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thers' Interest and Involvement in their Child's Education as related to Demographic Variables, Fathers' Parenting Behavior, and Participation in the Daily Life of their Children

사회인구학적 변인,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일상생활 참여가 아버지의 자녀교육 관심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

  • Choi, Jee-Su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 ;
  • Park, Seong-Yeon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hild Development & Intervention, Ewha Womans Univ.) ;
  • Jun, Chun-Ae (Child & Family Studies, The Catholic Univ. of Korea)
  • 최지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 박성연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아동학 협동과정) ;
  • 전춘애 (가톨릭대학교 아동학)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explore fathers' interest and involvement concerning their child's education as related to demographic variables of family, fathers' parenting behavior, and participation in the daily life of their children. A total of 220 fathers of children in elementary to 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level of fathers' interest and involvement in their child's education was relatively high. 2) Fathers' interest and involvement in their child's educ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father's educational level and socioeconomic status, but not to the child's gender and age. The better a child's school achievement was, the higher the father's interest and involvement in their child's education was. 3) Fathers'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and participation in the daily life of their children affected the fathers' interest and involvemen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The importance of fathers' interest and participation concerning their child's education was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강란혜(2000). 아버지 역할수행의 결정요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6), 15-28
  2. 김정신(1999). 아버지 양육태도와 양육참여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정원.김유정(2007). 영유아기 자녀를 둔 우리나라 아버지 관련 연구 경향분석: 1980년 이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5(5), 25-38
  4. 김희화(2005a). 아버지의 양육참여 실태 및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아버지 양육참여의 영향. 아동학회지, 26(5), 311-330
  5. 김희화(2005b). 중학생 자녀를 둔 한국 아버지의 양육참여척도의 개발. 아동학회지, 26(1), 107-121
  6. 도금혜(2008). 아버지 관련 변인이 아동의 학교생활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7(5), 1-12
  7. 류방란.김성식(2006). 교육격차: 가정 배경과 학교교육의 영향력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8. 박성연.이숙(199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척도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8(1), 143-145
  9. 박성연.도현심.정승원(역) (1996). 부모-자녀관계: 생태학적 접근. 학지사
  10. 박성연(2006). 아동발달. 교문사
  11. 박순길(2004).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적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현주(2001).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교육지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신용주(2008). 아버지의 자녀양육 역할참여에 관한 문헌 고찰. 생활과학연구. 13. 동덕여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45-55
  14. 양득주(1988).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도와 취학 전 아동의 성특성 고정관념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양미경(1996).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도와 부모역할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4), 87-101
  16. 양병화(2006). 다변량 데이터 분석법의 이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p.64
  17. 오미경(1990). 아버지의 자녀양육 역할 수행정도가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미정(1998). 3세여아의 행동억제와 그 변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세용(1997). 아버지의 자녀교육 지원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학, 31, 595-623
  20. 이세용.양현정(2003). 아버지의 교육참여와 청소년 발달.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21. 이여봉.이선이.김현주(2008). 청소년 자녀와 부모 간 긍정적-갈등적 상호작용: 국가 및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0(2), 127-160
  22. 이화순(200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학업성적차이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화진(1995). 아버지의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결혼만족도 직업 만족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임병금.정연숙.우수경(2004).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생활과학연구논총, 8(1), 53-69
  25. 임희수(2001).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장재홍.김태성(2002). 아버지의 자녀양육행동과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및 자녀양육태도간의 관계. 청소년상담연구, 10(2), 123-139
  27. 전춘애.박철옥.이은경(2008).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관련 변인탐색 연구. 상담학연구, 9(2), 709-726
  28. 전효숙(1990). 유치원 자녀를 둔 아버지역할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조원지.한경혜(2001). 직업 역할 및 아버지 역할이 남성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 연령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6(1). 1-20
  30. 최경순(1992).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참여도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통계청(2006). 경제활동인구연보
  32. 한경혜.이정화(1995). 남성의 직업역할과 부모기 전이로 인한 긴장감/보상감. 한국가족학회. 7. 155-183
  33. 노컷뉴스(2006.5.23). 아버지 학부모가 나서야 학교가 바로 선다
  34. 데이터뉴스(2008.5.23). 아버지 21%, 자녀교육에 '바짓바람'
  35. 서울신문(2006.5.25). 자타공인 좋은 아빠 3인의 교육법. 13면
  36. 조선일보(2009.4.6). [아빠의 좌충우돌 교육기] 공부 안 하는 듯 공부하는 법 없나요? 46면
  37. 쿠키뉴스(2007.11.23). 아이 방과 후 스케줄 꿰고, 등.하교 교통정리까지... 3040 아빠들의 '바짓바람'
  38. 파이낸셜뉴스(2009.6.24). 공무원 육아휴직 4년 새 3.3배 급증. 13면
  39. 한경닷컴(2007.8.3). 치맛바람 뺨치는 '바짓바람'
  40. 한국경제신문(2008.6.29). 이젠 ‘맹부삼천지교’...부서까지 바꾸며 '자녀교육 올인'아빠 늘어
  41. Barnett, R. C., & Baruch, G. K. (1986). Father's participation in family work and children's sex role attitude. Child Development, 57, 1211-1223
  42. Coontz, S. (1998). The way we really are: Coming to terms with American's changing families. N.Y.: Basic Books
  43. Kindlon, D.(2006). 최정숙 역(2007). 새로운 여자의 탄생 알파걸. 미래의 창
  44. Lamb, M. E., Pleck, J. H., Charnov, E. L., & Levine, J. A. (1987). A biosocial perpective in paternal behavior and involvement. In J. B. Lancaster, J. Altman, A. S. Rossi, & L. R. Sherrod (Eds.), Parenting across the lifespan: Biosocial dimensions. 111-142. Hawthorne, NY: Aldine
  45. Marsiglio, W. (1991). Parental engagement activities with minor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 973-986 https://doi.org/10.2307/353001
  46. Palkovitz, R. J. (2001). Involved fathering and men's adult development:Provisional balances. Hillsdale, NJ: Lauwrence Erlbaum
  47. Parke, R. D.(1996). 김성봉 역(2005). 아버지만이 줄 수 있는 것이 따로 있다. 샘터
  48. Stevenson, H. W., Lee, S. Y., & Stigler, J. W. (1986). Mathematics achievement of Chinese, Japanese, and American children, Science, 231. 693-699 https://doi.org/10.1126/science.3945803
  49. Volling, B., & J. Belskey. (1991). Multiple Determinants of Father Involvement During Infancy in Dual-Earner and Sigle-Earner Famil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 461-474 https://doi.org/10.2307/352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