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le of the Cheongryangsan Conglomerate and the Osipbong Basalt in Classifying Stratigraphy of the Hayang Group, Yeongyang Subbasin

영양소분지 하양층군의 층서분류에 있어서 청량산역암과 오십봉현무암의 역할

  • 황상구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우병걸 (왜관 순심고등학교)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e Cheongryangsan Formation was reported to stratigraphically overlie the Gasongdong Formation and underlie the Dogyedong Formation in the northern part of the Yeongyang subbasin, and be divided into the lower Cheongryangsan Member and the Osipbong Member. But the members have more widely called as the Cheongryangsan Conglomerate and the Osipbong Basalt, because the latter have initially meant that thin basalt flows several times intercalate sedimentary rocks in the northern part but later must consider that they have a very dominant volume in the eastern one. Both formations are based on classifying the stratigraphy and play a role of an excellent key bed for stratigraphic correlation between local spaces in the subbasin dominant absolutely for reddish beds. Both formations play a role of excellent key bed in the northern and northwestern areas of the subbasin; the Osipbong Basalt, the midwestern, eastern and southern ones; the Cheongryangsan Conglomerate, the southeastern one.

청량산층은 영양소분지 북부에서 층서적으로 가송동층 위에 놓이고 도계동층에 의해 덮이는데, 하부 청량산멤버와 상부 오십봉멤버로 구분된다. 그러나 이 멤버들은 청량산역암과 오십봉현무암으로 널리 불리어져 왔다. 왜냐하면 후자의 경우 초기에 얇은 현무암 용암류들이 북부에서 퇴적암을 여러 차례 협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했지만 그 후에 이들이 동부지역에서 매우 큰 용적을 가지는 것을 고려해야만 했기 때문이다. 적색층이 절대적으로 우세한 영양소분지에서 두 층은 층서분류의 기준이 되고 지역간의 층서대비를 위한 우수한 열쇠층 역할을 담당한다. 두 층 모두는 영양소분지의 북부와 북서부지역에서 열쇠층 역할을 하며, 오십봉현무암은 중서부, 동부와 남부지역에서, 청량산역암은 남동부지역에서 열쇠층 역할을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남장, 강필종, 이홍규, 1970, 한국지질도 중평동도폭. 국립지질조사소, 19p
  2. 김상욱, 박봉순, 1970, 한국지질도 영양도폭. 국립지질조사소, 25p
  3. 김옥준, 홍만섭, 원종관, 박희인, 박양대, 김기태, 1963a, 한국지질도 도계동도폭. 국립지질조사소, 23p
  4. 김옥준, 홍만섭, 원종관, 박희인, 박양대, 김기태, 1963b, 한국지질도 평해도폭, 국립지질조사소
  5. 안웅산, 황상구, 2007, 청송 남동부 무포산응회암의 흐름지시자로부터 유향 결정. 자원환경지질, 40, 319-330
  6. 엄상호, 전희영, 1982, 한국의 지질. 한국동력자원연구소, 128p
  7. 우병걸, 1990, 경상북도 평해-영덕 지역의 백악계 층서 및 퇴적. 경북대학교 대학원 이학석사 학위논문, 72p
  8. 원종관, 강필종, 이상헌, 1978, 경상분지의 구조해석과 Igneous Pluton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14, 79-92
  9. 유인창, 최선규, 위수민, 2006, 한반도 동남부 백악기 경상분지의 형성과 변형에 관한 질의. 자원환경지질, 39, 129-149
  10. 이대성, 이하영, 1963, 한국지질도 예안도폭. 국립지질조사소, 22p
  11. 장기홍, 1977a, 경상분지 상부 중생계의 층서, 퇴적 및 지구조. 지질학회지, 13, 76-90
  12. 장기홍, 1977b, 경상분지 상부 중생계의 층서, 퇴적 및 지구조(II). 지질학회지, 13, 120-135
  13. 장기홍, 1985, 한국지질론. 민음사, 270p
  14. 황상구, 2002, 청송 남동부 구암산 칼데라의 함몰유형과 진화. 지질학회지, 38, 199-216
  15. 황상구, 손진담, 이병주, Reedman, A.J., 2002, 구암산 칼데라의 분출상과 화산과정. 암석학회지, 11,74-89
  16. 황상구, 정기영, 2006, 안동 임하댐 유역의 지질과 임하호고탁수의 원인. 자원환경지질, 39, 771-786
  17. 황상구, 이병주, Reedman, A.J., 2007a, 청송 동부 주왕산응회암의 마그마 과정. 지질학회지, 43, 65-81
  18. 황상구, 이병주, Reedman, A.J., 2007b, 청송 동부 주왕산응회암의 유상선구조와 정치과정. 지질학회지, 43, 463-476
  19. 황재하, 김동학, 조등룡, 송교영, 1996, 1:25만 안동 지질도폭 설명서. 한국자원연구소, 67p
  20. 波多江信廣, 1936, 朝蘇地質圖 第 18輯(寧海, 盈德 圖幅). 朝鮮總督府 地質調査所
  21. Chang, K.H., 1975, Cretaceous stratigrphy of southeast Korea. J. Geol. Soc. Korea, 11, 1-23
  22. Lee, D.S., 1987, Geology of Korea. Kyohak-Sa, 514p
  23. Reedman, A.J. and Um, S.H., 1975, Geology of Korea. Geol. Min. Inst. Korea, 139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