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vestigation on the Correlation of Cremation and Buddism in United Shilla-Era Focusing on Religious Acts of Building Temples and Stupas

통일신라시대의 화장과 불교와의 상호관련성에 대한 고찰 조사(造寺)·조탑(造塔)신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Cha, Soon Chul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08.08.20
  • Accepted : 2008.10.10
  • Published : 2008.10.30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about Shilla's cremate grave, in the process of importing the cremate grave, there has been correlation with Chinese Buddhism, and there have been a lot of mentions about the change of the grave, Yinwha(Stamp) patterns and its existence, an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ssels to contain the bones. The cremate grave is categorized into two-parts type and mono-type, depending on the dead person. The cremate graves that are in local areas such as Wang-Gyeong, show difference in types. The typical vessel to contain the bones, called "Yeongyeol Gori Yoogaeho" is again proved to have existed from A.D 8c. ~ A.D 9c., judging from the Yinwha pattern stamp's existence. Yet, the Yeongyeol Gori Yoogaeho from 9th century used the patternless pottery, also seen from the Won-wha 10 yeon-myeong cremate grave. Due to the prosperity of Buddhism, when the "Mukuchonggwang Taranikyong(Sutra)", translated into Han language in 704 at Dang, was imported into Shilla, the funeral ceremonies of Shilla people changed from making cremate graves with vessels or scattering the bones in oceans, into building stupas in temples with hopes and wishes to bring oneself and family's fortune and the next life of the dead. As a result, the meaning of "Grave" disappeared for the cremate graves, and rather the ceremony changed into scattering bones and wishing fortunes for the dead person. In other words, the ancestor-worship ceremony which was focused on the tomb changed into commemorating the ancestors and wishing individual fortunes by the religious assembly in temples and the building process of stupas. In conclusion, this social change was the cause of the extinction of stone chamber with tunnel entrance and the tombs such as cremate grave.

신라의 화장묘에 관한 선학들의 연구성과를 살펴본 결과 화장묘의 도입과정에 있어서 중국 불교와의 관련성이 지적되었고, 화장묘의 형태변화와 인화문의 시문유무 그리고 장골기의 특징에 따라서 다양한 언급이 이루어졌다. 화장묘는 묘주의 신분에 따라서 이중형과 단독형으로 구분되며 왕경과 지방에 존재하는 화장묘는 그 종류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대표적인 장골기인 연결고리유개호는 인화문토기의 시문여부로 볼 때, 8세기~9세기까지 존재했음을 재확인하였다. 다만 9세기대의 연결고리유개호는 원화10년명 화장묘에서 알 수 있듯이 무문양이 주로 사용되었다. 불교신앙의 성행에 따라 704년에 당에서 처음 한역된 "무구정광다라니경"이 8세기 초에 신라로 전래되자 신라인들은 장골기를 사용한 화장묘를 조성하거나 바닷가 또는 산에서 산골을 행하던 장례의식에서 사찰 안에 자신과 가족의 복을 구하고 망자의 극락왕생과 다가올 내세를 기원하기 위한 염원을 담은 석탑을 세우는 조탑신앙으로 사후관념과 장송의례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결국 분묘로서의 화장묘가 가지는 의미는 점차 소멸하게 되며, 오히려 화장 후 산과 들에 산골을 한 후 사찰에서 망자를 추복하는 제사를 행하는 형태로 장례의식이 변화되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화장묘가 가지고 있던 가족의 제사는 석탑의 조성과 사찰에서 이루어지는 법회를 통한 조상의 추모와 개인의 발복을 비는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결국 이러한 사회적 변화가 횡혈식석실분이나 화장묘와 같은 고분조성이 점차 소멸하게 된 원인이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