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field operation protocol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in person with non-traumatic arrest.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May 1 through June 27, 2008, and subjects were 150 students who are attending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in J and K universities which located in Jeollabuk-do and Jeollanam-do areas. Practical conformance was verified using by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is study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that employed field operation protocol and control group that applied conventional CPR protocol, and comparative analyzed statistically the necessary time of the items of each protocol. The results indicated that each performance time of 18 items was reduced over 3 seconds except 5 items(assessment of consciousness, airway control, two times of artificial respiration, check of circulation, and five cycles of CPR). And time of 6 items(intubation, peripheral intravenous line, reassessment of consciousness, pupil reaction, carotid artery pulse, and vital sign) was minimized more than 60 seconds, and total performing time was shortened 110.85 second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otal performing time in pre and post test where the protocol was applied for two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t=-6.580, p=.000). Consequently, field operation protocol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in person with non-traumatic arrest will be a available manual which support prompt and accurate decision making, and improve emergency medical service.
본 연구의 목적은 비외상성 심정지 환자에게 적용하는 심폐소생술에 대한 현장업무 프로토콜의 유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는 2008년 5월 1일부터 동년 6월 27일까지,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에 소재한 J, K대학에 재학 중인 응급구조과 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여, 실무적합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현장업무 프로토콜을 적용한 실험군과 기존의 심폐소생술을 적용한 대조군으로 나누어, 각 프로토콜 항목들의 소요시간을 비교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5개항목(의식상태 평가, 기도유지, 인공호,,흡 2회 실시, 순환 확인, 심폐소생술 5주기 실시)을 제외한 나머지 18개 항목에서 3초 이상 수행시간이 단축되었다. 60초 이상의 단축을 보인 항목은 6개로, 기관삽관 튜브 고정(78.70초), 말초정맥로 확보(64.45초), 의식상태 재평가, 동공반사 확인(110.05초), 목동맥 확인(112. 55초), 활력징후 평가(85.7초)였으며, 전체시간은 110.85초가 단축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프로토콜 적용에 따른 사전.사후 변화에서 전체시간(t=-6.580, p=.000)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외상성 심정지 환자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현장업무 프로토콜은 정확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응급의료 서비스를 향상시킬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