의해 이루어진 절벽이고, 동굴들도 치밀용결대의 단애에서 수직절리를 따라 좁게 형성된 것이며, 암돔과 폭호들은 수직절리에 의한 절벽이 침식된 지형경관이다. 이들 수직절리는 주왕산응회암이 냉각되는 직후에 생성되는 주상절리에 해당되는 냉각절리이다. 이러한 지형적 특징은 주왕산응회암의 치밀용결대에 여러 방향으로 교차되면서 수직으로 발달하는 주상절리에 그 원인이 있다고 하겠다.

Juwangsan area($107.4km^2$) has been designated as the twelfth National Park in 1976, because it has magnificent aspect and seasonally spectacular landscapes. Juwang valley($9,177.5m^2$) has been designated as Noted Scenery No. 11 in 2003, because it has the same topographical landscape as rock domes, rock cliffs, caves, waterfalls and plunge pools. The most spectacular landscapes are exhibited in the densely welded zone of the Juwangsan Tuff. The rock cliffs generated from vertical joints in the densely welded zone, in which there are the same many rock cliffs as Geupsudae, Haksodae, Sinseondae, Mangwoldae, Giam and Byeongpungbawi, three caves such as Juwanggul, Mujanggul and Yeonhwagul in the cliff. The cliffs and caves are landscapes that were generated from vertical joints in the densely welded zone, and the rock domes and waterfalls are landscapes of erosional vertical joint planes in the zone. The vertical joints are columnar joints formed during cooling of the Juwangsan Tuff. Therefore the topographical features cause the cooling columnar joints that are vertically intersected in the densely welded zone of the Juwangsan Tuff.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정선, 윤성효, 홍현주, 2005, 제주도 대포동현무암에 발달한 지삿개 주상절리의 형태학 및 암석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14, 212-225
  2. 김규봉, 1998, 주왕산, 대원사, 127p
  3. 안웅산, 황상구, 2007, 청송 남동부 무포산응회암의 흐름 지시자로부터 유향 결정. 자원환경지질, 40, 319-330
  4. 청송군, 1990, 청송군지. 청송군, 802p
  5. 황상구, 2007, 청송 동부 주왕산응회암의 냉각과정. 지질학회지, 43, 353-367
  6. 황상구, 김상호, 2006, 청송 남동부 무포산응회암의 마그마과정. 지질학회지, 42, 235-271
  7. 황상구, 이병주, Reedman, A.J., 2007a, 청송 동부 주왕산 응회암의 마그마 과정. 지질학회지, 43, 65-81
  8. 황상구, 이병주, Reedman, A.J., 2007b, 청송 동부 주왕산 응회암의 유상선구조와 정치과정. 지질학회지, 43, 463-476
  9. Boyod, F.R., 1961, Welded tuffs and flows in the Rhyolite Plateau of Yellowstone Park, Wyoming. Geol Soc. Am. Bull., 72, 387-426 https://doi.org/10.1130/0016-7606(1961)72[387:WTAFIT]2.0.CO;2
  10. Cas, R.A.F and Wright, R.V., 1987, .Volcanic succession, modern and ancient. Chapman and Hall, London, 528p
  11. Ragan, D.M. and Sheridan, M.F, 1972, Compaction of the Bishop Tuff, California.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83, 95-106 https://doi.org/10.1130/0016-7606(1972)83[95:COTBTC]2.0.CO;2
  12. Riehle, J.R., 1973, Calculated compaction profiles of rhyolitic ash-flow tuffs. Geol.Soc. Am. Bull., 84, 2193-2216 https://doi.org/10.1130/0016-7606(1973)84<2193:CCPORA>2.0.CO;2
  13. Schmincke, H.-U., 1967, Stratigraphy and petrography of four upper Yakima basalt flows in south-central Washington. Geol. Soc. Am. Bull., 78, 1385-1422 https://doi.org/10.1130/0016-7606(1967)78[1385:SAPOFU]2.0.CO;2
  14. Walker, G.P.L., 1983, Ignimbrite types and ignimbrite problems. J. Volcanol. Geotherm. Res., 17, 65-88 https://doi.org/10.1016/0377-0273(83)90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