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ddle Schooler's Perception of the Unit "Housing Education" of the 9th Grad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주생활 영역 학습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 최현숙 (마산서중학교) ;
  • 장상옥 (경상대학교 가정교육과, 경상대학교 교육연구원)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er's lesson of 9th grade "Housing Education"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94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nam in 2006 and the dada analyzed by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14.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unit 'Use of dwelling space' was perceived useful in real life, interesting in explanation & visual materials of the text, taught easily to understand the students and ranked highest in class satisfaction compared with the rest two units. The unit 'Indoor environment & equipment' was least interesting, most difficult and ranked lowest in class satisfaction. The unit 'House management & repair' was relatively interesting and easy, but not useful in real life, not much interesting in explanation & visual materials in text, taught difficult by teachers. The class satisfaction ranked second of the units. Female students perceived that the unit 'Use of dwelling space' was easy, but male students perceived that all the units were interesting in the explanation & visual materials in textbook,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interesting experiment & practice, and was satisfied with the unit 'House management & repair'. As their academic achievement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was lower, they perceived that the education contents and various experiment & practice were more difficult. The class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ers about the unit "Housing Education" were affected by how easily the teacher taught the subject, making it more understandable,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contents and the level of interest of explanation & visual materials of text.

이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주생활 영역 학습에 대한 인식 및 수업 만족도 관련 변인을 파악하여 주생활 영역의 수업개선 및 교과서 집필 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거공간의 활용'은 교과내용이 '주택의 유지와 보수' 다음으로 흥미롭고 쉬우며, 실생활에 유용하고 교과서의 설명 및 시각자료가 흥미 있다고 보았다. 다양한 수업방법, 흥미로운 실험 실습을 하는 정도는 가장 낮았으나, 가장 이해하기 쉽게 가르쳤고 수업 만족도는 중단원 중에서 가장 높았다. 둘째, '실내환경과 설비'는 교과내용이 가장 흥미롭지 못하고 어려우며, 실생활 유용도와 교과서의 설명 및 시각자료 흥미도, 교사가 이해하기 쉽게 가르친 정도, 다양한 수업방법 사용 정도, 흥미로운 실험?실습 수행 정도는 세 중단원 중 중간이며 수업만족도는 가장 낮았다. 셋째, '주택의 유지와 보수'는 교과내용이 가장 흥미롭고 쉬우며 다양한 수업방법과 흥미로운 실험 실습이 가장 이루어졌으나, 실생활에는 유용하지 않고 교과서의 설명 및 시각자료도 흥미롭지 못하며, 교사는 이해가 잘 되도록 가르치지 못했다고 인식하였고 수업만족도는 중간이었다. 넷째, 성별, 기술 가정교과 성적에 따라 주생활영역 학습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 여학생은 주거공간의 활용 단원의 교과내용을 쉽다고 보았으나 남학생은 대체로 교과서 설명 및 시각자료가 흥미있고, 다양한 수업방법, 흥미로운 실험 실습이 이루어졌다고 인식하였으며. '주택의 유지와 보수' 단원에 더 만족하였다. 기술 가정교과 성적이 낮을수록 교과내용을 어려워하였고 다양한 수업방법이 사용되었다고 인식하였다. 주생활 영역 수업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보통 정도로 '주거공간의 활용'에 가장 만족하였는데 수업 만족도는 교사가 이해하기 쉽게 가르칠수록, 교과내용이 쉬울수록, 교과서의 설명 및 시각자료가 흥미 있을수록 더 높아 주생활 영역의 수업 만족도 향상을 위한 교사, 학습자, 교과서 측면에서의 노력과 자료 개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Keywords