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ssion Control Technique Providing Seamless Service in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Environment Based on IMS

IMS 기반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서비스 세션제어 기법

  • 남승민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
  • 김지호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
  • 이현정 (융합기술연구부문 U-컴퓨팅연구부) ;
  • 송오영 (중앙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Recently, the application of network technology extends to all areas because of development of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Thus, networks are being evolved towards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environments where all information devices, home appliances, and object are connected and interoperated. In order to provide adequate convergence services in IMS-based networks that are the core technology of the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environments, seamless service should be possible although the underlying network and the device in use may change in the network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architecture, algorithm, and protocol of service session control for seamless service in such networks.

최근 디지털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네트워크 기술 및 성능의 적용 범위가 모든 분야로 확대됨에 따라 모든 정보단말, 가전기기, 사물 등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차세대 통신환경으로 진화되고 있다. 이러한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의 핵심기술인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 네트워크에서 원활한 통합서비스(convergence service)의 제공을 위해서는 사용하던 정보단말이 바뀌거나 네트워크가 변화하더라도 이용 받던 서비스들을 그대로 제공 받을 수 있는 끊김없는(seamless) 서비스가 가능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IMS Enabler를 통한 통합서비스 제공환경에서 사용자의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나 정보단말의 변화에도 끊김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세션제어기법과 그 구조를 제안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세션 제어 프로토콜(Service Session Control Protocol : SSCP)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Web Site, http://www.bcn.ne.kr/
  2. ITU-T Y.2001: “General Overview of NGN”
  3. ITU-T “General Principles and General Reference Model for Next Generation Networks”, Recommendation Y.2011, 2004
  4. 3GPP TS 23.228, “IP Multimedia Subsystem(IMS)”, December., 2006
  5. 3GPP TS 23.003, “Network Architecture”, March, 2006
  6. B.Mrohs, S.Steqlich, A.Mamelli, R.Guarneri, “Next Generation Mobile Service Infrastructure Mapping to IMS”, Personal, Indoor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s, 2007. PIMRC 2007. IEEE 18th International Symposium, pp.1-5, Sept., 2007 https://doi.org/10.1109/PIMRC.2007.4394132
  7. 강태규, 김도영, 김영선, “BcN 인터넷전화(VoIP)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19권 제6호 pp.66-73, 12, 2004
  8. 이영석, 김영한, “BcN/NGN에서의 세션제어 기술”, 한국통신학회지 제24권 제3호, pp.44-52, 3, 2007
  9. 김화숙, 이현진, 조기성, “IMS 기반의 서비스 제어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1권 제6호, pp.95-103, 12, 2006
  10. A. Udugama, K. Kuladinithi, C.Gorg, F. Pittmann, L. Tionardi, “NetCAPE: Enabling Seamless IMS Service Delivery across Heterogeneous Mobile Networks” Communications Magazine, IEEE, Vol.45, pp.84-91, July.2007 https://doi.org/10.1109/MCOM.2007.382665
  11. N. Imai, M. Isomura, H. Horiuchi, “Multi-Device Seamless Service by User-Oriented Session in All-IP Network”, Communications, 2007. ICC '07.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p.1929-1934, June., 2007 https://doi.org/10.1109/ICC.2007.321
  12. 김근형, 이기종, 김두석, “차세대 통신망에서의 세션제어 기 본 구조”, 한국통신학회추계종합학술대회, 199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