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pirical Study on the Semi-Endogenous Growth Theory and Fully Endogenous Growth Theory in OECD Countries

OECD국가의 준 내생적 성장이론 및 완전한 내생적 성장이론에 대한 실증고찰

  • Cho, Sang Sup (Department of Digital Business, Hoseo University) ;
  • Yang, Youngseok (Department of Entrepreneurship,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Kang, Shin-Won (Division of Social Welfare and Consumer Scienc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조상섭 (호서대학교 디지털비즈니스학부) ;
  • 양영석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창업학과) ;
  • 강신원 (순천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08.09.23
  • Accepted : 2008.12.20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recently empirical test for the two types of endogenous growth models, which one is more fitted to real data. We adopt the non-stationary panel data methodologies for seeking empirical implication by using productivity and R&D data in the OECD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Empirical tests show that there is a robust relationship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R&D variables implied by semi-endogenous growth model. The relationship suggested by fully endogenous growth theory, however, is sensitive to R&D variables. Therefore, the estimation results provide empirical evidence in favour of endogenous growth theory of R&D expenditure role for sustaining economic growth. The sustained Total Factor Productivity, however, is maintained by more increasing R&D inputs for overcoming diminishing return to R&D efforts.

본 연구는 두 가지 형태의 내생적 성장이론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목적을 위하여 1981부터 2000년까지 OECD 19개 국가를 대상으로 패널 단위근과 패널 공적분방법을 이용하여 두 이론의 함의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시시하였다. 먼저 패널 단위근 실증분석결과를 보면, 총 요소생산성 수준에 대한 세 패널 단위근 검정결과는 비 정상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며, 총 요소생산성 증가율에 대한 패널 단위근 검정결과는 정상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준 내생적 성장이론에 근거한 Durbin-Hausman 통계량은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는 총 요소생산성 대비 연구개발비를 사용하거나 연구원수를 사용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패널 공적분 분석결과는 사용변수와 분석통계량에 따라서 서로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준 내생적성장이론을 뒷받침하는 본 실증분석결과는 연구개발지출과 같은 내생적인 통제변수에 의하여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그러나 지속적인 총 요소생산성증대를 통한 경제성장은 지속적인 연구개발투입량증가만으로 뒷받침 될 수 있으며, 연구개발기여도체감(수확체감)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개발투입증가를 더욱 증가시켜야 한다는 이론적 함의를 실증적으로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