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f Keumcheonchang in ChungJu

충주 금천창 연구

  • Cho, Gil Hwan (JungAng Research Institute of the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08.08.22
  • Accepted : 2008.10.10
  • Published : 2008.10.30

Abstract

This paper is written to results of excavated ChungJu ChangDong site located in ChungJu and the article Keumcheonchang in Joseonwangjosilrok. The structure rerics of compositing cornerstone-distance 420cm has been showing to Keumcheonchang of legend in region people. The solution to problems is that the enforcement of the river-shipping service linking Han River and NakDong River. King Taejong commanded the new tax-warehouse of 200 Kan to built at Keumcheon in ChungJu and named Keumcheonchang for the receipt of innner region and KyengSang Province. King Sejo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government owned tax-grain transportation systerm for the strong centralization by the sovereign right. This logistic system is gone the middle and the latter of Joseon Dynasty. Joseon Dynasty is absolutely dependent the national finance for government operation on the tax-grain from HaSamDo(ChungCheong JeonLa KyengSang) region. JoUn(tax-grain transportation by shipping) is the best logistic system in Korea surrounding sea. Joseon Dynasty has refomed the logistics base on GoRyeo's system that the Tax-grain transportation system by shipping. There is the tax-warehouses reducing from 13 numbers to 9 numbers and making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matter of the Japanese Pirate and the ship wreck in transporting in the sea. The ship wreck in the sea specially make the matters of the reducing tax and political issues. We know that Keumcheonchang is operated ChuaSuCham(the government agency for taxgrain transportation by shipping at a warehouse) from King Taejong 11(1,411)year to King Sejo 11 (1,465)year. There is the result of enforcement the river-shipping service system for social stabilization and forward their new ideal in the first half Joseon Dynasty.

이 글은 탄금대 서쪽에 위치하는 충주 창동유적 발굴조사 결과와 조선왕조실록의 금천창으로부터 시작한다. 벼루가 연결된 좁고 경사가 급한 지형에 자리잡은 주칸거리 420cm의 여러 동의 건물지 조사는 구전으로 전해온 금천창에 대한 일부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태종 11년(1411)에 낙동강과 한강을 잇는 충주 금천(金遷)에 새로이 200여 칸의 창고를 지어 금천창이라고 이름하고 충주인근의 전세 뿐만 아니라 경상도 전세도 함께 수납하여 경창으로 운송하게끔 하였다. 세조는 강력한 중앙집권을 위해 관선조운체계를 구축하였고, 이것은 조선 중기까지 이어진다. 조선은 적은 인구와 낮은 도시화율에 의해 하삼도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절대적이었다. 하삼도 토지에 부과된 세곡은 국가재정의 근간을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조운은 삼면이 바다인 지리적 잇점에 의해 서구자본이 밀려오기 전까지 가장 효율적인 물류체계였다. 조선은 고려의 조운을 근간으로 하는 물류체계를 구축하였다. 조선의 9조창은 왜구에 의해 파괴된 고려의 13조창을 개편한 결과이며, 특히 내륙 물길인 수운(水運)을 강화하여 왜구의 노략질 및 해난사고 등의 망실을 해결하고자 하는 고민이 담겨 있다. 금천창은 태종 11년(1411)에 건립되어 세조 11년(1465)까지 54년간 사용된 좌수참임을 알 수 있다. 가흥창으로 전세 수납처가 옮겨지면서 그 중심적 지위를 잃게 된다. 금천창은 조선이 고려에서 벗어나 사회안정과 새로운 이상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관선조운에 의해 선택된 내륙수운개발의 결과물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