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년학의 사회학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Sociological Research Trends i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 원영희 (한국성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모선희 (공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Won, Young-He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Korean Bible University) ;
  • Mo, Seon-He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Kongju University)
  • 투고 : 2008.08.28
  • 심사 : 2008.10.30
  • 발행 : 2008.11.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1980년-2008년 기간에 "한국노년학"에 게재된 사회학 연구논문을 연구주제, 연구방법, 이론 추이를 통해 고찰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161편으로 1980년대 27편, 1990년대 52편, 2000년대 82편으로 양적으로 계속 증가 추세를 보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별로 살펴보면 1) 사회변동 및 사회제도(34편), 2) 사회실태(62편), 3) 사회문제 및 사회일탈(34편), 4) 사회문화(25편), 5) 노년학 연구 및 노년학 이론(6편)이며, 주요 연구동향과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둘째,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1980년대의 논문들은 문헌연구 수준이고 점차로 양적 연구가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나 질적 연구는 8편에 불과하였다. 또한 양적 연구들에 적용된 통계기법은 기초통계 수준이 36.0%, 고급통계 적용은 64.0%이며, 기초통계에서 점차적으로 고급통계가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부분의 연구는 이론을 제시하지 않거나 문헌고찰이나 이론적 배경에서 관련 이론을 설명할 뿐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한 것은 12편(7.5%)에 불과하였다. 향후 연구과제로 다양한 사회학 주제에 관한 연구, 질적 연구, 종단적 연구, 이론에 근거한 연구, 그리고 국제협동 연구 및 학제간/다학문적 연구 등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gerontology studie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during 1980-2008 in terms of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s, and theoretical trends. A total of 161 studies were analyzed; 27 studies in 1980's, 52 studies in 1990's, and 82 studies in 2000'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topic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1) social change and social system (34 studies), 2) actual socio-condition (62 studies), 3) social problem and deviation (34 studies), 4) social culture (25 studies), and 5) gerontology study and gerontological theory (6 studies), and the major research trends and research results were examined. Second, in research methods, most of studies in 1980's were literature reviews and studies tended to be gradually expanded to quantitative research, but there were only eight quantitative researches. In statistical methods applied to the quantitative researches, thirty-six percent of the researches used basic statistical techniques, sixty-four percent advanced statistical techniques, and the basic ones were gradually replaced by the advanced ones. Third, most of the studies examined the social facts through relevant documents and statistics, or introduced the theories. So, only 12 studies (7.5%) were based on theories. Finally, the studies on various sociological research topics, qualitative studies, longitudinal studies, studies based on theories, and international cooperative studies, inter-disciplinary or multi-disciplinary studies were suggested for the fut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