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가치관과 돌봄노동지원정책 욕구의 관련성 연구

A Relation between Family Values and Needs for Care-Support Family Policy

  • 변주수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진미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Byun, Joo-Soo (Dept. of Child Development & Family Studies, Seoul National Univ.) ;
  • Chin, Mee-Jung (Dept. of Child Development & Family Studies, Seoul National Univ.)
  • 발행 : 2008.10.31

초록

Traditional familism and family value is known as the value that most Koreans share with. Strong family solidarity and family-centered perception among Koreans influences other social values and ideology. Under the family value, caring for family members is family responsibility instead of government responsibility. Previous studies argued that the family value played a role to impede the development of family policy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relation between the family value and the needs for care-support family polic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family value were related to the specific needs for care-support family policy.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Seoul Families Survey conducted on 2006 by Seoul Women and Family Foundation. The survey data consisted of 2,500 married males and females living in Seoul.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analysis were frequencies, means, t-test, ANOVA, crosstabs, multiple regression models, and multinomial logit model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while the traditional familism appeared to be held at a certain level, the general attitudes towards cohabitation, divorce, and single-parent family seemed to be less traditional. Second, the familism was found to be partly associated with the needs for the care-support family policy. The respondents who had less traditional value on arriage and child-rearing showed the higher level of needs for daycare center. This finding implied that nontraditional attitudes were related to the needs for an alternative care service such as caring through facilities rather than to the needs for supportive or complementary services. Lastly, the respondents who had higher level of traditional familism showed a higher preference for direct economic service (supportive service) than for other types of service in child care. And the less traditional their attitudes towards marriage and child-rearing, the more likely they are to prefer flexible child care services and programs to other types of child care services.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family value was partly influential to family policy. However, it is worthy to note that the family value was related to family policy preference rather than to family policy needs. In other words, traditional family value appeared to influence the types of family policy rather than the level of needs for family policy.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국어원(2007)
  2. 김경신(1998). 가족가치관의 세대별 비교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10). 145-159
  3. 김규원(1995). 가족개념의 인식과 가치관, 가족학논집, 7, 213-255
  4. 김규원(1995). 한국대학생의 복지의식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과 정책연구, 7, 4
  5. 김상균.정원오(1995). 90년대 한국인의 복지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25, 1-33
  6. 김성천(2000). 한국 가족복지정책의 재조명 : 개혁방향의 모색, 한국가족복지학, 5, 71-102
  7. 김성천.안현미(2003). 참여정부 가족정책의 기본 구성요소의 분석과 발전방향 모색, 한국가족복지학, 12, 35-63
  8. 김수영(2003).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가족부양자를 위한 정책대안의 모색, 사회복지정책, 17, 77-105
  9. 김순림(2006). 정책논단 : 직장보육시설 설치 관련 정책방향, 노동리뷰, 2, 83-87
  10. 김순옥, 류점숙(1984).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가족가치관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전남대학교 논문집, 73-101
  11. 김일명(1988). 기성세대와 대학생의 가족생활에 대한 가치의식 비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2. 김정옥(2005). 저출산.고령화 시대의 가족정책의 방향과 과제, 사회과학논총, 4, 75-87
  13. 김현숙(2005). 영유아 보육정책의 방향: 시장과 정부의 역할분담, 재정포럼, 113, 6-23
