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ed ROHC Optimistic Mode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Resources in Mobile WiMAX

모바일 와이맥스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무선링크 자원 활용을 위한 ROHC Optimistic 모드의 개선 방안

  • 김주영 (이화여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우현제 (이화여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이미정 (이화여자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학과) ;
  • 권정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접속표준연구팀)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In order to efficiently provide IP based Wireless Broadband services in Mobile WiMAX, schemes for more efficiently utilizing a limited bandwidth in radio links are needed. Robust Header Compression (ROHC), a standard header compression scheme proposed by IETF, Bi-directional Optimistic (O) mode provides higher compression efficiency and robustness compared with Payload Header Suppression (PHS) which is an optional header compression scheme for mobile WiMAX [1, 2]. However, if consecutive packet losses occur because of a Shadow Region of Mobile WiMAX or bit errors, header decompression failure rate of the ROHC O mode increases due to inconsistency of the compression information between the Compressor and the Decompressor. Therefore, a complementary mechanism is neede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roach for the dynamic adjustment of an optimistic parameter, which has an effect on both the compression efficiency and the robustnes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ROHC O mode. We als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pproach using an OPNET simulator.

모바일 와이맥스에서 IP 기반의 무선 광대역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제한적인 무선링크의 대역폭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모바일 와이맥스 표준에서 정의된 헤더 압축 기법인 PHS(Payload Header Suppression) 대신에 ROHC(RObust Header Compression) O(Bi-directional Optimistic) 모드를 사용할 경우, 압축효율성과 견고성 면에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1, 2], 모바일 와이맥스의 음영서비스 지역이나 비트 에러로 인한 수신단에서의 연속적인 패킷의 손실이 발생할 경우 컴프레서와 디컴프레서가 유지하는 압축 정보가 비동기화되어 O 모드의 패킷 복구 실패율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를 보완할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와이맥스 환경에서 패킷 손실에 대한 ROHC O 모드의 성능 향상을 위해 O 모드의 압축률과 견고성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Optimistic 파라미터의 값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OPNET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제안한 방안의 성능 분석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J. Woo, J.Y. Kim, M.J. Lee, “Performance analysis of Robust Header Compression over mobile WiMAX,” ICACT 2008, pp.1742-1746, February, 2008 https://doi.org/10.1109/ICACT.2008.4494119
  2. 우현제, 김주영, 권정민, 이미정, “모바일 와이맥스에서의 효율적인 무선링크 대역폭 활용을 위한 헤더압축기법인 ROHC RTP 프로파일의 성능 분석”,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제15-C권 제5호, pp.399-408, 10, 2008 https://doi.org/10.3745/KIPSTC.2008.15-C.5.399
  3. IEEE Standard 802.16-2004, “IEEE Standard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 Part 16: Air Interface for Fixed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s,” February, 2005
  4. IEEE Standard 802.16e-2005, “IEEE Standard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 Part 16: Air Interface for Fixed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s,” February, 2006
  5. 전수연, 김태현, “모바일 와이맥스의 현황 및 주요 이슈”, 정보통신정책 제 19권 15호 통권 422호, 8, 2007
  6. Bormann, C., et., Al., “Robust Header Compression (ROHC): Framework and four profiles: RTP, UDP, ESP, and uncompressed,” IETF RFC 3095, 2001
  7. Ana Carolina Minaburo et., Al., “Proposed Behavior for Robust Header Compression over a radio link”, IEEE ICC 2004, pp.4222-4226, June, 2004 https://doi.org/10.1109/ICC.2004.1313344
  8. IEEE 802.16m-07/080r1, “Draft IEEE 802.16m Evaluation Methodology Document”, June,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