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cus Group Interview for the Development of an In-service Educational Program on the Practical Problem Focu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 Lee, Soo-He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oo, Tae-Myung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이수희 (서울대학교) ;
  • 유태명 (경상대학교 가정교육과, 경상대학교 교육연구원)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insights and data from home economics teachers for the development of an in-service educational program on practical problem focused home economics program, which was planned to be held from January 21st and to 29th, 2008. For this, focus group interview,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used. One session of pilot and three sessions of main focus group interview in which total of 18 from October 31st, 2007 to November 14, 2007. Home economics teachers that participated were carried out. Participants requested the followings contents of an in-service educational program regarding the practical problem focu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First, most of participants strongly desired to participate in an in-service educational program when a program provided. The participants wanted to be a professional, who is able to explain logically with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knowledge about the practical problem focu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Second, participants requested the followings regarding practical problem focu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the contents of an in-service educational program: philosophy of home economics, setting a perspective on each content areas, development of practical problem, watching a sample class unit,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and motivation stimulating questions, designing of instruction and lesson plans, class presentation and peer evaluation, constructing paper and pencil test items, and feedback from expects on the practical problem focu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Third, participants wanted an in-service educational program to be a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and at least 50% of it allotted to practice. Participants thought that both peer participants and experts from university would evaluate them whether they achieved the objectives of the in-service educational program if an in-service program has to evaluate participants. Participants would evaluate an in-service educational program excellent when they become empowered to teach other home economics teachers the theoretical aspects of the practical problem focu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he practical aspects as wel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framework of the 30 hours practical problem focu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was proposed.

본 연구는 2007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시행 준비를 위하여 본 연구자들에 의해 계획된 2008년 1월 21일에서 29일(오프라인 연수 4일간과 온라인 연수 5일간 실시 예정)까지의 기간에 총 30시간용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가정과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가정과 교사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그로부터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2007년 10월부터 11월에 걸쳐 파일럿 인터뷰와 3차의 인터뷰를 실시했으며, 3차 인터뷰에 총 18명이 참여하였다. 연수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하여 교사들은 다음을 요구하였다. 첫째, 교사들은 현장 교사들에게 실천적 문제나 실천적 추론 수업에 대해 논리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는 철학적 지식이나 배경을 가진 전문가가 되고 싶은 등의 이유로 실천적 문제 관련 연수가 제공될 경우 거의 모든 참석자들이 참여하기를 원했다. 둘째, 교사들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과 관련된 교과 철학 및 영역별 관점 설정, 실천적 문제 개발, 수업사례 시청, 교재 제작, 동기 유발을 위한 질문 개발, 수업의 실제 구성 및 지도안개발, 수업시연 및 상호평가, 지필평가 문항 제작, 전체 수업 과정에 대한 전문가에게 피드백 받기 등이 연수내용에 포함되기를 원했다. 셋째, 교사들은 연수 프로그램 방식으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되 실습의 비중이 50%이상 차지하기를 원했다. 연수생을 평가해야 할 경우 연수생이 정확하게 연수 프로그램의 목표에 도달했는가에 대해 연수생 상호 평가와 대학의 실천문제 중심 교육과정 전공자의 평가가 병행되어야 하며, 그 평가 방식으로는 활동과제를 평가하는 방식이 적절하다고 했다. 또한 연수 프로그램의 평가에 대해서는 교사들은 연수 후에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의 이론은 물론, 실제적인 면에서 확신을 가지고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을 때 좋은 평가를 할 수 있다고 했다. 이상의 교사들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하여 총 30시간으로 구성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의 틀을 개발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