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about Formality on Samkookyusa - focus on the ceremonies of coming of age, marriage, funeral and ancestral worship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나타난 의례(儀禮)의 연구(硏究) - 관(冠)·혼(婚)·상(喪)·제례(祭禮)를 중심(中心)으로 -

  • Received : 2008.11.30
  • Accepted : 2008.12.20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Samkookyusa is a valuable book, which shows us ancestor's fomality, being folklorically highly evaluated. So I focus on this, look into Samkookyusa's formality especially the ceremonies of coming of age, marriage, funeral and ancestral worship. Coming of age ceremony on Samkookyusa performed by a ruler or the nobilities whoes age are uncertainly assumed as thirteen, fifteen or eighteen. In the times, our own ways of ceremonies were performed by them. Marriage ceremony on Samkookyusa, especially king Sooro and Heohwangok's amrriage procedure shows a part of royal family's ceremony before Korea dynasty and have a precious meaning as the earliest outset. Through premarital relation between Yoohwa and Haemosoo shows that there was an non-arranged match for marriage. A record of a marriage between near relatives at the early Korea dynasty is worthy. The funeral ceremony record of king Hyeockgeose on Samkookyusa could be regarded as the first one. The record pointed that using a mound as feudal lords and king Talhae's funeral ceremony showed having Seagoljang customsand making a clay figure for the ceremony. Those facts are crucial documents as helping us understand our ancient time's funeral ceremonial customs. Ancestral ceremony on Samkookyusa, specific record about ancestral ceremony for king Sooro such as fomulas, procedures, ritual fields and foods, sanctuary and portrait is a worthful record to understand a side of national ancestral ceremony of the times. Samkookyusa is a valuable book ceremonially and folklorically to understand the ancient times' ceremonies of coming of age, marriage, funeral and ancestral worship.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고대(古代)의 의례(儀禮)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민속학적으로 그 가치가 높이 평가된다. 그러므로 필자는 여기에 주목하고, "삼국유사"에 나타난 의례(儀禮), 특히 관(冠) 혼(婚) 상(喪) 제례(祭禮)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삼국유사"에 나타난 관례는 왕이나 귀족계층들의 자제들이 행했으며, 그 연령도 13세, 15세, 18세로 추정되는데 확실하지 않다. 고대에는 우리 나름대로의 관례를 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유사"에 나타난 혼례, 그 중에서 수로왕과 허황옥의 혼례 절차에 대한 기록은 고려 이전의 왕실의례의 일면을 엿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최초의 왕실 혼례 절차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그리고 유화와 해모수의 사통 내용을 통해 당시의 혼인이 중매를 통해 이루어졌음을 엿볼 수 있을 뿐 아니라, 고려 초에 근친혼을 했다는 기록은 자료적으로도 가치가 있다. "삼국유사"에 나타난 상례 가운데 혁거세왕의 상례에 대한 기록은 최초의 상례(특히 왕실 상례) 기록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수로왕의 장례 내용을 통해 제후에 준하는 봉분을 사용했다는 점과, 탈해왕의 장사 기록을 통해 세골장 풍속과 소상을 만들었다는 것 등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대의 상례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는바, 자료적 가치가 높다. "삼국유사"에 나타난 제례, 특히 수로왕의 제사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 예컨대 제사방식과 절차, 제전(祭田), 제수(祭需), 사당(祠堂), 진영(眞影) 등에 대한 기사들, 그리고 고대의 국가 제의의 일면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 "삼국유사"는 신화, 설화적인 요소와 후대의 문식이 가미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고대의 관례, 혼례, 상례, 제례를 살펴볼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라는 점에서 민속학적으로나 예학사적으로 그 가치가 매우 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