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lementation Strategies of Hair Salons for Mass Customization

미용실의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실행 전략

  • Published : 2009.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air salon's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current service condition for mass customization.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82 questions. 115 hair salon's directors were subjects of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Hair salon's mass customization strategies were categorized into 6 factors such as staff's technique, communication service, electronic products, monetary support, man-to-man service, and dissatisfaction removal service. Hair salons were categorized into 2 groups of a high implementation group and a low implementation group. A high implementation group had a higher monthly sales and more regular customers and staff. The hair salons were franchises and were more spacious in the high group. They were located at fashion street, department store, or outlet mall, and offered fashionable hair styles. However, a low implementation group had a lower monthly sales and less regular customers and staffs. The size of hair salon was small in the low group. They were located in residential areas and offered basic hair styles.

Keywords

References

  1. 정훈 (2002). 미용과 경영. 서울: 예림, pp. 104-110.
  2. 윤관영 (2003). 고객의 미용실 선택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6.
  3. 김선옥 (1997). 미용서비스 품질인식에 관한 실증적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7.
  4. 황선아, 황선진 (2001).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과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복식, 51(8), pp. 171-183.
  5. 정진희 (2003). 미용서비스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오경숙, 박은주 (2004). 미용실 경영방식에 따른 고객 만족도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0(1), pp. 19-27.
  7. 이성미, 정숙희 (2005). 미용실 유형별 서비스 수준 및 고객만족도. 한국미용학회지, 11(3), pp. 258-264.
  8. 최혜연 (2002). 미용실의 마케팅 전략과 직무만족도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5.
  9. 정현숙 (2006). 미용서비스 소비자의 인적 충성과 점포 충성에 관한 이원적 충성 행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1.
  10. Davis, S. (1987). Future perfect. Addison-Wesley Purbilshing, Reading MA, U.S.A.
  11. Pine, B. J. (1993). Mass Customization: the new frontier in bisiness competition. HBS Press.
  12. 조셉 파인, 윤순봉 역 (1994).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혁명. 서울: 21세기북스
  13. 신현암 (2004). 맞춤 서비스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의 성공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상품학연구, 32(8), pp. 183-204.
  14. Feitzinger, E. and H. Lee (1997). Mass Customization at Hewlett-Packard: the power of post-ponnement. Harvard Business Review. Jan-Feb. pp. 116-121.
  15. 원석희 (2001). 차별화 지연을 통한 서비스 기업의 유연성 확보. 한국생산관리연구회, 12(1).
  16. 정대영 (2008).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서울: 엠플래닝, p. 28.
  17. 자료검색일 2008.3.12. 자료출처 http://w3sv01.parismiki.co.jp/paris-miki.com/individual/cg/index.html.
  18. 정대영. 앞의 책, pp. 20-21.
  19. 박진아(2003). 대량 맞춤화형 의류제품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Pine, B. J. & Gilmore, J. H. (1999). The experience economy: work is theatre & every bisniness a stag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1. 양희순 (2005). 의류브랜드의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실행수준과 소비자의 기대수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7.
  22. 김소라 (2001). 중년여성을 위한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의류제품의 생산 모델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 3-4.
  23. 임호선 (2003). 신사복의 Mass Customization을 위한 MTM CAD 프로그램 활용현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8.
  24. Anderson-Connell, L. J.. Ulrich, P. V., & Brannon, B. L. (2002). A consumer-driven model for mass customization in the apparel market. Journal of Fashon Marketing and Management, 3, pp. 240-258.
  25. Pan, B. & Holland, R. (2006), A mass customised supply chain for the fashion system at the design-production interface. Journal of Fashon Marketing and Management, 3, pp. 345-359.
  26. 장영용 (2001). 미용서비스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8.
  27. 정현숙 앞의 책, p. 31.
  28. 전선정, 박선주 (2003). 대고객 관계마케팅 실천전략에 관한 연구: 미용서비스산업을 중심으로. 한국미용학회지, 8(2), pp. 181-187.
  29. 정훈. 앞의 책, pp. 104-110.
  30. 오경숙, 박은주. 앞의 책, pp. 19-27
  31. 이성미, 정숙희. 앞의 책, pp. 258-264
  32. 최혜연 (2002). 앞의 책, pp. 3-5.
  33. 이혜숙 (2003). 미용실 점포속성이 점포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명정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정현숙 앞의 책, p. 3.
  35. 윤수용 (2006). 미용서비스업의 관계마케팅 요인이 관계 질과 고객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전양진, 전옥주(2007). 20-40대 남성의 이.미용 서비스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5), pp.826-847.
  37. 김소라. 앞의 책, pp. 196-200
  38. 황선아, 황선진 (2001).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과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복식, 51(8), pp.171-183
  39. 오경숙, 박은주. 앞의 책, pp.9-27.
  40. 류미현 (2005). 미용서비스 관련 소비자불만에 대한 대응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4), pp. 79-89.
  41. 이성미, 정숙희. 앞의 책, pp. 58-264.
  42. 양희순. 앞의 책, pp. 117-121.
  43. 김윤 (2006). 사회문화적 압력, 미적 고정관념이의 내면화 및 대상화된 신체의식이 신체만족과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0-114
  44. 이혜영 (2007). 소비자의 구매의사 결정단계에 따른 패션브랜드의 마케팅커뮤니케이션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6-121.
  45. 이지영 (1999). 여대생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화장품 소비행동.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5.
  46. 권태신 (2000). 대학생의 모발화장품 추구혜택과 정보원 활용.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9.
  47. 황복주 (2006). 미용서비스 품질 지각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미용실 서비스 전략. 산업경제연구, 19(1), pp. 179-203.
  48. 황선아, 황선진. 앞의 책, pp. 171-183.
  49. 이성미, 정숙희. 앞의 책, pp. 258-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