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and Research on Families in Later Life: Past, Present, and Future Prospects

한국노년학 가족분야 연구 30년: 성과와 과제

  • 박충선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 손화희 (숭의여자대학 가족복지과) ;
  • 전혜정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Received : 2008.08.20
  • Accepted : 2008.11.01
  • Published : 2008.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and to achieve in-depth understanding about the research on families in later life. The journal articles related to the elderly and family studies published between 1980 and 2008 were analyzed for theories, research subjects and methodology. A total of 181 research articles were published focused on the elderly and families during this period of tim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analyzing the elderly and families since 1980. However, there was little effort to integrate empirical findings with theories. With regards to the methodology, the majority of the studies used quantitative methods, although the number of the qualitative studies increased after 1990. The size of samples in most of the quantitative studies was large enough to test inferential statistic techniques. The research subjects such as family relations(parent-adult child,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conflict, support system were studied in depth; however, the practical use of these research findings in welfare policies and service programs was not so effective. In future, researchers should be expected to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ractical fields and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utilizing their research findings.

본 연구는 한국노년학회지에 실린 논문(1980-2008년) 중에 가족분야 논문을 선택하여 이론과 접근 시각, 연구방법론, 연구주제 등으로 정리 분석하여 한국노년학에서 가족분야 연구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노년기 삶에서 가족의 중요성을 논의하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다. 분석의 대상은 총 181편의 논문으로 가족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가족관계와 가족문제는 물론, 가족복지와 실천적인 부분에 이르기까지 노년기의 노인과 가족의 관계가 매우 밀접함을 보여 주었다. 연구의 방법론 측면에서는 초기의 단순한 연구의 틀이나 통계기법에서 차츰 벗어나 다양한 연구의 틀과 고급 추리통계를 사용함으로써 연구의 모델을 검증하는 단계까지 향상되었다. 또한 기존이론의 적용이나 실천적 접근을 통하여 노인연구에 있어서 가족분야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그러나 종단적 연구의 부재, 표집의 편의성, 그리고 이론의 현실적 적용의 부족, 실천적 연구의 확대의 문제는 앞으로 더욱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는 측면이라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