  14. 김현옥(2002). 가족주의 의식의 구성과 변화, 가족과 문화, 14(1), 3-30
  15. 김혜경(2004). 요보호 노인 부양가족의 재가복지 및 재가보건 서비스 유형별 이용의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6(4), 123-147
  16. 김혜영(1996). 한국가족문화의 계급별 특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
  17. 김혜영(2004). 가족여가와 젠더, 가족과 문화, 16(2), 129-170
  18. 박민자(1994). 가족과 한국사회. 여성한국사회연구회, 경문사
  19. 박영란(2003). 여성빈곤 퇴치를 위한 정책개발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 박혜인(1990). 한국가족의 변화와 가족가치관, 가정학연구의 최신정보III. 교문사
  21. 변화순(1992). 가족의식에 관한 한국과 일본의 비교연구: 서울고 후쿠오카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10, 85-134
  22. 변화순.최윤정(2004). 가족정책 방향 정립 및 통합적 시행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3. 보건복지부(2005). 노인복지시설현황
  24. 보건복지부(2005). 노인보건복지사업 안내
  25. 서수경(2002). 근대 모성담론을 통해 본 한국 가족정책의 방향, 대한가정학회지, 40(8), 137-157
  26. 서수경(2002). 서구의 "포스트모던 가족" 연구에 대한 고찰,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1), 19-37
  27.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총서(2005). 생활과학의 이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28. 서울특별시(2006). 서울특별시 가족실태 및 가족정책 수요조사 연구보고서. (재)서울여성
  29. 석재은(2006). 장기요양 현금급여 정책의 국가간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8(2), 273-302
  30. 성효용(2006). 참여정부 보육정책의 재정적 검토-기본보조금제도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70, 27-49
  31. 송다영(2004). 부양의식을 통해 본 노인부양 지원정책 방향성: 기혼여성의 부양경험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19, 207-233
  32. 송다영.김미경(2003). 여성의 취업실태별 노인부양부담과 역할갈등, 한국여성학회, 19(2), 145-176
  33. 신수진(1998). 한국의 가족주의 전통과 그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신용하.장경섭(1996). 21세기 한국의 가족과 공동체문화. 지식산업사
  35. 안병철(2004). 기업의 가족 친화적 제도에 대한 일 고찰: 등장배경, 도입목적, 현황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19, 71-83
  36. 양옥경(2000). 가족개념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가족복지학, 6, 69-99
  37. 양옥경(2002). 가족주의 가치관에 따른 한국인의 복지의식 연구: 서울지역 기혼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1, 229-256
  38. 양옥경.김혜영(2001). 가족의식을 통해 본 가족정책의 방향 :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3(2), 29-55
  39. 여성가족부(2006). 2006. 12월말 보육통계
  40. 옥선화(1984). 가족가치관, 가정학연구의 최신정보II. 교문사
  41. 옥선화(1986). 가족주의 가치측정을 위한 기초연구: 가족주의 척도 제작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24(3), 143-153
  42. 옥선화(1989). 현대 한국인의 가족주의가치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3. 옥선화(1990). 농촌가족에서의 가족주의 가치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8(3), 161-170
  44. 옥선화 등(2001). 재미동포의 가치관에 관한 연구 - 가족주의가치와 물질주의가치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4), 15-29
  45. 원숙연(2005).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을 둘러싼 수사(修辭)와 현실 -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중심으로 한 탐색적 사례연구, 한국정책학회보, 14(2), 157-189
  46. 유영주(2006). 한국의 여성 및 가족정책의 변화 - 문제와 전망, 여성가족생활연구, 10, 51-75
  47. 은기수(2006). 가족가치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성별 및 세대간 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8(3), 1-31
  48. 이동원(1987). 가족 가치관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문화연구원 논총, 52, 228-254
  49. 이미숙(1997). 부부의 결혼만족도와 관련요인 연구: 가족주의가치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집, 13, 87-105
  50. 이윤로(2004). 노인부양을 위한 가족의 보호노동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4, 53-70
  51. 이인정(2004). 한국 가족복지의 현황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10, 125-142
  52. 임현승(2005). 노인요양시설 지원정책의 현황과 과제, 지역복지정책, 19(12), 126-138
  53. 장병원(2003). 고령화사회의 노인요양보장정책 방향, 대한건축학회 건축, 47(6), 10-15
  54. 장혜경.홍승아.김영란.김수정(2005). 가족내 돌봄노동에 대한 사회적 지원방안 연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55. 정경희 등(1998). 2004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6. 정영금(2004). 가족친화적 정책을 통한 일-가족 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91-100
  57. 조흥식.김인숙.김혜란.김혜련.신은주(2005). 가족복지학. 학지사
  58. 최성일.유계숙(2006). 일-가족 조화를 위한 가족친화적 기업정책의 발달단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4), 51-73
  59. 최연실(2004). 한국가족복지정책의 현황과 평가. 사회과학연구, 19, 1-24
  60. 최재석(1979).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개문사
  61. 통계청(2006). 2005년 인구동태통계연보(혼인.이혼편). 통계청
