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9세기 강남(江南)에서 재해석된 사왕풍(四王風) 산수화의 유입 안건영(安健榮)의 <산수도> 6폭 병풍을 중심으로

The Influx of Four Wangs' Landscape Style Reinterpreted in Jiangnan Circle(江南) in the 19th Century Focused on An Geon-yeong(安健榮)'s Six-fold Landscape Screen

  • 최경현 (인천국제공항 문화재감정관실)
  • Choi, Kyoung Hyun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 Appraisal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 투고 : 2008.08.04
  • 심사 : 2008.11.25
  • 발행 : 2008.12.30

초록

18세기 전반 북경에서 형성된 사왕산수화풍은 19세기에 한국과 일본으로 널리 전파되어 각국의 새로운 시대 화풍을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이러한 화풍은 청 문사들과 교유했던 신위나 김정희에 의해 본격적으로 전래되기 시작하였고, 그들의 영향을 직간접으로 받았던 신명연, 이한철, 유숙, 장승업, 안중식, 조석진 등이 사왕풍으로 그림을 그리면서 한국 화단의 주요한 화풍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들이 그린 사왕풍 산수화에서 공통으로 보이는 특징은 고원법으로 자연 경물을 가까이에서 포착하고, 화면의 오른쪽이나 왼쪽 하단부에 배치된 키가 큰 나무를 기점으로 계류(溪流)를 건너 주산이 펼쳐지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공개된 화원화가 안건영이 그린 <산수도> 6폭 병풍은 19세기 후반 유행했던 사왕풍을 근간으로 하면서도 경물포착이나 필법 및 색채감각 등에서 이들과는 차별화된 면모를 보여주고 있어 주목된다. 안건영의 현전 작품들은 대개 소품인데 이 병풍은 6폭의 산수화로 꾸며진 대작에 해당된다. 특히 산수의 여러 경관을 윤묵(潤墨)의 가는 필선으로 섬세하게 묘사하여 고요하면서도 차분한 분위기를 조성한 것이라든지 일부 화폭에서 조감법(鳥瞰法)으로 경물을 포착하여 거시적인 시점을 보여주는 것, 연운(煙雲)을 통해 화면에 생동감을 부여하는 것 등에서 새로운 면모를 읽을 수 있다. 이러한 화풍은 19세기 전반 강남(江南) 화단에서 사왕풍을 근간으로 하면서도 중국의 실제 명산을 돌아다니며 익힌 사생(寫生)을 절충하며 산수의 기운이나 생명력을 전달하려고 했던 왕학호, 탕이분, 대희 등의 화풍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안건영의 <산수도> 6폭 병풍은 19세기에 북경 화단과는 차별화된 양상을 나타냈던 강남 화단의 사왕산수화풍이 전래 수용되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보기 드문 사례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Four Wangs' landscape style (四王山水畵風), which had appeared in Beijing in the early 18th century, widely spread to Korea and Japan in the 19th century and became a significant basis for developing new painting styles in both countries. It was first introduced to Korea by Shin Wi (申緯) and Kim Jeong-hee (金正喜) who associated with literary men of the Qing Dynasty. Being influenced by them directly or indirectly, Shin Myeong-yeon (申命淵), Yi Han-cheol (李漢喆), Yu Suk (劉淑), Changv Seung-eop (張承業), An Choog-sik (安中植), and Jo Seok-jin (趙錫晋) attempted to adapt Four Wangs' landscape style and it later became a main Stream painting style of the Korean painting circles. Based on Four Wangs' landscape style, their landscape paintings had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captured natural features from a short distance using the Down-Up prospective and placed guardian mountains across mountain streams by making a tall tree in the right or left bottom of the canvas as the starting point. However, recently unveiled court painter An Geon-yeong (1841~1876)'s the Landscape Screen is remarkable in that it is based on Four Wangs' style, which was in fashion in the late 19th century, but shows different aspects from other Four Wangs' style paintings in terms of feature capturing, brush stroke and colors. While most of An Geon-yeong's existing paintings are small ones, this folding screen is a big piece consisting of six-fold landscape paintings. In particular, it shows new aspects by creating a serene and calm atmosphere through the description of various landscape scenes with thin brush strokes using glossy ink, by showing a macroscopic view in some paintings through feature capture using a birds-eye view method, and by giving life to the canvas through smoke and clouds. This painting style is considered to be linked with those of Wang Xue-hao (王學浩, 1754~1832), Tang Yifen (湯貽汾, 1778~1853) and Dai Xi (戴熙, 1801~1860), based on Four Wangs' style in the early 19th century's Jiangnan Circle (江南 畵壇), who tried to express the energy and vitality of real landscapes by going around China's well-known mountains and complementing painting styles with drawing from nature. Therefore, An Geon-yeong's six-fold Landscape Screen is very significant as a rare case proving the introduction and reception of Jiangnan Circle's Four Wangs' landscape style which was different in many aspects from Beijing Circle in the 19th centur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