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stimation of H2S Emission Rate from Municipal Solid Waste at the Environmental Facilities in Busan City

부산지역 환경기초시설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물리, 화학적 특성 규명 및 황화수소 발생량 예측에 관한 연구

  • 이태윤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환경공학과) ;
  • 김도용 (기상지진기술개발사업단) ;
  • 김재진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대기환경과학과) ;
  • 이준기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
  • Received : 2008.09.09
  • Accepted : 2009.01.05
  • Published : 2009.02.01

Abstract

There have been increasing interests in the odor generation problems as concerns about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increased recently. Especially, approximately 67% of the odor complaints from environmental facilities are those from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nd food waste treatment facilities. Moreover, sewage ocean dumping will be prohibited from 2012 by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ocean laws, and thus, demand for alternative management plans is increasing. Therefore, it was first selected 5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nd 5 food waste treatment facilities where the amounts of waste are relatively immense in Busan, and collect their sludge samples. Then it was investigated the samples'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through proximate analysis, elemental analysis, XRF analysis, and calorific value analysis. Finally, estimate the $H_2S$ emission rates were estimated in order to apply the results as the basic data for providing the fundamental solution for the oder complaints. As a result, the concentration of $H_2S$ in sewage sludge and in food waste treatment facility were 57.3 mg/kg and 19.7 mg/kg in average, respectively. Finally, the units of $H_2S$ in wastes stored in total 10 waste treatment facilities was estimated 16,017,910.0 mg/d.

최근 우리나라의 국민들의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악취발생문제가 중요한 사회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환경기초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로 인한 민원 중 약 67%가 하수처리장과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양오염방지법 시행규칙개정으로 2012년부터는 하수오니 등의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될 예정에 있어 이들 시설의 처리량 증가에 따른 관리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전역의 하수처리장과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중 상대적으로 폐기물발생량이 많은 5개 하수처리장과 5개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을 선정하여 슬러지 시료를 채집하고 이들 시료에 대한 공업분석, 원소분석, XRF 분석, 발열량분석 등을 통해 시료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알아내었다. 또한 최종적으로 시료 내 황화수소 발생가능농도 측정을 통해 황화수소발생원단위를 산정, 악취민원의 근본적 대책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하수슬러지의 황화수소농도는 평균 57.3mg/kg,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의 것은 19.7mg/kg이었다. 최종적으로 총 10개 시설 폐기물의 황화수소 발생원 단위 산정결과 16,017,910.0mg/d로 예측 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기상청

References

  1. 김경숙, 박용남, 정재춘 (1999), 하수슬러지의 자원화 기술평가 및 정책방안, 유기성자원학회지, Vol. 7, No. 1, pp. 79-91.
  2. 대한환경공학회 (2008), 추계 학술연구발표회 논문요약집, pp. 143.
  3. 박재현, 류승민, 이승용, 한근희, 장동순, 진경태 (2001), 하수 슬러지의 유동층 소각 특성, 공업화학 전망, Vol. 4, No. 4, pp. 44-52.
  4. 서울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2006), 하수슬러지 건조도에 따른 자가착화 특성연구, 서울지역환경 기술개발센터, pp. 15-20.
  5. 이태윤, 이준기, 김재진 (2008), 하수슬러지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지반환경공학회, pp. 415-419.
  6. 전라북도 보건환경연구원 (2007), 환경기초시설 악취 저감 방안 연구, 전라북도 보건환경연구원, pp. 12-13, 149-151, 165-174.
  7. 정재은, 송복주, 정승렬 (2003), 음식물쓰레기 처리설비에서 발생되는 악취성분 분석 및 적정 처리방안 연구(II),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보, Vol. 13, No. 2, pp. 17-47.
  8. 조백근 (2005), 경남지역 음식물쓰레기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진주산업대학교, pp. 27-29.
  9. 해양경찰청 (2005), '5년 폐기물 해양투기 현황 및 '6년 폐기물 해양투기 억제대책, 해양경찰청, pp. 1-10.
  10. 해양수산부 (2006), 친환경적 투기해역관리를 위한 범정부적 육상폐기물 해양투기 종합대책, 해양수산부, pp. 1-12.
  11. 환경부 (2001), 악취물질 발생원 관리방안 개선을 위한 조사 연구, 환경부, pp. 317-336.
  12. 환경부 (2007a), '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및 '7년 악취 관리방향, 환경부, pp. 1-6.
  13. 환경부 (2007b), 2007 환경백서, 환경부, pp. 611-620.
  14. 환경부 (2007c), 2007 환경통계연감, 환경부, pp. 492.
  15. Maria Csuros (1997), Environmental Sampling and Analysis: Lab Manual, Lewis Publishing Company, pp. 295-311.
  16. Vernon L. Snoeyink, David Jenkins (1980), Water Chemistry, John Wiley & Sons, pp. 134-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