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n Korea Creative Leadership - Focusing on the contribution of social benefiting

한국의 창안(創案)리더십 사례연구 - 사회편익(社會便益)의 공헌(貢獻)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is essay is a landscape of core values and relevant evidences about Creative Leadership in order to make sketches of Korean-style leadership framework. Glancing through this work, you can smell the distinctions of Korea creative leaders, particularly, in the aspects of procommunity pragmatism and ordinary innovation. Most Korea creative leaders were social mentors and masters who had enlarged their influences from the individual domain to social area in all the dimensions of human life. At the individual stage, the Creative Leadership suggests 'Jungki(正己)' as a core value of themselves, which is materialized as such competencies as self-assertiveness, observation and experimentation, and strong inquiry. Because most of them were technical masters dealing with new methodology and new knowledge including alchemy, medicine and weapons, the creative leaders show us very unique core values and competencies in the life sequences of the individuation, relationship, organization and community unlike other Korean-style leaderships and global practices. You can taste and compare these things: 'Kihyulsangtong(氣血相通)' as a core value and respect- for- others, style analysis, persuasion as core competencies in the stage of relationship, nextly, 'Suhshi(授時) & Jungeum(正音)' as a core value and coordination and adjustment, teamwork as core competencies in the stage of organization, finally, 'Hunmin(訓民) & Hwalin(活人)' as a core value and vision-building, social benefiting, ordinary innovation as core competencies in the stage of community. The value of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of Korean-style leadership framework based on the Creative Leadership through vivid stories about great leaders in our history.

본 논문은 한국형 리더십 모형을 제시하는 시론의 하나로 기획된 연구로서, 창안리더십의 핵심가치와 사례에 대한 결과물이다. 이 연구를 통해보면, 창안리더의 특질은 특히 사회편익을 위한 실용과 생활혁신의 측면 즉 조직과 사회의 영역에서 빛을 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창안리더십을 주도한 인물들은 대체로 개인영역에서 사회영역으로 양적, 질적 영역확대를 거친 사회적 리더로 밝혀졌다. 창안리더십의 발전과정을 보면, 개인영역(Self)의 핵심가치는 자기를 완성하는 정기(正己)로 자기 성찰을 통한 정체성을 확립하고 있으며, 이는 자기주도성, 관찰실험정신, 강한 탐구심 등의 역량으로 발휘되고 있다. 다음으로 관계영역(Relationship)의 핵심가치는 기혈상통(氣血相通)의 네트워킹(Networking) 활성화이며, 이는 타인존중과 배려, 유형분석, 설득의 역량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조직영역(Team)의 핵심가치는 수시(授時)와 정음(正音)의 실용과 검증이며, 이는 조정과 조절, 팀워크(Teamwork) 조성과 개선으로 그 역량이 발휘되었다. 나아가 결국 사회영역(Community)에서는 훈민(訓民)과 활인(活人)의 사회기여라는 핵심가치로 결실을 맺는데, 그 구체적인 역량은 비전제시, 사회편익, 생활혁신 등으로 표출되어 실천된다. 본 논문의 의의를 살펴보면, 창안의 특질을 지닌 리더를 통해 한국형리더십의 원형을 구축해 보고, 사례분석을 통해 우리 고유의 리더십 속성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