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마을 조성사업 평가항목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of Retire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 발행 : 2009.12.30

초록

New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and rural village land use is expanded to encompass green-tourism, citizen and silver domicile space because of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changes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the evaluation index for retire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issued by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The evaluation index was consisted of four categories (population, economic, environment, and living), which were consisted of 35 variables. The relative weight for 35 variables was calcula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from the experts and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Growth rate of population in population criteria, job creation by exterior inflow in economics criteria, improvement of exchange between urban and rural in life criteria, and the flood outbreak in environment criteria were the most important contents of 35 variable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objectives of retire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and indicate the need of prevention the negative sides by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키워드

참고문헌

  1. 갈랩앤컴퍼니(2003) 농촌진흥사업 성과지표 개발 보고서. 농촌진흥청. 170.
  2. 국립농업과학원(2008) 시험연구사업보고서(농업환경 연구 I ). 75.
  3. 김향자. 김현주(2003) 관광개발계획 지표개발 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119.
  4. 노용호, 조광익, 이상영(2006). AHP를 활용한 농촌 관광마을 사업성과지표개발. 관광학연구 30(4), 191-209
  5. 농림부(2004) 제1차 농림어업인 삶의질 향상 및 농 산어촌지역 개발 기본계획 수립지침.
  6. 농림부(2007) 2007 전원마을조성사업 담당자 워크샵 자료. 130.
  7. 농림수산식품부(2009) 2009 농림사업시행지침서. 2110.
  8. 농촌진흥청(2006) 농촌관광마을 사업 성과지표 개발. 농촌진흥청. 205.
  9. 농촌진흥청(2006) 농촌생활지표 조사 보고서(식생 활, 건강생활, 주거 및 환경, 생산 및 소비, 교육 부문). 187.
  10. 박재철, 송광인, 박천창, 김현욱, 심재건, 이기봉 (2006) 농촌마을 가꾸기 경진대회 참여 마을의 농촌관광 성과분석-도시민 유치실적과 소득 및 고유 축제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12(3), 107-115.
  11. 서교, 한이철, 이지민, 이정재(2006) DEA와 AHP 를 이용한 농촌건강장수마을사업 평가모형 개발. 농촌계획 12(4), 1-11.
  12. 송미령, 박석두, 김수석, 성주인(2003) 농촌지역 토 지의 계획적 보전과 개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연구보고서. 134.
  13. 송미령, 성주인(2004) 주민참여형 마을개발사업의 평가화 모형정립.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146.
  14. 엄대호, 김대식, 김태철, 김은순(2006) BSC에 의한 농촌마을 그린투어리즘 성과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2(3), 43-55.
  15. 오정훈, 곽승준(2003) 정부연구개발사업의 평가모형 - AHP와 MAUT의 비교 및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9(2), 93-119.
  16. 유승우, 이희찬(2005) 농촌관광 수요확대 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107.
  17. 윤순덕, 박공주(2006) 도시민의 은퇴 후 농촌정주에 대한 수요분석. 농촌계획 12(2), 37-47.
  18. 이성우, 윤성도(2008) 농업, 농촌정책평가를 위한 정량적 분석모형 연구. 농촌계획 14(4), 97-108.
  19. 장우환, 장철수, 손철오(2002) 산촌개발사업의 평가와 개선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151.
  20. 조근태, 김성준, 김대식, 조영우, 이종인(2003) AHP를 이용한 미래유망기술 투자의 우선순위 설정 - 농촌개발 및 자원분야를 중심으로. 농촌 계획 9(3), 41-46.
  21. 한경수, 김기현, 전택기, 엄대호, 최윤상(2007)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중간 점검을 위한 평가지 표 적용사례. 농촌계획 13(2), 121-132.
  22. 황한철(2007) 농촌개발사업의 추진실적 평가항목 선정 및 가중치 산정에 관한 연구 -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지역개발 시행계획 추진실적 평가를 중심으로. 농촌계획13(2), 17-26.
  23. Lee DK, Yoon EJ, Kim EY, Cho SJ(2007) A Study on Rural Landscape Assessment Based on Rural Amenity Resources. Korean Rural Man, 13(1), 11- 17.
  24. Saaty RW(1987)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what it is and how it is used. Mathematical modelling 9,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