  62. 한경혜(1998). 만성질환노인 부양체계로서의 가족의 역할 ; 21 세기 변화전망 및 지원책 모색, 한국노년학, 18, 46-58
  63. 한남제(1994). 한국 가족의 변천, 가정의학회지, 15(11), 697-704
  64. 현진권(2005). 보육재정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책제언: 정부와 시장의 역할분담, 한국재정학회 재정논집, 19(2), 177-202
  65. 황인철(2006). 정책논단 : 수요자 중심의 공보육 제공을 통한 보육정책이 되어야, 한국노동연구원 노동리뷰, 2, 88-93
  66. Baxter, J.(1994). "Is Husband's Class Enough?."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9:220-235 https://doi.org/10.2307/2096228
  67. Benner., Patricia(1989). The primacy of caring, Addison-wesley Publishing Co. Menlo part
  68. Bumpass, Larry L.(1992). What's Happening to the Family - Interactions between Demographic and Institutional Changes", Demography, Vol.27, No.4, pp.483-498 https://doi.org/10.2307/2061566
  69. Collins Cobuild Dictionary(2002)
  70. Crohan, S. E. and J. Veroff. 1989. "Dimensions of Marital Well-being Among White and Black Newlywed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1:373-383 https://doi.org/10.2307/352500
  71. Crompton, R.(1993). Class and Stratification. Polity Press
  72. Daly, M and J. Lewis(2000). "The Concept of Social Care and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Welfare States",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51(2), 281-298 https://doi.org/10.1080/00071310050030181
  73. Evers, A.(1993). "The Welfare Mix Approach: Understanding the Pluralism of Welfare Systems." A. Evers & I. Svetlik(eds). Balancing Pluralism: New Welfare Mixes in Care for the Elderly. European Centre Vienna:Avebury
  74. Fisher, l & Lieberman, M. A.(1999). A Longitudinal Study of Predictors of Nursing Home Placement for Patients with Dementia: The Contribution of Family Characteristics. The Gerontologist, Vol.39, No.6, 677-686 https://doi.org/10.1093/geront/39.6.677
  75. Heller P. L.(1976). Familism scale: A measure of family solidarit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 32, 73-80
  76. Heller, Peter, L.(1970). Familism Scale: A measure of Family Solidarit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2, 73-80 https://doi.org/10.2307/349974
  77. Jenson, J. and Jacobzone, S.(2000). "Care Allowances for the Frail Elderly and their Impact on Women Care-Givers." OECD Labour Market and Social Policy Occasional Paper no.41
  78. Kamerman, S., & Kahn, A.(eds).(1978). Family Policy: Government and Familieis in 14 Countries.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79. Leininger, M.(1981a). The phenomenon of caring : importance, research question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M. leininger(Ed.), Caring : An Essential Human Need, Proceedings of Three National Caring Conferences(3-15). New Jersey : Charles B. Slack, Inc
  80. Lesthaeghe, Ron and Chris Wilson.(1986). "Modes of Production, Secularization, and the Pace of Fertility Decline in Western Europe, 1870-1930", pp.261-292 in A.J. Coale and S.C.Watkins (eds.), The Decline in Fertility in Europe, Princeton University Press
  81. Lesthaeghe, Ron.(1983). "A Century of Demographic and Cultural Change in Western Europe: An Explanation of Underlying Dimension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9, pp.411-435 https://doi.org/10.2307/1973316
  82. Lewis, J.(1998). Gender, Social Care and Welfare State Restructuring in Europe. Aldershot: Ashgate
  83. Orem, D. E.(1985). Nursing : Concepts of Practice(3rd ed.), N.Y.: McGraw-Hill Inc.
  84. Pijl, M.(1994). "When Private Care Goes Public." in A. Evers, M. Pijl & C. Ungerson(eds.) Payments for Care: A Comparative Overview. European Centre Vienna: Avebury. 3-18
  85. Smith, T. E. and P. B. Graham.(1995). "Socioeconomic Stratification in Family Research,"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7:930-940 https://doi.org/10.2307/353413
  86. Vannoy, D. and W. W. Philliber.(1992). "Wife's Employment and Quality of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4:387-398 https://doi.org/10.2307/353070
  87. Zimmerman, S. L.(1995). Understanding Family Policies. CA: Sage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