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서울지역 공동체신앙 전승과정 고찰 조선시대 각사(各司) 신당(神堂)의 존재양상과 변화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Transmission of Community Religion in Seoul Focussing on the Shrine of the Authorities and the Change

  • 오문선 (서울역사박물관 조사연구과)
  • 투고 : 2008.07.17
  • 심사 : 2008.11.15
  • 발행 : 2008.12.30

초록

서울 공동체 신앙은 조선시대 각 관서에 속한 신당의 제사에서 비롯되었다. 조선시대 각 관서(官署)의 부속공간으로 존재하던 신당의 제사 주체는 하급관리들이었다. 이러한 신당은 대개 부군당(府君堂)으로 불리웠다. 기록에 등장하는 부군당은 대개 1~3칸 정도의 규모이며, 내부에는 신앙의 대상인 부군을 그림으로 그려 봉안하였다. 역사기록에는 부군당의 제사대상이 최영장군이나 송씨부인으로 등장하는데, 실제 부군당의 제사대상은 각각 달랐다. 부군당의 제사 대상 가운데는 왕건, 단군, 남이장군, 제갈공명, 김유신, 임경업, 공민왕, 태조 이성계, 조선의 개국공신인 조반, 남한산성 일대의 지역에 전승되는 설화의 주인공인 홍씨대감과 처첩, 임진왜란 이후 신으로 모셔지기 시작했던 관우와 제갈공명 등 다양한 역사적 인물들이 있다. 조선시대 각 관서 신당의 의례를 오늘날 서울지역 마을굿의 양상과 정확하게 비교해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기록을 통해 볼 때 굿과 고사의 형태가 공존하였음을 알 수 있다. 관서 신당 의례는 점차 민(民)의 공동체신앙으로 자리잡아, 서울의 문화적 변동 맥락 속에서 전승되어 오고 있다. 본고는 조선시대 관서에 속한 신당의 존재양상을 살펴 보고, 관서 신당의 의례가 민간화되는 전승의 맥락을 장충동 관성묘, 방산동 성제묘, 서빙고 부군당의 사례를 통해 살펴 보았다. 방산동 성제묘가 민간화 되어가는 과정은, 군인들의 신으로 인식되던 신령 관우가 역사적 변화과정 속에 놓이게 되면서 군인들의 신에서 상인들의 신이 되었고, 이후 특정지역 상인들의 공동체적 신앙 대상이 된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장충동 관성묘는 남영 군인들의 부군당으로서, 관성묘 주변지역에 거주하는 이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영신사(永信社)라 불리는 제사집단에 의해 제사가 전승되었기 때문에, 이들이 구성원이 된 이 일대 마을의 공동체신앙으로의 전승이 자연스럽게 계승되었다. 서빙고 부군당의 민간화 과정은 조선 후기 장빙역(藏氷役)의 변화와 맞물린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음을 볼 수 있었다.

Seoul's community beliefs originated from the ritual performed by the shrines affiliated to each government office in the Joseon Dynasty. Lower branches of government officials were assigned to perform these rituals. Generally, these shrines were called Bugundang(府君堂). Records show that Bugundang(府君堂) was generally one to three units and enshrined the portrait of Bugun(府君), the worshipped, inside.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the worshipped were mostly General Choi Young(崔瑩將軍) or Madame Song(宋氏夫人). In fact, however, each Bugundang(府君堂) worshipped different persons. Some of the worshipped were historical characters from the Goryeo Dynasty or the founding period of Joseon Dynasty, Guan Yu(關羽) and Zhuge Liang(諸葛孔明) that became god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1952, Wanggun(王建), Dangun(檀君), General Nam Yi(南怡將軍), Kim Yoo Shin(金庾信), Lim Gyeong Up (林慶業), King Gongmin(恭愍王), King Taejo(Lee Sung Gye, 太祖 李成桂), Joban(趙?) who is one of the supporters of the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Sir Hong(洪氏大監) and his women who appear in the legend of Nanhansanseong(南漢山城) area, and many other historical figures. It is difficult to compare the rituals of these shrines from community Gut(Shaman ritual) performances of Seoul.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Gut and ceremony coexisted in rituals. As time passed, these rituals spread as the community Beliefs of commoners and have been transmitted in the context of Seoul's cultural change. This study examined the existence of affiliated shrines of local government offices in the Joseon Dynasty and discussed the cases of Jangchung-dong Gwanseong Shrine(將忠洞 關聖廟), Bangsan-dong Seongje Shrine(方山洞 聖帝廟), and Seobinggo Bugundang(西氷庫 府君堂) to trace the succession of rituals at these shrines as folk customs of commoners. Bangsan-dong Seongje Shrine(方山洞 聖帝廟) spread to the public as Gwanwoo(關羽), who was considered the god of soldiers, transformed into the god of merchants along with historical transition. It clearly shows the process as to how merchants from a certain region developed a community religion. Jangchung-dong Gwanseong Shrine(將忠洞 關聖廟) is Bugundang(府君堂) of the soldiers of Nampyoug(南營). As the ritual was succeeded by a ritual group called Yeoungsinsa(永信社), composed of nearby residents, it was naturally spread and succeeded by the residents in local community. Seobinggo Bugundang(西氷庫 府君堂) was related to the changes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ice gather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